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완의 자세 ㅣ 소설Q
김유담 지음 / 창비 / 2021년 1월
평점 :
김유담 작가의 [이완의 자세]를 읽었다. 창비 소설Q 시리즈 작품이다. 때를 밀러 공중목욕탕에 간게 언제인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뜨거운 김이 지속적으로 솟아나와 천장에 맺힌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어 떨어질 때 갑작스레 머리 위에 찬기운이 느껴져 화들짝 놀라게 만드는 거대한 욕탕을 가진 공간에서 초록색 때타올을 장갑처럼 손에 껴고 살가죽이 벗겨지기 전까지 죽어라 몸에 학대를 가하는 것 같은 노동의 무위를 느끼고 난 다음부터인지, 아니면 이제는 물장구치며 냉탕과 온탕을 함께 왔다리 갔다리 할 유년시절의 친구가 없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어쩌다 한 번씩 온천이 유명한 곳에 여행을 갈 때야 물이 좋다니 몸을 담그고 샤워를 하는 정도로 즐긴 것이 전부인 것 같다. 목욕탕을 정기적으로 갔었던 어린 시절에도 세신사에게 몸을 맡긴 적은 한 번도 없는 것 같다. 탕비 말고도 따로 세신비를 지불해야 한다는 것도 한 몫 했겠지만, 알몸으로 플라스틱 침대위에 벌러덩 누워 생전 처음보는 타인에게 몸을 맡기는 것이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닐까 여겨졌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아이들 때에는 때를 밀때 엄청 아프기 때문에, 대체 뜨거운 물에 몸을 담그거나 때릴 밀고 난 다음의 시원함을 어찌 알 수 있단 말인가.
주인공 유라의 엄마 오혜자는 갑작스레 남편을 떠나보내고 타고난 몸매와 피부 덕분에 피부 관리실을 성공적으로 키워나가지만 사기꾼 남자에게 된통 당한 이후 하나뿐이 딸과의 생계를 위해 선녀 목욕탕의 때밀리로 취직하게 된다. 이후 엄마와 유라의 거주지는 여탕의 탈의실과 휴게실이 되었고, 유라는 엄마의 세신 실력 향상을 위한 희생양이 된다. 어린 나이의 유라는 엄마의 때밀이 대상이 되어 무한히 반복되는 신세 한탄과 더불어 때타올과 가만히 있으라는 엄마의 손지검으로 인해 벌겋게 얼룩지게 된다. 이후 유라가 무용의 세계에 들어서 지도자의 손길에 몸이 더 굳어지거나 점점 무거워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나, 만수 이전의 애인들과도 육적 친밀함을 나눌 수 없었던 것은 어린 시절 여탕에서 알몸으로 느꼈던 수치심의 트라우마 때문이었다.
유라 엄마 오혜자의 억척스러움과 세신일에 있어서의 철두철미한 영업원칙등으로 인해 집과 차도 사고 딸도 명문여대에 보내는 인생역전의 강건함을 보여주지만 그럼에도 엄마에 대한 사람들의 시선은 때밀이 아줌마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였다. 생각해보면 목욕탕에서 남의 몸의 때를 벗기는 일은 보통 힘든 일이 아닐 것이다. 엄청난 체력 손실을 요하고, 알몸으로 누워있는 손님의 비위를 맞추기도 해야하며, 피로에 쩔은 상대의 몸을 적절히 이완시키는 마사지 실력 또한 필요할 것이다. 분명 정당한 노동을 통해 수입을 얻는 일임에도 아주 오랜 시간 목욕탕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때밀이라고 폄하해 온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모두가 알몸으로 들어와 머무는 것이 탕 안에서의 룰임에도 불구하고 세신사들만이 유독 속옷을 입고 머무는 특권을 갖고 있다. 그렇게보면 탕 안에서는 세신사가 일반 손님들보다 권력의 상층이 아닐까.
목욕탕은 화려한 겉옷을 벗고 알몸으로 들어가야 하는 곳이기에 누구에게나 공평한 장소일 것이라 생각하지만, 소설 속에 드러난 것처럼 오회장이 유방암 수술을 받고 한 쪽 가슴을 절제한 상태에서 아무렇지 않게 알몸을 보여주는 것을 기이하게 받아들이는 내용이 나온다. 남의 시선은 아랑곳하지 않는 오회장의 모습에 그제서야 외회장처럼 유방암 수술을 한 사람, 자궁을 적출한 사람, 또 다른 신체 부위를 수술하고 여전히 아파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몸을 감추지 않고 드러내며 아픔을 공유하게 된다. 생각해보면 목욕탕은 조금 위험한 곳이다. 뜨거운 수증기와 물 때문에 타일 바닥은 항상 미끄럽고, 뜨거운 욕탕물은 갑작스러운 심장의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는 곳이다. 기억은 잘 나지 않지만 나 또한 목욕탕에서 신체적 장애를 갖고 있는 분들을 만난 경험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일반 대중들이 부담없이 드나들 수 있는 곳이라 여겼던 목욕탕마저 정상이라는 개념의 차별이 아주 오랜시간 지속되어온 장소였다는 것을 이번 소설을 통해서 깨닫게 되었다.
“나는 그때서야 여탕이 온갖 사람들이 구별 없이 드나드는 곳처럼 개방되어 있어도 가만히 들여다보면 멀쩡한, 나무나 멀쩡한 몸을 가진 사람들만 자신 있게 벌거벗은 채 걸어 다닐 수 있는 곳이란 게 눈에 보였다. 목욕탕에서는 체력 소모가 컸다. 대중탕은 그것을 기꺼이 감당할 수 있는 사람들만 오갈 수 있었다. 여탕 입구 유리문에는 전염병 환자와 음주자의 출입을 금하고 뇌심혈관 질환자와 노약자의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는 안내 문구가 붙어 있었다.(84)”
유라가 엄마에게 있어서 때밀이의 세계에서 벗어나 유라가 배우는 무용의 고고한 세계로 넘어갈 수 있을 것만 같은 기대를 저버리며 무용을 그만두겠다고 하자, 엄마는 평소의 습관처럼 ‘내가 누구 때문에 이 고생을 했는데’라는 레퍼토리를 읊어댄다. 홀몸으로 힘겹게 아이를 키워낸 엄마들의 진부한 한탄인지만 누구보다도 엄마의 지난 고된 삶을 잘 알기에 유라와 같은 자녀들은 진절머리 나는 그 대사에 함부로 토를 달아서는 안된다는 것을 안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녀들은 그 감사한 마음과는 반대로 ‘누가 그렇게 살라고 했냐고’ 대들며 엄마의 가슴에 비수를 꽂는다. 유라는 진부한 막말과 더불어 남자와 모텔에 갔다는 커밍아웃으로 욕탕의 세계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다시금 그곳으로 돌아온 자신의 한계를 인정한다. 이때 엄마의 대답은 막돼먹고 싶은 유라의 막말을 단숨에 들어가게 만드는 기막힌 응대이다.
“오늘 못하면 다음에 하면 돼. 인생은 지겹도록 기니까. 이제 잠 좀 자자. 너도 집에 들어가 잘 거 아니면 옷 벗고 편하게 누워서 자. 잠 안 오면 온탕에 한번 들어갔다 오고.(165)”
꿈을 포기하는 것으로 유년시절의 트라우마의 원천인 목욕탕이라는 장소의 구속에서 벗어나고 싶어 몸부림치는 유라의 고뇌 또한 극심한 육체적 노동에 길들여진 지친 엄마에게 있어서는 별 것 아니라는, 그까이꺼 다음에 또 하면 된다는 초연함을 보여준다. 정말 우리 삶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김유담 #이완의자세 #창비 #소설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