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녀를 지키다
장바티스트 앙드레아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3월
평점 :
1986년 가을, 사크라 디 산미켈레 수도원에 40년 동안 머물렀던 여든두 살의 노인이 죽어가고 있다. 그가 끈질기게 붙잡고 있는 것은 자신의 목숨이 아닌 '그녀'이고, 제대로 알아듣기 어려울 정도로 숨을 다해 나직이 읊조리는 것은 깊은 어둠 속에 갇혀 살아야만 했던 '그녀'의 이름이다. 열세 살에 만난 첫사랑이 서로에 대한 영원한 사랑과 존중으로 빛나는 이야기다.

도제, 마녀, 저주, 후작, 피에타상象, 수도원, 레오나르도 다빈치 날개, 미켈란젤로 등 단어나 소설의 분위기는 중세를 연상시키지만 소설의 시간적 배경은 1900년대다. 미모 비탈리아니를 1인칭 화자로 하는 과거와 사크라 디 산미켈레 수도원의 수도원장 파드레 빈첸초의 관점에서 서술하는 현재를 오가는 소설은 결국 시간의 간극을 좁혀가며 한 지점에서 만나게 된다.
석공을 아버지로 둔 가난한 가정에서 왜소증을 안고 태어난 천재 조각가 미모 비탈리오니, 지역의 유력한 명문 귀족 집안의 영재로 태어난 비올라 오르시니. 한 사람은 미천한 신분의 가난한 장애인으로서, 다른 한 사람은 '여성'으로서 세상과 맞서게 된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관통하는 시대적 배경을 둔 이 소설에는 이름을 바꾸고 살아야만 했던 유대인, 서커스 외에는 할 수 있는 게 없었던 장애인, 관습이라는 벽에 주저앉아야했던 여성, 성실만으로는 삶의 무게를 지탱하기에 버거운 하급 노동자들이 등장한다. 그와는 다르게 시대의 흐름에 올라타거나 유력 가문을 등에 업고 승승장구하는 기회주의자들도 있다.
이 작품에서 인상적인 인물은 소설 전체를 이끌어가는 화자 미모보다는 비올라다. 귀족 집안에서 외동딸로, 그것도 영재로 태어났으나 성性은 그녀에게 가장 큰 약점으로 작용한다. 비올라가 열여섯 살에 쓴 시는 무척 인상적이다. 「나는 우뚝 선 여자다...」로 시작하는 긴 시는 십대 소녀가 얼마나 자유를 갈구했는지, 자유롭게 하늘을 날고 싶어했는지, 그리고 서른일곱 살이 되도록 그 시를 간직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그의 눌러놓은 욕구의 깊이를 짐작할 수 있다. '오르시니 가문'이라는 이름은 비올라에게는 화려한 감옥이다. 그러나 그 감옥이 매 위기마다 비올라의 뒷배가 되어 준다는 점은 씁쓸한 아이러니다.
이 소설의 통쾌하면서도 아픈 부분은 비올라의 '날개'다. 비록 날아오르지 못하고 추락할지라도, 때로는 지칠대로 지쳐도, 그는 포기하지 않고 숨을 고르며 날개를 펼친다. 그리고 슬프게도 그 날개를 접으라고 하는 사람은, (비록 그를 살리기 위해서였다고 하더라도) 비올라에게 입혀진 아름다운 드레스가 끔찍하다고 말했던, 비올라를 가장 사랑하고 이해하는 미모라는 점에서 안타깝기 그지없다.
자신의 '정상성'에 대한 비올라의 말을 읽다보면 여성은 '정상적'일 수가 없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하느님을 믿기는 믿냐는 미모의 물음에 비올라의 오빠 추기경 프란체스코의 말은 작가의 뼈있는 작심발언이라고 할만 하다. "나는 교회를 믿어, 그 말이 그 말이긴 하지만. 정권이나 독재자와는 반대로 교회는 사리지지 않아." 이는 작금의 현실을 그대로 대변한다.
마지막 반전. 미모 비탈리아니의 「피에타」 마리아는 누구일까. 그게 누구든 미모 비탈리아니의 「피에타」는 자신의 삶을 살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비올라를 향한, 그 시대의 여성들을 향한 헌정이다.
※ 도서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