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토 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
김성민 글, 이태진.조동성 글 / IWELL(아이웰)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1909년 10월 26일, 방송을 통해 '안중근'이 '이토히로부미'를 저격한지 100주년인 올해를 맞아 얼마 전까지 자주 안중근에 대한 방송이나 신문을 접할 수 있었다. 올해로 부터 딱 100년 전, '안중근'이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사건은 우리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일이다. 그런데 이 번에 읽게 된 이 책 <이토 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를 읽고 새롭게 알게된 사실은 아버지인 '안중근'이 '이토히로부미' 를 죽인지 30년이 지난 1939년 10월 26일 '안중근'의 아들인 '안준생'은 '이토 히로부미'의 아들인 '이토 히로쿠니'에게 박문사( ='이토 히로부미'(이등박문)를 기념하여 남산쪽에 세운 절로 이름도 이등박문의 박문을 따서 '박문사'라 지었고 해방 이후에 헐린 절이다. )에서 아버지 '안중근'이 그의 아버지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것에 대해 많은 이들이 보는 앞에서 사죄를 한다. 그리고 사람들은 '안준생' 그에게 '호부견자(호랑이 아비에게 개 같은 자식)이라고 손가락질을 한다. 처음에 책을 읽기 전에는 너무도 당혹스러운 제목과 변절자 '안준생'의 이야기로 흥분하며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책을 다 읽은 지금은 '안준생'에게 무한한 안쓰러움과 미안함만이 남는다. 누가 그에게 변절자다, 호부견자다, 다구칠 수 있을지.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나는 전혀 몰랐던 역사였다. 관련 역사를 공부하는 분들이 아니라면 많은 이들이 몰랐던 역사가 아닐까. 그리 두껍지 않은 이 책은 내게 그동안 잠자고 있었던 얄팍한 애국심을 조심히 흔들어 놓았고 역사를 다시 한 번 다른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해준 너무도 소중한 책이었다. 읽고 나서 남편에게 권했고 남편과 함께 '안준생'에 대해 , '역사에 대해, 참 많은 생각을 나누게 되었다. 우리 국민이라면 특히'안중근'을 존경하는 국민이라면 누구라도 읽어야 할 책이 아닐까 싶어진다. 특히 한참 자라는 청소년들에게 꼭 권하고 싶어진다. 우리가 모르는 역사에 대해, 우리가 아는 역사에 대해, 그러면 왜 책의 제목이 <이토 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인지 그도 알게 될것이다. 그리고 안중근을 다시는 '안중근 의사'라고 부르지 못할 것이다. 그는 우리 국민의 '안중근 장군'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