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단하고 녹슬지 않는 위픽
이혁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은 과학기술 윤리에서 시작해 기업 윤리를 지나 삶과 고통의 의미, 그리고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다.   
 




 
소설은 근미래라고 할 것 없이 지금의 세태를 얘기하고 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AI를 과신해 인간이 해야하는 일들을 떠맡기면서 인간은 손가락 외에는 움직일 일이 거의 없어져 간다. 운전은 자율주행자동차가 하고, 양육과 교육은 인공지능이 대신한다. 아이들은 고글을 뒤집어쓰고 AI가 제공하는 교육을 절대적으로 신뢰하며, 양육자는 편리성을 좇으며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 제2의 양육자에게 자진해서 제 자리를 내어준다.  


소설에서는 AI에게 결괏값을 입력하는 주체인 인간이 도리어 수치화의 대상이 되는 모순된 상황이 일어난다. 슈마허 개발 회사의 사장인 세희는 언제는 그렇지 않았냐고 되받아친다. 틀린 말이 아니다. 학교에서는 성적을 통해 철저하게 계급 사회를 이루고, 이는 기업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뿐인가. 보험사 평가액, 결혼 정보 회사의 회원 등급제, 서비스 업종에서 이루어지는 고객 등급 등 우리는 수많은 평가 기준에서 우열의 대상이 되어 숫자로 표시된다. 세희와 테드의 주장에 빗대어 봤을 때 과연 나는 얼마짜리 가격표가 매겨지려나.  


돌발 사고 시 노인보다는 아이를, 빈자보다는 부자를 선택하라는 결괏값이 입력된 자동차가 낸 사고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그 책임에 금전적 보상만 이뤄진다면 무방하다는 금전만능주의 사고를 과연 소설일뿐이라고 치부할 수 있는가. 인간이라면 어떤 선택도 할 수 없는 도덕적 딜레마에서 인공지능이 인간을 구원한 것이라는 세희의 어불성설이 그녀만의 생각은 아니리라 생각한다.  



AI 슈마허와 함께 소설의 다른 한 축을 이루는 것은 또다른 AI 아리스토텔레스다. 화장실 갈 때를 제외하면 무버에서 내려오지 않고, 인간이 걷는 시대는 끝났다고 주장하며 걷는 행위를 야만적이라고 말하면서 무버에서 내려오라는 부모를 향해 정신적 학대를 운운해가며 자유와 권리를 제한하려고 한다는 말까지 서슴없이 던지는 여덟 살 건주의 모습은 크게 어색하지 않다. 지금도 대형마트, 헤어샵, 식당에서 아주 흔하게 접하는 장면은 채 서너 살도 안 됐을 것 같은 어린 아이들이 태블릿 PC나 스마트폰에 고개를 박고 한시도 눈을 떼지 않는 모습이다. 심지어 유모차에서조차 손에 스마트폰을 쥐고 있는 아이도 있었다.  


세상만사 모든 것을 기술이 해결해 줄 거라고 말하는 세희와 아들에게 해도 되는 것, 해야만 하는 것, 해서는 안 되는 것들의 '기준'을 가르치겠다는 재호의 아내는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소설 속 대다수의 어린이들이 무버 위에서 아르스토텔레스를 이용하며 부작용에 시달린다. 소설에서 보여지는 부작용은 현재 스마트폰 중독을 우려하는 양상과 비슷하다. 재호의 아들 건주와 매튜의 딸 애나는 둘 다 아리스토텔레스를 사용하지만 두 아이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그 차이점은 부모와의 애착형성과 소통이다. 재호 부부가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양육자의 자리를 위임했다면 매튜는 AI를 보조자 혹은 교육 도우미로 활용했다. 



이같은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가야할까.
우리는 그에 대한 답을 영인을 통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인간조차 자율이라는 명분으로 악의적이고 잔인한 횡포와 억압을 자행해 왔다. 그런데 그 자율을 기계에까지 부여하려 든다. 영인은 사람이 사람인 이유 중 하나는 용기라고 말한다. 실패와 좌절 앞에서도 다시 일어서기 위해 노력하는 용기, 불의를 제거하려는 노력, 우리가 견뎌내는 고통의 의미, 그리고 사랑에 대한 기억. 영인의 말처럼, 나는 나를, 그리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을 지킬 수 있는 단단하고 녹슬지 않는 사람인지를 생각해본다. 



언제부턴가 로맨스 소설을 읽지 않는다. 특별한 계기가 있었던 것도 아니고 별다른 이유가 있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럼에도 사랑에 대한 소설이라면 내용도 정확히 모르면서 시큰둥해지곤 했는데, 작가의 다른 작품은 읽어볼 생각이 들었다.   




덧.
1. 성장촉진제 주사를 맞을 아이들이 무버에 탄 채 길게 줄을 선 모습은 가히 상상만으로도 참담하다. 
2. 표지에 쓰인 '어느 늙고 미친 여자가 이 하찮은 일에 자기 목숨을 걸었다고'가 이렇게 뭉클한 말일줄이야.  




※ 출판사 지원도서

나는 봐야겠어요. 그래야 하는 게 있다는 걸, 원래, 누가 뭐라든 세상이 어떻고 세월이 어떻든 아무 상관 없이 당연히 그래야만 하는 게 있다는 걸요. 우리가 사랑하고 소중히 여기는 걸 허무하지 않게 만들어주는 게 하나라도, 단 하나라도 있다는 걸요. 그게 내가 생각하는 정의正義라는 말의 뜻입니다. 원래 그래야 하는 것, 누구도 아니라고 할 수 없이 당연히 지켜야 하고 그래서 적어도 내 가장 소중한 단 하나만큼은 허무한 게 되지 않게 해주는 것. - P123

내가 사랑한 건 인생이나 세상 같은 게 아니었어요. 사람이었죠.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 그 사람들 때문에 내 인생도, 세상까지도 사랑하려고 했었죠. 날 지치고 두렵게 하는 사실과 진실들을 안 보고 못 본 척하면서까지요. 하지만 그렇게 사랑한 것마저 잃을 수 있어요. 아무 이유 없이요. 말했듯 그게 세상이고, 그게 인생이니까요. 하지만, 정말 고통스러운 건 그 고통이 다른 수많은 고통과 다르기 때문이에요. 그 고통엔 의미가 있죠. 아무도 몰라도 나는 아는, 나한테는 전부이고 모든 것인 의미가요. - P1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