-
-
빈곤에 맞서다 - 누구나 인간답게 사는 사회를 위해
유아사 마코토 지음, 이성재 옮김 / 검둥소 / 2009년 11월
평점 :
빈곤에 맞서다/누구나 인간답게 사는 사회를 위해
도쿄대 대학원 법학 정치학 연구과 박사과정을 다니다가 '반민곤 운동'에 뛰어든 일본 반빈곤 네트워크 사무국장인 '유아사 마코토'의 제대로 빈곤을 얘기하는 책을 읽었다. 현재 일본의 빈곤문제를 적나라하게 다른 이 책은 작가가 직접 상담을 받았던 사람들의 이야기와 사회제도, 책임론, 그리고 우리 모두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부분까지 빈곤문제의 모든 것을 다루고 있다. 책의 내용은 일본의 빈곤 전문가가 자국의 빈곤문제를 다룬 것이지만, 읽는 동안 우리나라 역시 같은 처지이고 함께 생각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느껴지면서, 갈수록 험악해지는 인간성과 모든 사회문제 역시 대부분은 빈곤과 관련이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 굶주리는 자와 그 가정의 아이들,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폭력과 자살문제, 정말 모두가 잘 살수는 없는 것일까? 더러 가끔은 생각해보곤 하던 문제이기에 더 열심히 책 속의 얘기들과 힘들어하는 그들이 남의 얘기가 절대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가난은 나태한 사람들이 제대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게으름을 떨어서 생긴다는 많은 있는자들의 생각에, 가난한 자에게 <책임론> 을 소리높여 주장하는 사람에게 나도 반대의 손을 든다. 날때부터 이미 미래가 어느정도는 결정된 빈부의 서열이 정해진 상태에서 똑같이 출발신호에 따라 달리기를 하듯이 경쟁을 한다는것부터 무리가 있다는데 너무도 공감한다. 우리사회에도 열심히 일하지만 힘들게 살고 있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기 때문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는 갈수록 늘어나고 빈부의 격차 역시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이제는 정말 중산층이 몰락하고 가진자, 그렇지 않은자로 나뉘어져 가고 있는 이 사회에서 그저 당신이 가난한것은 너무도 게으른 태도와 습관때문이라고만 말할 수 있을까? 먹고 살기가 막막해서 부모, 자식을 죽이고 자신도 스스로 목숨을 끓는 일들은 너무도 자주 매스컴을 통애 혹은 실제 주변에서 목격되는 일이 아니던가.
지금까지는 아동학대는 무조건 나쁜자의 소행이라고 반대하고 그것은 부모의 옳지못한 성격 탓이라고 손가락질 했던 나 역시도 이 책을 읽으면서 다른 쪽으로도 생각하는 눈을 뜨게 되었다. 극한 빈곤가정일수록 가정폭력이나 아동학대가 많이 발생한다는 통계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그리고 힘든 상황의 그 아이들의 가출과 성폭행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는 가난과는 상관이 없는 것인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빈곤의 양극화로 인한 사회문제가 결국은 가진 자, 부리는 자에게도 돌아갈 사회적인 문제이기에 그저 참 한심하고 게으른 사람들이다 편견을 가지기만 할 일이 아니라 함께 생각하고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는 노력이 절실하다 하겠다. 읽으면서 빠른 시간에 우리나라 역시 이렇게 빈곤에 관해 고민하는 단체나 책자가 많이 나와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고 나부터 빈곤문제가 결국은 사회문제이고 나와 내 자식까지 연결된 미룰 수 없는 중요한 문제라는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