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안을 철학하다 ㅣ 가슴으로 읽는 철학 1
사미르 초프라 지음, 조민호 옮김 / 안타레스 / 2024년 10월
평점 :
19세기말 노르웨이의 화가 에드바르 뭉크는 고독과 절망의 화가로 유명하다. 대표작 <절규>와 <절망>처럼 화폭에다 불안, 공포, 두려움, 질투, 고독 등 인간 내면의 복잡한 감정 변화를 쏟아냈다. 뭉크는 일기에서 이런 말을 남겼다. "내 고통은 나 자신과 예술의 일부이다. 고통은 나와 하나이기에 그것이 파괴되면 나도, 예술도 파괴될 것이다." 그렇다, 예술의 꽃은 고통을 자양분으로 삼아 피어난다. 그리고 그런 예술적 고통의 기본 정서가 바로 불안이다.
불안은 인간의 숙명이다. 살아있다는 것은 불안하다는 얘기다. 불안은 우리의 실존에서 비롯하기 때문이다. 경제적 불안이든, 사회적 불안이든, 도덕적 불안이든, 불안은 모두 실존의 문제로 귀착된다. 인도계 미국인 철학자 사미르 초프라는 불안을 크게 근본적 불안과 인위적 불안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불교 철학, 실존주의 철학, 철학적 정신분석학, 유물론적 비판 철학의 네 갈래로 불안의 조건과 상황을 성찰한다.
불안은 감정이다. 인식이 감정을 낳고, 감정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인식이 감정에 영향을 끼치므로, 우리가 불안의 본질과 불안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을 다르게 인식하면 불안을 느끼는 우리의 감정도 바뀌게 된다.
저자는 불안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불교 철학과 실존주의 관점이 모두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붓다가 사성제와 팔정도로 인간 내면에 깊게 자리 잡은 실존적 불안을 치유할 수 있는 인지치료법을 제시한 영혼의 닥터라면, 장 폴 사르트르, 프리드리히 니체, 쇠렌 키르케고르, 폴 틸리히, 마르틴 하이데거 같은 실존주의 철학자들은 우리 자신의 인격성과 인간성을 실현하기 위해 불안과의 투쟁을 기꺼이 환영해야 한다고 주장한 영혼의 해부학자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도 불안을 존재론적 특징으로 이해했지만, 불안이 초래하는 죄책감, 수치심, 우울증, 공포증, 신경증 등의 증상에 주목했다. 즉 정신분석 체계 안에서 불안은 모든 정신적 병리 현상의 근본 원인이 된다. 한편, 불안을 개인적 병리의 원인이 아닌 사회적 결과로 본 유파도 있다. 바로 헤르베르트 마르쿠제와 카를 마르크스로 대표되는 유물론적 비판철학이다. 비판이론가들은 불안을 사회의 억압과 불평등에서 기인하는 소외의 결과로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