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 간토대학살, 침묵을 깨라
민병래 지음, 간토학살 100주기 추도사업추진위원회 기획 / 원더박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토대학살 100주기를 맞아 1923년에 벌어진 사건의 진실과 현재 우리가 마주해야 할 과제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1923년 9월 1일 일본 도쿄와 요코하마를 포함한 간토 지방에 7.9도의 대지진이 발생했다. 사망자만 10만 명에 이르렀다. 이때 조선인은 지진의 직접적인 피해와 별개로 조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일본 경찰과 자경단에게 무차별 학살을 당했다. 이재조선동포위문반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그 수가 6700여 명에 달했다(중국인은 700여 명이 사망). 물론 일본은 지금까지 진상 규명조차 거부하고 있고, 그동안 우리 정부 역시 간토 학실의 진실을 밝히라고 요구하지 않았으며, 단독 조사도 외면했다. 심지어 추도문조차 발표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간토 조선인 대학살'은 잊힌 사건이 되었다.  


재일사학자 강덕상의 연구는 두 가지 쟁점을 언급한다. 진도 7.9의 대지진이라는 자연재해에 일본 정부는 왜 계엄령을 발동했는가? 조선인 학살을 조장한 유언비어는 어디서 시작되어 어떻게 전파되었는가? 진실을 밝히려는 그의 오랜 여정 끝에 도달한 결론은, 간토 조선인 대학살은 자경단의 예상치 못한 범죄가 아니며 수백만 이재민의 반정부투쟁을 우려한 야마모토 곤베에 내각이 직접 '조선인 습격설'을 퍼트리고 조선인을 희생양으로 삼아 위기에서 벗어나려 했다는 것이다.  


(중략)






 
이 책에는 국적을 떠나 적지 않은 시간 동안 '간토대학살'의 사실 여부를 밝혀 과거사를 청산하고자 애쓰는 이들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조선인 유골을 발굴하여 추도하는 모임'을 만든 기누타 유키에, 극우단체의 비난과 직업을 포기하는 것을 감수하면서 간토대학살을 조사했고 추모비를 세우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한 니시자키 마사오, 일본인 목격자와 생존한 조선인의 생생한 증언이 담긴 다큐멘터리 영상을 통해 조선인 대학살의 진실을 밝힌 오충공 감독, 1923역사관을 세운 김종수을 비롯해 자이니치 래퍼 FUNI, 사진작가 천승환 등 예술가와 젊은 세대들이 간토대학살 사건을 알리는 데에 연대하며 애쓰고 있다.


오충공 감독의 세 번째 작품인 <1923 제노사이드, 조선인 대 학살 100년의 역사 부정>(가제)이 올해 개봉될 예정이고, 9월에는 천승환 사진작가의 간토 조선인 대학살 관련 사적지 사진 전시회가 열린다고 한다.  



아베 정권 이후 득세한 극우 세력으로 인해 급기야 1923년 간토의 불령선인은 2013년 도쿄에서 다시 등장했었다. 역사를 부정하는 극우 세력에 맞서는 활동을 하고 있는 가토 나오키는 과거의 학살을 사죄해야 미래에 평화가 온다고 믿는다. 그리고 역사를 기억하는 데에 있어서 앞선 세대가 할 수 있는 일은 증언의 '기억을 이어 주는 것'이라고 말하는 니시자키 마사오는 자신의 역할이 바로 그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역사수정주의에 대한 경계심을 말하는 야마모토 스미코는 사죄가 없다면 불행은 반복되고, 자신의 활동이 조선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일본인을 위해서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1923 간토대학살은 자서전, 일기장 등 기록으로 남은 수많은 증거와 생존자들의 생생한 증언이 그대로 살아있기에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우리도 이제 직.간접적인 도움을 줄 수 없다면 적어도 역사를 바로 아는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을까? 이 책이 막연하게 알고 있는 '1923년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에 대한 진실을 바로 알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람한다. 


책의 마지막에는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지를 방문하는 사람들을 위한 다크투어 안내서가 링크의 QR 코드와 함께 부록으로 실려있다. 여행자들에게 도움이 될 듯하다.




※ 출판사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