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광해군은 억울해했을까? - 광해군 vs 이귀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34
김태희 지음, 박상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광해군은 조선의 15대 왕으로서 임진왜란 때 세자가 되어

아버지인 선조 임금의 뒤를 이어서 왕이 되었다.

세자였을 때는 전쟁에 참여하여 활약했고, 왕위에 있을 때는

대동법을 처음으로 시행하여 백성들의 과세 부담을 덜어주었고,

허준의 『동의보감』도 광해군이 다스리던 때에 나왔다.

이처럼 나라를 위해 열심히 일한 왕이었는데

폭군 연산군처럼 '-군'이라 부르며 나쁜 평가를 받고 있는 것에 대해

광해군이 제대로 된 역사적 평가와 명예회복을 위한 소장을 내민다.

우리는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에서 광해군을 무조건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만 보지 말고, 잘한 점과 못한 점을 잘 평가해야 할 것이다.

한국사 연표와 더불어 세계의 정세도 어떠했는지 그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우리의 역사는 옛날부터 다른 나라와의 관계가 중요했음을 알 수 있다.

 

 

 

 

 

 

 

 

사실, 나도 광해군을 폭군 연산군처럼 나쁜 왕으로만 생각해 왔다.

하지만 임진왜란 당시에 세자가 되어 몸소 전쟁터를 돌아다니며 민심을 수습했다는

사실은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그리고 백성을 우선시하여 가난한 백성들의 세금을 줄이기 위한 대동법 시행과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과감하고 현명하게 실리 외교를 펼쳤던 업적은 높이 살만하다.

반면 동생을 죽이고 어머니까지 부정하는 패륜을 저지른 것은 권력때문이지만

역사적으로는 좋지 않은 평가를 내릴 수밖에 없다.

그동안 깊이 알지 못했던 역사적 사실들을 하나씩 알아나가는 즐거움이

바로 역사공화국 한국사 법정시리즈에서 맛볼 수 있는 것이다.

 

 

 

 

 

 

 

조선 시대에는 붕당 정치로 인해 붕당 간에 대립 투쟁이 심해지는 당쟁이 심하였다.

서인과 동인, 동인은 북인과 남인, 북인은 대북파와 소부파로 나뉘어져 늘 헷갈렸는데

이제야 제대로 정리가 된다.

송강 정철은 문인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정치에 깊은 관여가 있었다는 사실에 놀랍기도 하다.

 

 

 

 

 

역사 공부를 하다보면 어려운 한자 성어나 용어들이 많이 나오는데

양쪽 날개부분에 뜻과 풀이를 실어 알기 쉽게 잘 알려준다.

그리고 교과서에 실려진 역사적 기록을 보여줌으로써

아이들이 교과와도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열려라, 지식 창고'에서는 붕당과 당쟁, 대동법,

조선왕조실록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장남도 아닌 광해군이 세자에 이어 어떻게 왕이 되었고,

남긴 업적이 무엇이었는지, 왜 왕위에서 쫓겨났는지에 대해

여러 증인들의 증언과 함께 광해군 시절의 역사를 되짚어 보았다.

역사는 정해져 내려오지만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우리 후세사람들의 몫이기도 하다.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아 후세 사람들에게 좋은 역사를 물려주는 것도

장차 우리 아이들이 해야 할 의무라고 생각한다.

역사공화국 시리즈는 한쪽으로 치우친 역사를 바라보기보다

여러 방면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시각을 길러주는 묘한 매력이 있어

아이들에게 권해주고 싶은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