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유산
미즈무라 미나에 지음, 송태욱 옮김 / 복복서가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대체 어떤 인생을 살아왔길래 두 딸이 어머니가 죽기를 바랄까?'라는 의문을 갖은 채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중년의 자매는 죽은 엄마에 대한 애도는 커녕 입관까지 장례식장에 발을 들여놓을 생각도 없다. 








소설은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경제적 노후 대책, 돌봄의 사회화, 존엄사 및 자기결정권에 대해 여성 삼대의 서사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일방적이고 자기중심적이며 사치와 허영, 거기다 외도까지 일삼은 어머니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더구나 자신이 이루지 못한 꿈을 딸에게 투영해 진로와 결혼까지 강요한 어머니라면 딸들의 입장을 충분히 납득할만 하다. 어머니의 편애를 받은 딸은 불행했고, 방임당한 딸은 차라리 편안했다. 언니 나쓰키는 현재 독박 돌봄을 하고 있는 미쓰키보다 제 마음대로 인생을 살지 못한 자신 더 큰 피해자라고 여길 정도다.  


미쓰키의 일상을 따라가보면 숨이 턱턱 막힐 지경이다.
대학 강사로 일하면서 아르바이트로 번역 일을 하고, 어머니의 호출에 시도때도 없이 불려간다. 또한 어머니가 10년 넘게 노인병원에 처박아버린 아버지에 대한 죄책감도 미쓰키의 몫이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프랑스 유학 당시 사랑해서 결혼했다고 믿었던 남편 데쓰오는 상습적으로 외도를 일삼고 있다. 그런데 이혼을 생각한 미쓰키의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이혼 후 자신의 경제 상황이다.  


기혼 여성이 이혼을 결심하지 못하는 이유 첫번째가 경제 문제라는 어느 연구 조사를 읽은 적이 있다. 미쓰키가 이혼을 결정하는 데에 가장 큰 힘이 되어준 것은 다름아닌 어머니가 남긴 유산이었다.  


그렇다고해서 기쁜 건 아니다. 그저 다행일뿐. 어머니의 유산으로 갑작스럽게 돈이 많아졌지만 어떤 사치를 부리든 남편은 적반하장으로 외도 후 이혼을 염두하고 있고, 늙고 병든 부모의 수발을 마친 지병이 있는 오십대 중년의 인생은 아름답지 않았다. 미쓰키는 어미니가 죽은 후 안식을 위해 찾아간 호텔에서 죽음을 생각하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서로의 인생에 위로의 말을 던지며 자신이 살아갈 이유를 찾아간다.  


ㅡ 


소설은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경제적 노후 대책, 돌봄의 사회화, 존엄사 및 자기결정권에 대해 여성 삼대의 서사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2부에서 전후 세대들이 겪어온 인생과 앞선 세대를 이해하기에는 지금 당장의 현실이 고달픈 중년 세대의 이야기를 미쓰키의 모계와 호텔의 장기투숙객의 서사, 그리고 몇몇 문학작품들를 통해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그려낸다.  


이야기는 모녀의 애증 관계에서 시작해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현실적인 사회 문제로 확장해가고, 결국 인간의 한 생애에 대해 서술한다. 형제 간의 편애, 부모에 대한 순종, 결혼 후에도 부모로부터 정서적·경제적으로 완전히 독립을 하지 못하는 자식 세대, 자녀 양육, 부부 갈등, 중년으로 넘어가면서 소소하게 발생하는 건강 문제와 가정사, 그리고 돌봄을 필요로 하는 노부모. 이 과정이 순탄한 사람을 찾아보기란 참으로 어렵다. 그러면서 어느 순간 미쓰키가 그랬듯 우리는 자문한다. 나는 잘 살고 있는 것인가. 


특히 가족공동체를 바탕으로 한 연대를 강조하는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여기에 윤리적.도덕적 책임까지 묻고 있어 이에 대한 부담이 훨씬 크다는 생각이 든다. 1부가 현실 문제를 직시하는 사회파 소설 같다면, 2부로 넘어가면서 세대 간의 이해와 화해로 마무리한다.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일본은 노후 복지와 저출산을 생각해봤을 때 미쓰키가 스치듯 떠올렸던 생각이 지금의 젊은 세대의 생각을 대변하는 건 아닐까. 75세 이상 고령자들은 개인 비용을 크게 들이지 않고 수술할 수 있는데, 미쓰키는 이러한 복지로 국가 재정의 적자까지 떠올리며 대상도 없는 죄의식을 갖는다. 아이를 낳지 않는 선택을 했으나 그 이상으로 정력과 시간을 부모를 돌보는 일에 착취당했다고 말하면서 지금과 크게 달리지지 않는다면 아이를 낳을 생각이 없다는 미쓰키의 말은 다분히 지금의 젊은 세대를 대변한다. 


노인 역시 아무도 자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절망과 자괴감이 있다. 세대마다 스스로를 피해자로 여기며 상실감을 갖고 있다면 이 간극을 어떻게 좁혀나가야 할까. 소설은 비교적 희망적으로 끝나지만, 현실의 독자인 나는 마음이 무겁다. 




※ 출판사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