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간 십육일 -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억 에세이
4·16재단 엮음, 임진아 그림 / 사계절 / 2024년 4월
평점 :
2020년부터 매월 16일마다 '세월호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에세이를 4·16재단에서 연재해 왔다. 작가, 뮤지션, 배우, 시인, 정치인, 활동가란 이름이 아닌 그 사태를 목도한 평범한 시민들이 '4월 16일'을 실감나게 그려내 읽는 내내 2014년 4월 16일, 사건 당일이 생각났다.
갓 대학에 입학했을 때, 한국사 교양 강의를 듣고 있던 참이었다. 친구가 화들짝 놀라며 뉴스를 보라며 책상 밑으로 기사를 보여주었고, 나는 그걸 받아 읽던 차가운 공기가 선연하다. 집에 돌아왔을 때, 전원구조라는 기사를 보고, 안도했던 순간과 그것이 오보라는 기사가 연달아 터졌을 때, 나는 TV 앞을 떠나지 못하고 왼쪽 생존자 수의 숫자가 하나라도 늘어나길 간절히 바랐다.
10월 29일도 같았다. 이젠 성인이 되어 일하고 있을 때, 이태원에서 끔찍한 참사가 있었다고, 생존자들의 증언은 처참하기에 그지지없어서 10년 전, 그때 기억이 되살아나고 말았다. 그때와 달리 되도록 보지 않았고, 그저 속으로 이와 비슷한 사건을 경험한 나라이니 당연히 괜찮을 거라 안일하게 생각했던 것 같다.
진실이 기억하는 느린 진심은 어떻게든 돌아오게 되어 있다. 우리는 떠나간 것들이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그 자리를 지켜낸다. 삶의 반복 속에 닳아가듯 지쳐갈 때에도 이런 슬픔은 페달을 밟는다. (p. 15)
세월호와 이태원 참사는 우리 사회에 큰 상처를 남겼지만, 그 의미는 퇴색되어 '아직도 거기에 몰두해 있냐'는 비아냥거리는 소리를 묵음 처리해야 되는 상황이 되었다. 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바꾸고,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기억이 되길 바랬는데 사회는 냉혹했고, 생활은 잔인하게도 흘러갔다.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이 세월호 참사를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연대까진 바라지 않는다. 그저 그날이 되면 차가운 바닷속에 잠들은 아이들의 눈망울을 기억해 줬으면 한다. 일상에서 그런 참혹한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으리라고 이 사회는 보장하지 못한다. 하지만 상처를 극복하고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목소리가 필요하다.
어떤 마음을 아는 데 필요한 것은 꼭 '같은' 경험이 아니라 그 마음에 다가서고자 하는 마음임을 내게 알려 준 사람이 있다. (p. 135)
누군가의 가방에 노란 리본이 달려 있으면 좋겠다. 일상과 예술에서 계속해서 이야기가 되풀이되면 좋겠다. 그렇게라도 잠시 우리가 겪은 아픔이 누군가에겐 몇백 배는 더 처절하고 뼈저렸음을 알았으면 한다. 노란 리본 대신 노란 인덱스를 붙이면서 기도한다.
애도의 다음 단계는 그 사람을 잊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사람을 더 정확하게 기억하고 간직하는 방식이다. 그 사람이 내게 주었던 가치들, 그 사람이 살고자 했던 삶, 그 사람이 가치 있다고 믿었던 것을 내가 실현하며 사는 삶이다. (p.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