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 체인지 은행나무 시리즈 N°(노벨라) 18
최정화 지음 / 은행나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은 일명 '호르몬 체인징'이라는 수술을 통해 호르몬을 제공하는 사람의 나이로 몸을 되돌릴 수 있다는 설정을 주요 소재로 삼는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노화에 대한 이야기같지만 이를 현실에 대입하면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한나는 수술을 받지 않고 자연의 순리대로 노화를 체감하며 살아가는 70대 여성이다. 그녀가 견디기 힘든 것은 늙어가는 신체가 아니라 수술 받은 친구들이 이십대로 돌아가는 바람에 외톨이 신세가 된 외로움이었다. 이제 노인이 길거리를 지나다니면 동물원 원숭이와 다름없는 볼거리가 되고 만다. 소설의 내용에 따르면 호르몬 체인징은 엄청난 재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비싼 수술비는 말할 것도 없고, 셀러(호르몬 제공자)의 남은 인생의 경제적 책임까지 모두 감당해야 한다. 이 말은 수술을 받지 않고 자연스레 늙어가는 노인은 외모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무능력한 사람으로 취급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서 "나는 순리대로 살다가 늙어 죽겠소"를 외치며 소신대로 살아가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짐작할 수 있듯이 셀러는 열이면 열, 가난한 사람들이다. 목숨을 담보로 거액을 받는 일이니 다급하게 돈을 필요로 하거나 오랜 시간 가난에 억눌린 이들이 선택한다. 대기업의 하청 시스템, 산재, 임금체불, 자립 청년, 청년 가장 등 복지의 사각 지대에 놓인 사회적 약자들이 가난에서 벗어날 길은 요원하다. 소설에는 건강하고 돈이 없는 사람은 돈이 많아 병원에 갈 수 있는 사람을 부러워하고, 돈이 많아 생명을 연장하지만 한 번도 건강을 경험하지 못한 자는 빈자의 건강을 부러워한다. 누가 더 불행의 크기가 큰 지를 내기하듯 넋두리를 쏟아내는 그들의 모습을 보면서, 비록 이분법적 비교이기는 하지만 다른 독자들은 무슨 생각을 할 지 궁금해졌다.  


소설에서 호르몬 체인징을 주선하는 회사는 합법을 위장해 불법으로 매칭을 시킨다. 법적으로는 제공자가 사망해야 호르몬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살아 있는 사람의 호르몬을 제공받는 건 불법이다. 이에 대해 매매와 기증에 대한 언급은 없다), 회사는 셀러에게 먼저 사망신고를 하게끔 한다. 그리고 소설 후반부에서는 호르몬 체인징을 매칭시키는 회사에서 셀러의 수가 줄어들자 팀장 한 명이 셀러의 연령대를 낮추자는 대안을 제시한다. 그러자 부장은 "유레카"를 외칠 기세로 반긴다. 당연히 불법이다. 이 장면은 마치 멀쩡하게 생긴 고학력자 인텔리들이 그럴듯한 회의실 테이블에 둘러앉아 장기 밀매 회의를 하는 것처럼 읽힌다. 미성년자를 돈으로 유혹해 사망신고를 하게 만들고 법망을 피해 호르몬 매매를 한다.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일인 것 같지만, 글쎄... 누가 알겠는가. 지금도 비슷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으니 장담할 일은 아니다. 



나는 읽으면서 머릿속에 그림을 그려봤다. 노화와 죽음이 없는 우리 사회. 정확히 말하면 죽음이 드러나지 않는 사회. 돈이 있는 중년 이상의 사람들은 끊임없이 자신보다 젊은 사람들의 호르몬을 제공받아 젊어진다. 가난한 청년들은 셀러로 인생의 하향곡선을 그으며 벌집의 여왕벌처럼 숨만 붙어 있는 채 정기적으로 수술을 받는다. 이를 통해 큰 돈을 벌어봐야 밖으로 나갈 기운이 없으니 쓸 데가 없다. 이런 생각을 하다가불현듯 노동 인구에 대한 책 『일 할 사람이 사라진다』가 생각났다. 몸은 젊어졌으나 재력이 넘쳐나니 신체가 젊어진 노인은 일을 하지 않는다(일을 할 필요가 없다). 인류 종말은 정말 다양한 방식으로 예견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흥미로운 점은 호르몬을 공유한 바이어와 셀러가 일심은 아니더라도 동체라는 점이다. 바이어의 수술 이후의 삶은 전적으로 호르몬을 제공한 셀러에게 달렸다. 셀러의 신체에 문제가 생기면 바이어도 그에 준하는 수준에 부작용을 겪는다. 셀러가 죽으면 바이어 역시 짧은 시일 내에 죽는다. 즉 자기 몸이면서도 자기 것이 아니게 된다.  


소설은 전반적으로 호르몬 체인징의 부정적인 면을 부각해 서술한다. 당연하다. 상상만으로도 끔찍한 세상 아닌가. 그런데 나는 엉뚱하게도 이 수술을 받고 만족하고 행복해 하는 사람의 서사가 궁금해졌다. 적지 않은 등장인물들 대부분이 셀러다. 그들 중 바이어(호르몬을 제공받아 수술한 사람)는 두 사람인데, 소설 앞부분에서 잠깐 등장하는 민재준은 한나의 젊은 시절 친구다. 만약 한나가 과거의 친구였던 민재준을 알아봤다면 그녀의 선택이 다를 수 있지 않았을까. 


소설의 마지막, 윤희는 나이들 권리를 달라고 외친다.
우리 사회는 노화를 혐오한다. 이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넘쳐나는 안티 에이징 화장품이나 기구만으로도 충분히 증명되고 남는다(솔직히 나도 가끔 하나쯤은 사고 싶어질 때가 있다). 어려보인다는 말이 최고의 칭찬이고, 60대 연예인이 20대 몸매를 유지한다는 게 기사로 나오는 세상이다. 피부가 늘어지고 주름이 생기는 자신의 얼굴이 낯설다. 우리는 늙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 두려움의 근원은 무엇일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젊어지기 위한 불로초가 아니라 늙어도 괜찮다는 위로, 열심히 살아왔다는 인정, 세대 간 서로를 적이라 여기지 않는 시스템 구축일 것이다.  


다각적인 생각을 하게 만든 소설이다. 
이러한 글을 쓰고도 아이크림을 바르고 있는 내 모습이라니.... 




※ 도서지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