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수업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외 지음, 류시화 옮김 / 이레 / 2006년 6월
평점 :
일시품절


내 앞에 죽음 밖에 남은 게 없다면 난 무엇을 아쉬워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확장판 만화 문화유산 답사기 : 서울 확장판 만화 문화유산 답사기
오승일 그림, 예영 글 / 녹색지팡이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냥 가볍게 집어들었다가 재미있어서 끝까지 읽었다. 서울에 살면서 자주 보는데도 전혀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어 흥미로웠다. 책에서 소개한 경복궁, 경운궁, 창덕궁 등 각 궁들뿐만 아니라 아차산 근처 선사 유물까지 답사여행을 떠나보고 싶다. 가족과 함께한다면 몹시 의미있는 경험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안의 특별한 모험
박보영 지음, 신아미 그림 / 오늘책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숨은 그림 찾기하기 좋은 그림책이라 첫눈에 마음이 갔다. 꼼꼼하게 그려진 그림 하나하나를 짚어가며 장면에 담긴 이야기를 생각해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또 주인공을 따라 여행을 가면서 다채로운 세상을 상상해 볼 수 있어 좋았다. 글쓴 이가 소개하는 세계와 그린 이가 보여주는 세밀한 장면들에 담긴 상상력이 무궁무진하다. 마음속에 뭉게뭉게 이야기가 피어오르는 느낌이다. 책을 펼치면 상상력을 한껏 차린 풍성한 만찬이 차려진 것 같다. 봐도 봐도 누릴 게 남아 있다. 잔뜩 맛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쓰기의 공중부양 - 이외수가 처음으로 공개하는 실전적 문장비법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단어 채집부터 시작한다. 단어를 기본으로 삼기 때문이다. 늘 깨닫는 진리이지만 뭐든 답은 기본에 있다. 글을 쓰고 고치다 보면, 평상시 익숙했던 단어지만 내가 뜻을 정확하게 모른다는 걸 깨달을 때가 있다. 그제서야 새삼스레 그 단어를 유심히 들여다 본다. 스치는 타인에서 갑자기 아는 지인이 되듯 단어와 비로소 안면을 튼다. 그렇게 단어를 깊이 알아야 문장이 정확해진다. 

작가는 단어의 속성과 본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라고 한다. 단어의 속성과 본성을 깊이 생각하다 보면 사물과 소통할 수 있는 기본기가 탄탄하게 쌓인다는 것이다. 그래야 비로소 살아 있는 글을 쓸 수 있다 한다. 사물과 소통하고, 사물을 사랑하며, 그 사랑을 진실 되게 글로 표현하는 것. 작가에게 글쓰기는 거룩한 의식과도 같았다. 

단어를 깊이 통찰하지 못했던 나는 아직 기본기가 많이 부족하다는 걸 깨달았다. 또한 단어와 하나하나 안면을 트면서 속성과 본성을 깊이 이해할 때, 세상에 대한 이해도 트이고, 그 방향이 삶을 사랑하는 방향이어야 한다는 걸 배웠다.  

작가에게서 도가의 도인 같은 분위기가 풍겼던 건, 글쓰기를 이렇게 한 땀 한 땀 단련하며 쌓아 올렸기 때문인가 보다. 단어 하나하나와 인사하고 그 본질을 깨달으면서 사물과 소통했기에 세상과 인간을 좀 더 깊숙이 들여다 보고, 남들이 못 보는 이야기를 전해줄 수 있었던 것 아닐까. 남다른 따듯함과 인간미도 그 단련의 세월이 일구어낸 강인함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문득 작가가 몹시 큰 사람으로 다가왔다. 작가의 작품들을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다. 이전과는 다른 느낌으로 단어 하나하나 되짚어 보며 크게 배울 수 있을 것 같다. 문장 비법 뿐만 아니라, 글쓰기 자체 대해서도 크게 배운 책이었다. 

글의 기본 재료는 단어이다. 어떤 분야에서든지 성공하고 싶다면 기본을 무시하지 말아야 한다. - P12

글은 쓰는 자의 인격을 그대로 반영한다. 사물의 속성을 파악하는 일은 사물과의 소통을 시도하는 일이며 사물과의 소통을 시도하는 일은 사물과의 사랑을 시도하는 일이다. - P53

인격과 문장은 합일성을 가지고 있다. 문장이 달라지면 인격도 달라진다. 인격이 달라지면 문장도 달라진다. 그대가 조금이라도 격조 높은 인생을 살고 싶다면 현재의 자신에서 탈피하라. - P97

글을 쓰기 전에 철저하게 가식을 경계하라. 가식은 여러 종류의 척하는 병들을 불러들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의 인격을 격하시키고 글의 궁극적 목표인 감동이나 설득력을 깡그리 말살시킨다. - P107

글쓰기에도 욕심은 금물이다. 욕심이 들어가 있는 문장은 모두 죽어 있는 문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P107

문학은 지식의 산물이 아니라 견성의 산물이다. 작가는 정답을 찾아서 독자들에게 글로 전달해 주는 존재가 아니라 깨달음을 통해서 얻어낸 정서를 독자들에게 글로 전달해 주는 존재다. 시인 서정주가 ‘한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라고 노래한 것도 깨달음의 결과다. 그리고 소설가 헤르만 헤세가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하나의 세계다‘라고 설파한 것도 깨달음의 결과다. - P228

좋은 글을 쓰려면 예술의 본성도 아름다움에 있고 우주의 본성도 아름다움에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 P290

글에도 기혈의 순환이 있다. 기혈의 순환이 순조롭지 않으면 글도 중병에 걸려서 생명을 잃게 된다. 욕심과 가식과 허영은 기혈의 순환을 방해한다. 진실에 입각해서 글을 쓰는 습관을 기르지 않으면 완치되지 않는다. - P2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