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병서, 조선을 말하다 - 혼란과 저항의 조선사
최형국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8년 4월
평점 :
병서, 조선을 말하다
엄청난 책이다. 평소 전쟁사와 병서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처럼 상세하게 기술한 책을 보게 되어 너무나도 즐거웠다. 얄팍한 조선시대의 병영 이야기와 병서, 전술과 전략 등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는 사실에 행복했다.
참으로 대단한 열정을 가진 저자의 노력에 갈채를 보낸다. 이 책은 전쟁사와 병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보물이나 마찬가지다. 단순히 영웅이나 하나의 전사에 집중된 것이 아니라 조선이라는 기간에 걸쳐서 이뤄진 병서를 다루고 있다.
병서! 군대와 군사에 관한 내용을 담은 책! 결코 짧고 간결하게 기술할 수 없는 내용이다. 그렇지만 저자가 밝히듯 이런 분야에 있어 학술적이거나 일반인들에게 자세하게 알려주는 책은 극소수이다. 아니,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다.
조선을 새롭게 개국을 하였고, 병서의 필요성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졌다. 그리고 시대의 필요에 의해 사병 개혁이 필요하게 된다. 사병의 문제는 왕과 새로운 권력을 잡으려고 하는 개혁파 등에게 꼭 개혁을 해야만 하는 부분이었다. 그리고 이런 개혁안 가운데 일부를 정도전이 만들어낸다. 정도전의 진법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는데, 이런 부분을 보면서 개안하는 느낌을 받았다.
조선왕조에서 무력으로 왕의 길을 열었던 부분이 있다. 이런 부분은 드라마에서도 자주 등장을 한다. 치열한 권력다툼에는 병서들의 이야기들이 녹아들어 있는 것이다.
책 곳곳에서 나오는 그림과 사진 등은 부족하고 모자란 지식을 채워주는 데 충분하다. 책장을 넘기면서 입가에 절로 미소가 그려진다. 만족감을 듬뿍 주는 책이다.
책을 읽으면 제목처럼 조선의 역사와 함께 병제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조선은 중국 중심의 한계를 넘어서는 부분이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병서와 병제라고 볼 수 있겠다. 우리나라의 전생사 모음인 동국병감은 중국 전쟁사에서 벗어난 병서이다. 언제 기회가 닿으면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보고 싶은 책이다.
총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책은 조선시대 초부터 말기까지 다루고 있다.
조선의 개국 초기의 왕권과 나라를 강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병서의 이야기와 임진왜란을 거쳐 부활하였다가 몰락하는 이야기이다. 조선의 모든 부분을 다르고 있는 책은 제목 그대로다. 병서로, 조선을 말하고 있다.
책 모든 곳에 보물들이 녹아들어 있다.
검객이자 인문학자인 저자는 쾌도난마로 조선시대를 다룬다.
책장을 넘기다 보면 높은 식견을 가진 저자의 어깨에 함께 올라타서 조선시대를 넘나들 수 있다.
바로 옆에 놓고 계속해서 보고 또 보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