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와이카노 ㅣ 위픽
김유원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7월
평점 :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게. 김유원의 소설 <와이카노>에는 대체로 평범한 한국 사회의 모녀가 가진, 어딘가 뒤틀린 정이 담겨 있다. 대구에서 칼국숫집을 운영하는 '선희'는 평생을 화구 앞에서 보내며 두 자녀를 키워낸다. 자식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남들과는 다른 시대의식에 적당히 편승하며 살아가던 어느 날, 설거지 담당 '경숙'이 퇴직금 이야기를 꺼낸다.
빠듯한 형편은 아니지만, 갑작스러운 목돈 마련은 부담인 선희는 퇴직금이라는 노동의 정당한 대가를 쉽게 이해하지 못한다. 아니, 이해할 수 없는 삶의 사고방식으로 살아왔다. 그래서 버럭 화를 내고, 겁을 먹는다. 그렇다. 선희는 돈돈거리는, 우리네 ‘엄마’ 같다.
다른 엄마들처럼, 선희도 자식에게 위로받고 싶어 딸 '해리'에게 전화를 건다. 하지만 돌아온 건 예상과는 다른 반응이다. 해리는 오히려 따져 묻는다. 선희는 그 말들에 의문을 품는다. 그 의문은 화로, 짜증으로, 분노로 표현된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딸이 괜찮은지', '경숙이 또 퇴직금 이야기를 꺼내면 어쩌지' 하는 마음이 있다. 그렇게 눈치로 두 아이를 길러낸 세대의 여성, 그게 선희다.
선희는 딸이 쓴 소설을 읽으며 점차 이들의 애환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과거를 되짚으며, 자식이 갖게 된 원망 어린 감정을 알게 된다. 하지만 표현하지 않는 부모, 아니 '표현해본 적 없는' 부모에게서 자동으로 나오는 말은 결국, “니 와이카노?”다.
그 말은 단순한 사투리가 아니다. 선희가 딸에게 건네는 질문이며, 자신을 위해 살아본 적 없는 부모 세대가 자식에게 던지는 정서적 질문이다. <와이카노>는 흔한 모녀 서사를 무겁지도, 그렇다고 가볍지도 않게, 산뜻하게 풀어낸다.
작가는 말한다. “서로의 고생을 알아주려 노력하고, 서로의 감정을 물어봐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선희는 아이 둘을 잘 키워냈다는 자부심에 눈이 가려 있었고, 해리는 말 한마디 못하고 어머니의 고생을 알아보지 못한 채 살아왔다. 이제는 편히 쉬어도 될 나이에도, 선희는 여전히 자식 걱정을 하며 살아간다. 그리고 서로가 서로를 궁금해하면서도, 그 말이 입 밖으로 쉽게 나오지 않아 꾹 눌러 삼키는 그런 마음들이 “와이카노”라는 정겨운 사투리로 녹아든다.
제목이 흥미로워 펼쳐 든 책이었지만, 어느새 선희의 감정선에 깊이 이입해 읽고 있었다. 나 또한 해리처럼 퇴직금이란 엉킨 감정을 손수 마련해 퉁 내려 놓은 적이 있고, 엄마는 그런 자신이 고생만으로 환원되는 듯해 허망함을 느낀 순간이 있다. 우리도 서로의 삶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먼 발치에서 지켜보며, 나름의 노력을 하기보단 감정을 먼저 분출할 때가 많았다.
작중 ‘감탄 아래 깔린 원망’을 뒤늦게 알아차린 선희처럼, 나 역시 그런 어른이 되어가고 있는 건 아닐까 하는 기시감이 들 때가 있다. 선희가 식당 손님들의 무례함을 그저 넘기며 살아온 것처럼, 우리는 가까운 관계에 오히려 더 무심해지는 아둔한 사람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