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원기 변호사의 특별법 이야기
정원기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정원기 변호사의 특별법 이야기 - 정원기
*본 도서는 출판사로 부터 제공받았습니다.*
세상에 법 없이도 살만한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오늘 퇴근하고 오는 길에도 중앙선을 넘어 역주행으로 내 앞을 달려오며 결국 분노만 일으키고 인도로 쏙 사라진 오토바이를 보면서 도로교통법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해보았다. 물론 사고가 나지 않았으니까 하고 넘어갔지만 여차하면 누구 인생을 망치려는 것인가 하는 적개심이 든다. 이렇듯 법은 내가 당사자가 될 그 상황이 되어서야 어떻게 되는거지 하고 찾아보게 되는 가이드라인 인 것 같다. 사람이 살면서 이건 절도인가, 배임인가, 횡령인가 늘 확인하고 사는 사람은 없듯이 말이다. 물론 어린이들에게도 물어보면 물건을 훔치는 것이 나쁜 짓이란 건 안다. 그렇지만 법의 논리에서 상충하는 사건들이 생기는 요즘 법의 유연성을 위해서 특별법이 많이 생기는 추세다. 책에서도 알려주듯이 특별법은 개정 주기가 빨라 사회의 현실이나 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하기 때문에 생물적인 성격이 있다고 한다. 제일 많이 개정하는 것은 세법이겠지만, 사람들이 적용받는 일반법보다 특별법이 우선 적용되기 때문에 알아둘 필요성이 있다. 게다가 특별법은 특수한 사건이나 이슈가 발화되어 생기는 법들이기 때문에 시대상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맨 처음 등장한 것은 그 이름도 유명한 <김영란법>이다. 이 법이 등장하면서 그 많던 촌지가 싹 사라지게 했다는 썰이 있다. 음식접대 3만원, 경조사비 5만원, 선물 10만원으로 정해진 3-5-10제도였다. 책을 읽기 전까지 23년 8월 29일 개정된 줄도 모르고 있었다. 차이가 생긴 점은 선물 한도가 10만원에서 15만원으로 늘어났다. 이제 3*5=15 이렇게 외워두면 좋지 않을까 한다. 사람들이 하는 농담처럼 대가없는 소고기는 없다고, 호의는 돼지고기까지라지만, 이제 그 돼지고기조차 1인분에 2만원 가까이 하는 식당이 많아지고 있다. 이제 의도없는 식사를 대접 할려면 김밥집밖에 모시고 가지 못할 지도 모르겠다. 그러면 이제 댓가없는 음식은 돈까스까지예요 이런 말이 나오게 될려나.
책에서는 김영란법을 비롯해 10가지의 특별법을 다루고 있다. 특히 잘 몰랐던 <집시법>에 관한 내용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특검법>에 대해 알 수 있어 좋았다. 다른 법들도 물론 사안이나 의미가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다. 다만 조금 더 깊은 내용이라 많이 다뤄져서 나에게는 익숙하고 이해가 간다는 뜻이다.
먼저 <특검법>은 권력형 비리를 잡아내기 위해 미국의 영향을 받아서 1999년부터 실행된 제도다. 대표적으로 2008년 삼성 비자금과 BBK의혹 등이 조사된 바 있다. 그렇지만 특검법으로 큰 이슈를 만들고도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한 경우도 많다. 미국의 영향을 받아 신설되었지만 클린턴 외도이슈를 사생활 측면으로 파내면서 미국은 특검이 사라졌다. 그렇지만 한국은 개선을 통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상설특검법의 경우 수사기간은 임명일로부터 최대 110일로 정해져 있다. 임명일로부터 20일은 수사 준비를 하고, 60일 동안 수사 완료, 대통령의 승인 후 20일간 한차례 연장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집시법>은 촛불로 이뤄낸 많은 것들과 물려 민주주의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하게끔 만들었다. 정확한 명칭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이다. 집회와 시위가 아니다. 현직 변호사의 작성 답게 집회와 시위의 정의를 확실히 짚고 넘어갈 수 있었다. 집회는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인이 공동 의견을 형성하여 이를 대외적으로 표명할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일정한 장소에 모이는 것이다. 시위는 여러 사람이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도로, 광장, 공원 등 일반인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장소를 행진하거나 위력을 보이며 불특정한 여러 사람의 의견에 영향을 주는 행위라고 한다. 확실히 공공장소에서 위력을 보인다면 시위인 것이다. 피켓을 들고 하는 건물 앞(보통 법원, 대기업 앞)1인 시위의 경우에는 1인은 다수도 아니며 이동하지 아니하므로 집시법 상 시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지만 사안에 따라서는 공권력에 저지당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런 것을 보면 어떤 기준으로 적용되는지 의아하기도 하다.
현재 집시법은 소음관련 규정 위반 시에만 처벌할 수 있다. 주거지의 경우 낮에 65데시벨 이상이면 처벌 할 수 있다. 그러나 꼼수처럼 집회 시간 내내 소음을 내는 것이 아니라 1분은 큰소리를 내고 9분은 조용히 있는 등의 방법으로 처벌을 피해가기도 한다고 한다.
각각의 특별법들이 생겨난 이유와 쟁점들을 대화형식을 통해서 매끄럽게 알려주고 각 장의 마지막에 놓치기 쉬운 논점을 정리해주어 읽기 편하면서도 핵심을 잃지 않아 좋았다. 나처럼 법에 대해 관심이 없던 사람도 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법률서였다. 더 많은 사회현상이 특별법이 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물음은 있지만, 시대가 원한다면 생겨나게 되지 않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