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곱, 너는 특별해! - 2단계 문지아이들 29
가브리엘레 하이저 지음, 카타리나 요아노비치 그림, 권세훈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야곱, 너는 특별해!

-동대문도서관 독서 동아리 씨앗 선정도서

 

초등학교 3-4학년 아이들에게 맞는 짧은 동화책이다. 바다 새 앨버트로스에 대한 이야기다. 어느 날 앨버트로스 부부인 엘다와 요하네스 부부에게 야곱이라는 특별한 새를 낳게 된다. 아곱은 시간이 지나도 날아서 독립하지 않고 계속 자신과 함께 날지 않은 채 살게 된 아이다. 이를 보고 앨버트로스 세계에서 야곱을 방출하려는 움직임이 생긴다. 이에 자식을 사랑하는 엘마는 최선을 다해 야곱을 살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결국 엘마는 앨버트로스의 지도자들이 원하는 대로 야곱을 날 수 있게 만들지 못한다. 그 사회가 갖고 있던 고정된 관념을 변화시켜 야곱을 그 사회에 계속 살 수 있게 된다.

짧은 이 이야기에는 서로 얘기할 거리들이 많았다. 먼저 제목이 갖고 있는 의미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았다. 왜 야곱은 특별할까? 사실 야곱은 특별하기보다 열등하다는 말이 맞다. 날아야 하는 새가 날지 못한다는 것은 치명적인 단점이다. 그러나 제목은 먼저 우리에게 그런 생각을 막아버린다. 동물을 비롯한 사람들에게 장애는 특별한 것이지 열등하거나 뒤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먼저 작가가 얘기해 주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 책은 계속 야곱이 왜 특별한지에 대해 이야기 해 주는 책이다.

먼저 야곱이 날지 못하는 것을 알자 주위에서 보는 상처가 되는 이야기들을 듣는 엘다의 괴로움을 이해할 수 있었다. 나도 비슷한 일을 당해봤다. 나는 보통 내 상처를 숨기지 않는다. 그런데 언젠가 그 상처를 숨겨야겠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가끔 사람들은 내 상처로 자신이 나보다 행복하다는 위로를 받고 동정을 하면서 우월감을 느낀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정말 슬펐다.

 

엘다와 요하네스는 야곱이 자신을 흉보는 모든 말들을 아직 이해하지 못하는 걸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22)

 

먼저 엘마는 자신의 아들 야곱이 날지 못하는 것을 고치려고 했다. 그래서 세상의 많은 현자들을 찾아다닌다. 그들은 모두 나는 법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다만 원로들이 주장한 야곱은 날아야 한다.’는 이야기는 잘못됐다는 사실만 알려줄 뿐이었다. 지혜로운 선생님 클라스의 도움으로 날지는 못하지만 잠수해서 먹을 것을 스스로 먹을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원로들이 틀렸어. 어린 야곱은 분명히 앨버트로스야. 당신이 낳은 알을 까고 나왔잖아 문제는 앨버트로스가 날지를 못한다는 건데, 모든 동물이 날아다니는 건 아니야.(55)

 

아이가 태어나면 자립할 수 있을 때까지 젖을 먹이지 그러나 너무 약하면 가족이 더 이상 보호해 줄 수 없어. 우리에겐 적이 많거든. 인간도 우리가 사는 물속에서 먹이를 구한단 말이야. (68)

 

너에게 한 가지 얘기밖에 해 줄 수 없어. 앨버트로스가 달리고 수영하고 잠수할 수 있다면 벌써 많은 걸 할 줄 아는 거라고 여섯 원로들에게 설명해 주란 말이야. 이 정도만 해도 대부분의 다른 동물들보다 더 낫다니까. (91)

 

결국 원로와 약속한 시간이 다가온다. 결국 야곱은 날 수 없었다. 하지만 그들에겐 야곱을 좋아하는 다른 앨버트로스들이 있었다. 야곱을 사랑해주는 앨버트로스들은 야곱이 비록 날지 못하지만 다른 사람들을 보호하고 사랑해 줄 수 있는 능력과 노래를 잘 불러 기분 좋게 하는 능력이 있다고 변호해준다. 결국 강하게 야곱의 방출을 원했던 완고한 원로들은 쫓겨나고 많은 앨버트로스들은 야곱과 함께 살아가기를 결정한다.

보통 우리는 새는 날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니 야곱이 날지 못하기에 앨버트로스가 아니라는 원로의 의견도 이해가 된다. 이 책은 계속 얘기한다. 야곱은 날지 못할 뿐 많은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존재라고 앨버트로스 세계 안에서도 필요한 아이라는 것을 말이다. 그래서 아마도 야곱이 특별하다는 것인가 보다.

세상의 모든 아이들은 특별하다는 분이 계셨다. 다만 그 특별함을 우리는 쉽게 열등함이라고 생각해서 우리 식대로 바꾸려고 하는 건 아닌지 반성한다. 그대로 받아들이고 사랑해주는 일이 말은 쉽지만 행하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매일 깨달아간다. 부모가 되면서 더더욱 뼈저리게 느낀다.

 

가족들은 무엇보다도 야곱에게 그렇게 많은 친구들이 있다는 사실이 기뻤습니다.(103)

원로들이 틀렸어. 어린 야곱은 분명히 앨버트로스야. 당신이 낳은 알을 까고 나왔잖아 문제는 앨버트로스가 날지를 못한다는 건데, 모든 동물이 날아다니는 건 아니야.(55)

아이가 태어나면 자립할 수 있을 때까지 젖을 먹이지 그러나 너무 약하면 가족이 더 이상 보호해 줄 수 없어. 우리에겐 적이 많거든. 인간도 우리가 사는 물속에서 먹이를 구한단 말이야. (68)

너에게 한 가지 얘기밖에 해 줄 수 없어. 앨버트로스가 달리고 수영하고 잠수할 수 있다면 벌써 많은 걸 할 줄 아는 거라고 여섯 원로들에게 설명해 주란 말이야. 이 정도만 해도 대부분의 다른 동물들보다 더 낫다니까. (91)


댓글(6)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북 2015-12-29 13: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도서관에서 우연히 `고양이 낸시˝라는 책을 빌려왔는데요. 첫 장을 보니 쥐가 사는 집 앞에 누군가 새끼 고양이를 두고 갔더라고요. 집 주인인 쥐가 당황해하고 갈등하던 표정이 왠지 꿀꿀이님의 글을 읽으며 떠올랐어요. 늘 관습이나 관념이라는 인식으로 당연시되는 많은 것들을 한번쯤 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책한엄마 2015-12-29 13:14   좋아요 0 | URL
오-요즘에 고양이에 대해 관심이 많아요.^^제 친구가 기르는 고양이들이 매력있어서 빠져버렸어요.고양이 낸시도 꼭 읽어봐야겠네요.고마워요.^^관습에 얽메이다가는 언젠가 꼰대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단 생각을 했어요.

살리미 2015-12-29 13: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런 책을 읽고 아이들하고 얘기할 수 있다는게 참 좋은 것 같아요.
영화 <미라클 벨리에>에서 청각장애를 가진 아버지가 시장에 출마하려고 하는데 다들 염려스러워하죠. 그러자 아버지가 말합니다. 내 청각장애는 내가 갖고 있는 정체성이자 특징이라고요. 그 말에 깊은 울림을 받았어요.

책한엄마 2015-12-29 16:24   좋아요 0 | URL
와-아버지 정말 멋있으시네요.미라클 벨리에 시간이 되면 꼭 보고 싶어요.전에 이웃 분도 정말 강추 하셨었거든요. 전 반짝이는 박수소리라는 다큐 영화를 봤어요.
우린 그들을 장애로, 부족하다 보지만 그들은 전혀 그런 생각을 안 하고 나름 행복하고 재밌게 사는 모습에서 그 영화와 비슷한 느낌을 받았어요.이 책을 읽고 더 감동을 느끼고 싶어서 닉 부이치치 동화책을 빌려왔어요.아이에게 조금씩 읽어주려구요.^^

살리미 2015-12-29 16: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저도 비슷한 시기에 반짝이는 박수소리를 봤는데 두 영화가 비슷한 점이 참 많았어요. 저는 애들 키우면서 아이들에게 책 읽어주던 시기가 가장 좋았던 것 같아요. 지금을 누리세요^^

책한엄마 2015-12-29 16:49   좋아요 0 | URL
육아선배님이시군요!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