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 소녀 미랑 푸른도서관 59
김자환 지음 / 푸른책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첨단의 이 시대에 그 어느 때보다 요괴, 비인간들과의 사랑 이야기가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아마도 '인간'이라는 것에 대한, '인간적'이라는 것에 대한 회의와 사유가 절실해서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여기, 우리가 처음 만나는 '여우 소녀'가 있다.

옛날옛적부터 공포의 대상이었던 구미호에게조차 '소녀'라는 이름이 주어지니 그것만으로 안쓰러운 마음이 든다.

그리고, 어쩌면 예상했던 대로 이 소녀의 아픔은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인간이 되고 싶은 열망에 있다.

그 염원의 원천은 가난하지만 '큰 인물'이 될 상을 지닌 늠름한 소년, 묘남이다.

허나, 그 '복' 에는 어려서 부모를 잃는다는 비극이 내포되어 있다.

아니, 어찌 보면 그 '액'이 '복'의 토양이다.

구미호에게 아버지를 잃고, 슬픔으로 어머니까지 아버지를 따르고, 그 슬픔으로 정신을 잃지 않았더라면

초인적인 힘과 생명력을 줄 산삼 또한 없었을 것이니 말이다.

언제나 운명은 인간의 생각과 의지 한참 위에서 제 갈 길을 간다.

감당하지 못한 슬픔과 고통을 견뎌내면, 그 뜻을 깨닫게 되는 날이 올 것이다.

묘남을 사랑해 애타게 인간이 되고 싶었던 미랑은

그 마음 때문에 묘남의 부모를 죽게 하고, 묘남을 아프게 하고, 자신 또한 어머니를 잃지만

결국은 그를 통해 수많은 목숨을 살리게 된다.

그러니, 그 누가 '사랑이 헛되다' 할 수 있을까?

이 이야기의 모든 인물들에게 사랑은 곧 목숨이다.

백성이 걸레스님의 목숨이고,

딸 미랑이 구미호의 목숨이었으며,

이 땅이 묘남의 목숨이었으니...

'삶'이라는 불꽃의 불씨였으니...

그리하여, 미랑은 마지막 순간을 환한 미소로 맞는다.

사랑하는 묘남을 지켰기에,

'죽어도 좋았다. ' (p.167)

그 옛적 '은애'라는 말이 참으로 새롭고 살갑게 와닿는다.

이 '恩愛'라는 단어는 '은혜로운 사랑'을 뜻한다.

이 '은혜'는 사랑하는 대상에게 베푸는 것 뿐만이 아니라, '사랑하고 있는 나' 스스로 누리는 것이다.

그 사랑 자체가 은혜가 되니까.

나를 인간으로 살 수 있게 하니까.

우리는 어떤 사랑으로 살아갈까?

평생 인간이 되기를 열망했지만 그마저 기꺼이 버렸던 미랑에게

미안하지 않도록,

부끄럽지 않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