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이 흔들릴 때 아들러 심리학 - 인생을 두 배로 살기 위한 마음공부 10가지
알프레드 아들러 지음, 유진상 옮김 / 스타북스 / 2024년 7월
평점 :
삶을 바꿀 수 있는 심리학이 있다. 오스트리아 심리학자 아들러가 창립한 '개인심리학'이 바로 그러한 심리학이다. 개인심리학은 용기를 갖고 자신의 열등감을 극복하여 행복을 획득하는 사회심리학적 혹은 관계심리학적 메뉴얼을 제시한다. 모든 게 마음먹기에 달려 있고, 마음의 행로는 '용기'로부터 시작된다. 행복도 성공도 모두 참된 용기를 기반으로 한다. "자신의 삶을 제대로 살도록 해주는 용기, 주체적이고 독립적으로 살도록 하는 용기, 자유롭게 인생을 살 수 있도록 이끄는 용기"를 아들러는 강조한다. 그래서 아들러 심리학은 일명 '용기의 심리학'이라 불린다. 사람은 용기가 있어야 성장한다. 그리고 용기 있는 사람은 삶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몸으로 나타낸다. 아들러 심리학은 이처럼 삶을 강력하게 긍정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파하기에 오늘날 미국심리학계의 주류라 할 수 있는 긍정심리학과 일맥상통하는 바가 많다.
서구 심리학의 세 비조들(프로이트, 융, 아들러) 가운데, 프로이트나 융이 의도적으로 오이디푸스나 헤라클레스처럼 신화 속 영웅을 중시했다면, 아들러가 중시한 인간 유형은 영웅이 아니라 사회에 유익한 사람, 즉 '사회적 유용형'의 사람들이다. 유익한 사람이란 주위 사람들과 협력하고 그 협동의 대가를 함께 누릴 줄 아는 이타적 인간을 말한다. 잠시 불교 용어를 빌리면, '자리이타'의 대승적 인간이 바로 아들러가 중시한 인간유형이다. 참고로 아들러는 정상인과 비정상인 사이에 특별한 구분을 짓지는 않았다. 다만, 동료의식과 사회적 관심의 유무를 멘탈의 정상성 혹은 올바른 삶의 중요한 기준으로 간주했다.
"신경증 환자와 정신장애인, 범죄자, 알코올중독자, 문제아, 자살자, 성도착자, 매춘부 등 모든 실패자는 동료의식과 사회적 관심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실패한 것이다. 그들은 직업이나 우정 또는 성생활이라는 과제에 있어서 연대적인 공통 노력에 의해 해결 가능하다는 확신이 거의 없다."(22쪽)
요약하자면, 아들러 심리학은 협동하는 능력의 정도를 중시하고 자립적인 인간들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사회를 높이 평가한다.
아들러는 삶의 주요 과제를 크게 일과 학업, 우정과 대인관계, 사랑과 결혼 세 유형으로 보았는데, 이런 인생 과제의 원만한 해결을 방해하는 걸림돌로 열등감 콤플렉스와 우월감 콤플렉스를 지목했다. 기본적으로 열등감과 우월감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고, 열등감을 극복하고 우월감을 획득하려는 노력은 개인의 성장과 인격의 진보에 필수적이다. 다만 그 정도가 지나치면 콤플렉스가 되어버리는데, 신경질, 이기주의, 우울증, 편집증, 무관심, 무감동, 우유부단 같은 각종 사회적 적응 장애를 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