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없는 여자의 여덟 가지 인생
이미리내 지음, 정해영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체제 안에서 가혹한 삶을 살아가는 이들, 이민자와 난민, 혼혈인의 민족적 정체성, 위선과 허위를 숨기는 국제 사회, 그리고 이들을 향한 혐오를, 일제 강점기를 시작으로 한국전쟁, 냉전시대를 관통해 현재에 이르기까지 약 백 년을 살아낸 한 여성의 일대기를 통해 이야기한다. 마치 영화 시놉시스라고 해도 무방할만큼 소설은 입체적이고 다채로우며 극적이다.  


요양원의 부고 작가인 '나'는 묵 할머니의 이야기를 어디까지 믿어야할지 알 수가 없었다. 요양원에서 생의 마지막을 보내는 대부분의 노인들은 자신의 이력을 부풀려 말하기가 다반사다. 그러나 묵 할머니가 이와 같은 선상에 있다고 치부하기에는 말하는 태도나 앞뒤의 진술이 구체적이고 명확하다. 하지만 과연 한 사람이 그토록 다양하고 다층적인 삶을 살 수 있다는 것 또한 믿기 힘들다.  



묵 할머니의 삶은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벅찰 정도로 숨가쁘게 달려간다.
남편과 딸조차 그녀의 진짜 이름을 모른다. 그녀는 데버라였고, 간요였고, 용말이었고, 최 선생이었고, 미란이었다.  


그녀의 삶이 허구이건 사실이건 중요치 않다. 격동의 시대를 거쳐 온 대부분의 삶이 묵미란의 그것처럼 가혹했음을, 소설은 말하고자 하는 건 아닐까.  


묵미란은, 노인들은 연어같다고 말한다. 정신이 시간과 기억의 흐름을 거슬러가기 때문에. 그리고 거기에는 도달할 수 없는 그리움도 자리하고 있을 것이다. 


마지막 한데 잠, 그녀의 가슴에 시원하고 무해한 바람이 지나갔으리라. 

선한 동시에 악한 여자. 누군가를 한없이 사랑할 수 있었고 그 사랑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면 살인마저도 불사할 여자. 미치광이들의 언어를 아는 여자. - P1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