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 <오랑주리-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세잔, 르누아르>를 관람했다. 형태와 구조의 관점으로 그림을 그린 세잔과 빛과 색으로 그림을 그린 르느와르를 비교한 전시가 몹시 흥미로웠다.
난 예술의 전당 전시회를 꼭 챙겨보는 편이다. 그들만의 전시 기획이 몹시 흥미롭기 때문이다. 예술의 전당 전시회는 자료를 풍부하게 가지고 마음껏 보여줄 수 있는 전시가 아니다. 대중적인 화가를 선택해서 늘 인기가 많지만, 보여줄 수 있는 그림도 한정적이고, 화가는 유명하지만 대표작이 없는 경우도 있다. 그 제약 속에서 그들은 미처 몰랐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도록 그림을 새롭게 배치한다. 적절한 설명도 그림을 돋보이는 장치가 된다. 그들이 제시하는 방식을 따라가다 보면 새로운 이해의 눈이 열리고 영혼이 차오르는 감동을 느끼곤 한다. 매번 감동 받는 포인트가 달라져서 볼 때마다 기대가 된다. 좋아하는 작가의 신간을 챙겨보는 것처럼, 기다리는 설렘이 있다. 읽고 나선 이번에도 역시 좋았다는 느낌이 이어지는 것도 좋다.
이번 전시회에선 르느와르와 세잔의 대비가 좋았다. 특히 세잔을 내가 참 띄엄띄엄 보았다는 생각이 든다. 르느와르가 걸어간 길과 대비해 세잔이 추구한 그림 세계를 보니, 그가 얼마나 진지하게 형태와 구조를 향해 나아갔는지 또렷이 느낄 수 있었다. 전시회의 마지막은 르느와르와 세잔이 추구한 그림 세계가 어떻게 현대 미술에도 이어졌는지를 보여준다. 누군가 알아주지 않아도 매달려 그릴 수 밖에 없던 마음들, 추구함, 그들은 자기 표현을 넘어 영원을 향해 가는 흔적을 남겼다. 영혼의 지문이 남은 그림을 보며 그 울림에 공감하고 감동하는 건, 인간이란 존재의 의미가 강렬하게 새겨져 있기 때문인 것 같다.
특히 당시 둘의 그림을 모았다는 갤러리스트 폴 기욤의 집을 보며, 그리지는 않았으나 이 사람이 모으고 전하고 남기고자 했던 건 뭐였을까, 궁금했다. 문득, 가치가 남았구나. 싶었다. 영원의 흔적을 담은 가치, 또렷하게 계산되지 않는 가치를 보고 간직하고 전달하겠다는 생각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숭고한 특성이란 생각이 들었다. 난 어떤 가치를 모으고 있지? 내가 남길 가치는 무엇일까? 가치를 품는 순간, 인생은 찰나가 아닌 영원에 속하는 생명력을 얻는 것 아닐까?
그림도 좋았지만, 가치의 의미를 새롭게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 떠오르는 책 *
<방구석 미술관1>
그림은 마그마처럼 끓어오르는 자기 표현의 열망 같다. 너무 뜨거워서 자신마저 태워도 사그라들지 않는다. 아니, 알아주는 이가 없어도 막막함과 어려움을 버티면서 그림을 그릴 수밖에 없는 건 영혼의 숙명이기 때문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