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 가요 엄마
김주영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5월
평점 :

'잘가요 엄마' 이 한 마디는 어느 누구도 절대 입밖으로
내뱉고 싶은 말이 아닐 것이다. '엄마'가 내곁에 안 계신다는 생각은 상상조차 하기 싫고 내마음을 울게하는 슬픈 일이다. 어머니를 둔 모든
자식들의 똑같은 마음일거라 생각된다. 제목만으로도 울컥~ 엄마라는 존재는 항상 죄송스럽고 감사하다. 단번에 끌리는 제목 때문에 거침없이
읽어내려간 소설이다. 새벽에 걸려온 전화 속 아우의 목소리는 엄마가 돌아가셨다는 말을 전한다. 무슨 말씀이라도 남기시길 바랬지만 엄마는 아무
말씀도 없이 돌아가신 것이다. 경원은 고향을 떠나 떠돌이 생활을 하게 만든 엄마를 원망하며 살아왔지만 마지막 가는 길에는 무언가 엄마랑 화해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그래서 더욱 안타까웠다. 엄마의 죽음으로 인해 경원은 고향을 찾게 되고, 어릴 적 엄마에 대한 기억들을 하나씩 하나씩 떠올리며
어린 경원이 겪어야 했던 힘든 삶과 고단했던 엄마의 삶이 너무도 가슴 찡하게 다가왔다.
엄마의 장례식장에는 경원과 아우의
가족들뿐, 경원의 아내와 아이들은 참석조차 하지 않았다. 엄마의 마지막 길인데도 어색한, 흩어진 가족들의 모습이 요즘
우리들의 모습이 아닐까라는 두려운 생각이 들기도 했다. 점점 핵가족화된 사회 분위기 속에서 각자의 삶을 살기에만 급급해서 부모를 경원시하는 사회
풍조는 우리 부모들을 더욱 외롭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아흔넷의 어머니, 남들은 장수했다고 하겠지만 우리 엄마이기에 보내고 싶지 않은 간절함은
여느 자식들이 갖고 있는 마음일 것이다. 경원은 염꾼들이 염습 절차 내내 입에 물고 있는 담배에만 시선이 꽂혔다. 눈물조차 흘리지 않고~ 내
어머니를 아무렇지 않게 대하는 염꾼들의 행동에 화가 났기 때문일 것이다. 염습 절차가 끝나고 화장장에서 한 줌의 재가 돼버린 경원의 어머니를
보면서 사람은 누구나 한 번 태어나고 한 번 죽는데 너무 허망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이 내 부모, 나의 어머니라면 얼마나 슬프고 가슴
아플까? 부모는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는다는 말을 되새기며 엄마의 자리를 오래도록 지켜드리고 싶다.
경원의 어머니는 두 남자를 만나 경원과 아우를 낳았는데 법적인 절차도 없이 그냥 살아왔다. 생활력이
없는 남편때문에 늘 남의 집 품팔이를 하며 겨우겨우 입에 풀칠하며 살아오셨다. 생활고로 인해 경원에게 주어야 할 사랑은 자연히 뒷전이고 ,어린
경원은 늘 엄마의 애정이 그리웠고 월사금을 내지 않는다는 이유로 선생님으로부터 미움을 받고, 아이들과도 어울리지 못했다. 요즘 우리 아이들과
자연히 비교가 되면서 어린 경원이 입게 된 상처를 생각하면 가슴이 아려왔다. 경원이 엄마를 원망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 알 것 같았다. 그리고
모든 것이 당신 탓이라며 자식들에게 떳떳이 나서지 못하고 죽는 그 순간까지도 한 마디의 말도 없이 돌아가신 엄마의 심정도 이해가 되는 것 같다.
엄마라는 이름은 늘 당신 탓으로 인해 자식에게 미안한 마음을 안고 가는 그런 존재~ 경원이 엄마에게 맺힌 그 무엇, 엄마가 경원에게 미안한 그
무엇들이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우리의 심금을 울린다. 누굴 간절하게 사랑해 본 기억이 없었다는 경원의 한 마디는 반대로 그가 엄마를 너무도
그리워하고 사랑하였다는 의미로 다가왔다. '잘가요 엄마'는 내게 우리 엄마를 더욱 사랑하게 만든 소설이다. 엄마, 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