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조선 시대에는 양반과 노비가 있었을까? - 억울해 VS 나양반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40
손경희 지음, 이주한 그림 / 자음과모음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태껏 한국사 책을 많이 읽어봤지만 이번처럼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 역사책은 처음 접해본다. 초등 4학년 딸래미, 아직 역사 교과목을 배우고 있지는 않지만 제목만 보고도 급관심을 가졌다. '왜 조선 시대에는 양반과 노비가 있었을까?'라는 제목이다. 노비인 '억울해'가 양반인 '나양반'을 고발하게 되면서 둘은 법정에서 만나게 된다. '억울해', '나양반' 이란 이름조차도 정말 재미있다. 딸이랑 읽으면서 얼마나 웃었는지 모른다. 역사는 딱딱하고 어려운 역사이야기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리게 하는 역사책, 자음과 모음의 '역사공화국 한국사 법정시리즈' 만나게 되어 다른 이야기들도 정말 궁금해진다. 한 권의 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선생님의 육성을 직접 들으며 생생한 역사 공부를 할 수 있도록 'QR 코드'로 동영상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학교,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나오는 '조선 시대 신분제도'와 관련된 부분을 실어, 교과서와의 연계학습도 이끌어준다. 그리고 역사 공부에는 시대적 흐름이 중요한데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표를 비교하여 동시대에 어떤 사건들이 일어났는지 통합적인 역사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번 사건은 양반과 노비 사이에 얽힌 신분 문제의 진실을 밝히는 소송으로, 먼저 원고 측 김딴지 변호사가 소송을 제기한 이유에 대해 설명을 하고, 피고 측의 입장을 들으며 주고받거니 하는 상황에서 조선 시대의 신분 제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그리고 날개 부분에 교과서에 수록된 내용을 싣고, 같은 내용은 파란색 글자로 강조하고 있다. 어려운 역사 용어 또한 바로 풀이를 해두어 아이들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열려라~ 참깨!!!'를 연상케하는 '열려라, 지식 창고' 에서는 조선 시대의 노비와 족보에 대한 설명으로, 역사적 정보를 쌓게 해준다. '다알지 기자의 휴정 인터뷰' 또한 즐거움을 주었다. '다알지'라는 기자 이름 또한 진짜 재미있죠?ㅎㅎ 재판이 끝나고 나면 '다알지' 기자는 원고, 피고의 입장과 각 대표 변호사들의 입장, 그리고 증인들의 입장에 대한 인터뷰 시간을 가져 재판에 대한 점검의 시간으로 정리를 해준다. '교과서 안 역사' & '교과서 밖 역사' 코너에서는 중학교,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부분을 제시해 주고, 관련된 조선 시대의 또다른 역사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확장된 정보까지 알게 된다.

 

 

 

 

 

 

 

 

억울해와 나양반의 최후 진술을 끝으로 재판은 끝이 나고 4주 이후에 판결문이 공개되는데, 억울해가 나양반을 상대로 제기한 명예 훼손죄에 대한 정신적 손해 배상 청구는 인정되고 사기죄는 기각되었다. 이 재판을 계기로 조선 역사 속에 가려진 노비의 역사를 기억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판사의 마지막 판결문은 우리들이 꼭 새겨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흥미롭게 역사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이 아니라 교과서와의 연계학습을 정확하게 짚어주면서 아이들이 쉽게 공감하며 조선 시대의 신분 제도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사책으로, 초등학생 고학년부터 중학생, 고등학생 친구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다. 역사 속에 나오는 인물들이 주인공이 되어 법정에서 다투는 과정에서 배우게 되는 역사 이야기는 아주 신선하게 다가왔다. 우리는 대한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우리 나라 역사를 잘 알아야 할 의무가 있다. '역사공화국 한국사 법정' 시리즈라면 한국사를 이해하는 데 충분히 즐거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