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스마트 IT, 스마트 혁명 : 팸플릿 04 팸플릿 4
정지훈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지털 라이프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이다.

세상은 나날이 급속도로 편리함을 추구하며 성장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IT와 스마트 혁명을 꼽을 수 있겠다.

『스마트 IT, 스마트 혁명』은 손안에 쏙 들어오는,

한눈에 쉽게 읽히는 인문 교양 지식 문고본 ‘팸플릿’의 4번째 책이다.

IT는 우리 생활의 필수품이 되었기 때문에 그동안 IT가 어떻게 발전해왔으며

IT 혁명이 끼친 변화를 이해해야 한다.

IT가 일으킨 스마트 혁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IT 전문 지식보다

IT 기술이 나타나게 된 배경, IT와 관련된 사람들,

그리고 앞으로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갈 미래를 그려 보는 연습이 더욱 중요하다는

저자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IT 혁명을 PC 혁, 인터넷 혁명, 모바일 혁명,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각 장마다 IT 키워드, 인터넷 관련 키워드, 모바일 관련 키워드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래를 만드는 제2의 산업혁명'과 관련된 몇 가지 키워드에 대한 간단한 설명으로,

우리에게 익숙했던 용어들을 조금은 정리할 수 있었고 이해하기도 쉬웠다.

'제1장 PC혁명, 새로운 철학과 만나다'에서는 IT의 패러다임을 바꾼 시기인

1955년에 대해 이야기한다. 패러다임을 바꾼 기업은 크게 세 군데를 꼽을 수 있는데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이다.

스티브잡스, 빌 게이츠, 에릭 슈미트 세 사람은 동갑내기라는 재미있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애플의 창업자 스티브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이 자라온 환경에 대한 이야기와 여러 에피소드로,

그들의 창의력과 자유롭게 노는 에너지가 모여 탄생한 것이

 바로 애플이라는 것을 강조하기도 한다.

애플 로고의 변천사도 소개되는데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로서 흥미로왔다.ㅎ

빌 게이츠와 폴 앨런에 관한 에피소드, IBM-PC와 MS-DOS의 등장 등에 관한 이야기로

'내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라는 창조적인 아이디어에 히피문화의 자유 의식이 접목되면서

세상을 바꾸는 첫 번째 단초를 끌어낸 것이 바로 PC혁명의 철학에 자리잡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PC 혁명은 문서의 디지털화에 핵심이 있다는 것이다.

 

 

 

 

 

 

'제2장 인터넷 혁명, 지식사회로의 전환'에서는

  인터넷의 탄생과 발전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미국방부 연구기관에서 여러 대학에 연구비를 지원하면서 개발을 의뢰했는데 이때

만들어진 프로그램이 인터넷이라고 한다. 자연재해가 닥치거나 폭탄이 떨어져

네트워크가 마비되는 현상을 막기위해 네트워크를 연구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1969년 UCLA에서 처음으로 인터넷이 탄생하게 되었다.

인터넷은 지식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된 것이 가장 중요한 변화이고, 인터넷이 생기면서

사람들이 생각할 수 있는 지식에 대한 접근이 과거에 비해 훨씬 쉬워져,

이런 사회를 지식사회 또는 정보사회라고 부른다.

인터넷의 개방성에는 이렇게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가장 부정적인 점은 악플이다.

모든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스스로 책임진다는 마음가짐을 갖고 글을 쓰는 문화가

정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제3장 모바일 혁명, 모바일과 소셜 혁신의 의미'에서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그리고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관해 소개하면서, 모바일과 소셜 철학을 이야기한다.

요즘은 어른들뿐만 아니라 학생들까지도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추세로,

스마트폰 2,000만 시대라고 한다. 엄청나다~

아직까지 PC나 인터넷은 익숙한 분야이지만 모바일과 소셜은 현재 진행형이라서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얻는게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구글이 잘 나갈 당시에 에릭 슈미트는 애플 이사회의 이사였고,

애플의 스마트폰 개발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는 놀라운 사실도 알게 되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훨씬 많아졌고, 과거보다 나의 능력이 강해졌다는 것이

모바일이 가지고 있는 진정한 변화이다.

그렇다면 소셜은 개인의 네트워크, 사람들의 네트워크로

그 중심에 더 이상 문서가 아닌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어떤 회사와 조직에 갇혀서 특별한 행동을 못했던 사람들이

다 같이 소비자의 입장에서 뭔가를 할 수 있는 체계로 바뀌어 가는 것이,

모바일과 소셜 혁신의 가장 큰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아이패드, 아이폰, 트위터, 페이스북을 잘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로서

모바일과 소셜에 관해 더 깊이 알게 된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마지막으로 '제4장 미래를 만드는 제2의 산업혁명’에서는

현재 진행형인 모바일과 소셜이 어떻게 진화하여, 우리가 잘 아는 전통산업에 영향을 미쳐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유통업 분야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바뀔지 앞으로 미래에 관해 이야기한다.
아래 그림의 '에스프레소 북머신'은 실제로 책을 만드는 기계로

전자책을 찍으면 제본까지 해서 나온다고 한다. 우와~~ 정말 놀라운 기술이다.

미래 산업의 트렌드는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총체적 ‘질’ 관리에서

총체적 ‘경험’ 관리로” 바뀌고 있다.

무엇보다 ‘나’ 혼자가 아니라 수많은 동료, 소비자와의 협력과 소통이 더 중요해졌다.

그래서 미래형 인재의 자질은 아마도 지금까지는 지식이었지만

앞으로는 타인과 소통하고 교감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한 자질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소통하고 교감하며 공감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고 깨우쳐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명심해야겠다.

디지털 라이프 시대에 살고 있는 한사람으로서 IT에 관한 전반적인 역사와 발전을 알게 되어

무척 영광스럽다. 현대인이라면 꼭 읽어봐야 할 필독서로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