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제도 은행나무세계문학 에세 20
다와다 요코 지음, 정수윤 옮김 / 은행나무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권에 해당하는 『별에 어른거리는』은 Hiruko의 모국을 찾아 배를 타고 여행을 떠나기로 결심하는 데에서 끝난다. 


배를 타고 여행을 떠난 그들은 독일 발트해 뤼겐 섬을 첫 경유지로 시작해 폴란드 그단스크, 라트비아 리가, 에스토니아 탈린,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는 입국 비자가 없어서 상륙 하지 못한다)에서 마친다. 그 여정에서 배에 승선한 여러 사람들과 그들이 경유했던 곳에서 만난 이들과의 대화는 자못 흥미롭다. 거기에 구글 지도를 띄어놓고 그들을 따라가는 재미도 꽤 쏠쏠하다.  
  






 
이 소설은 그동안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해 왔던 '세계화' 혹은 '글로벌'이라는 용어가 실질적으로 어떻게 구현되어야하는지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국가, 언어, 민족, 역사에 대한 이야기가 그들의 대화에서 꾸준히 언급되고, 이는 곧 정체성의 실체와 언어적 디아스포라, 그리고 21세기형 제국주의와 대륙 간 차별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진다.  


소설의 설정 상 사라진 모국이 부정당하자 현재의 '나'라는 존재를 부정하는 것으로 느끼는 Hiruko. 해체된 과거 소비에트 연방국에 망명처럼 잔재하는 소련이라는 그림자. 존재감이 미미한 극지방 청년의 무너진 자존감. 자신들이 내리는 정의가 곧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주류 유럽인. '미래는 안갯속에 가려 안 보이는 불안정한 시기에 목적도 확실하지 않은 여행을 하고 있다'는 나누크의 말에서 독자는 기실 대다수의 세계인들이 경험하고 있는 감정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배에서 한 식탁에 앉은 그들의 대화에는 덴마크어, 독일어, 영어, 판스카어가 혼재해 있다. 그럼에도 의사소통에는 크게 문제가 없다. 그리고 러시아인 페트로비치의 아내는 독일인이다. 형은 탈린에 산다. 그는 러시아인임에도 불구하고 독일인 아내의 발음에 익숙해져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장트페테르스부르크라고 발음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맥락의 설정들은 우리가 그토록 집착하는 국가와 민족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는 시간을 제공한다. 전쟁, 환경오염, 산업폐기물 및 쓰레기 유입 등으로 달라져버린 지구의 지형과 기후 변화는 어느 한 나라한테 책임을 지울 수도, 그래서도 안 되는 우리 모두가 함께 해결해야 할 총체적 문제다. 시간이 흐를수록 각 국가가 연대하지 않으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의 비율이 훨씬 커질 것이다.  


자기 자신이 집이 되고 싶다고 말하는 Hiruko, 그리고 답을 찾아 떠난 여행이었지만 정작 질문이 분명하지 않았음을 깨닫는 그들에게서 이 책을 읽는 독자 역시 스스로 가져야할 정체성의 정체와 진정한 의미의 세계화가 무엇인지를 되짚어보면 좋겠다.




도서지원

나는 이자나미가 아니야. 여자 샘플도 아니야. 나는 Hiruko. 지상에는 다양한 신체가 살고 있어. 인간만 보고 살면 그걸 잊어버려. 다양한 신체를 떠올리며 살고 싶어. 사지, 매, 뇌조, 사슴, 거위, 물고기, 불가사리, 아메바. - P3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