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자와 달빛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18
세르브 언털 지음, 김보국 옮김 / 휴머니스트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만연체가 지루하지 않은 소설을 만났다. 


낭만적인 제목과는 다르게 삶과 죽음에 대해 치열하게 사유하는 소설이다. 주인공 미하이는 끊임없이 죽음을 향해 가고 있는 듯 보이나, 본인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지만 그가 찾고자 하는 것은 살아야 할 '명분'이다. 








미하이의 심상한 생각으로 시작하는 소설은 신혼부부임에도 미하이의 예사롭지 않은 행동으로 인해 그들에게 어떤 사연이 있는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철학적이고 관념적이며 그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고 선의와 예의로 행동하는 아름다운 보헤미안 미하이. 그는 이번 신혼여행으로 자신이 결혼을 통해서도 어른이 될 수 없음을 인정한다. '폐허가 된 고대 성벽의 유적에 앉아 몇 시간에 걸쳐 행복하게 움브리아의 경치를 바라보'는 장면은 단편적이나마 미하이를 다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나는 왜 이 대목에서 미하이가 격하게 이해되는 거지?) 


미하이는 자신이 원하는대로 살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기대하는대로 살면서 혹사 당했다(고 본인은 생각했다). 그리고 가장 큰 자기 혹사는 바로 결혼이었다. 어쩌면 정서적으로 돌아갈 곳이 없었던 미하이에게 열차에 잘못 오른 것은 그의 무의식이 이끈 것일지도 모를 일이다. 그런데 현대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의 삶이 미하이가 혹사라고 표현하는 바로 그 삶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독자는 안다. 도망가듯 도착한 산악 도시에서 미하이의 행색은 관광객이 아닌 '도망자'다. 그런데 이 표현이 더할나위 없이 적절하다는 생각이다. 


한때 모든 것을 함께 나눈 친구였던 세베리누스 신부(에르빈)에게 고해 성사를 하듯 그동안 자신이 얼마나 가짜 어른의 삶을 살았고, 결혼을 망쳤고, 어디에서부터 시작해서 어디로 가야하며, 어떤 미래를 기대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하는 미하이. 그러면서 제발 외롭게 혼자 있는 자기를 내버려두지 말라고 부탁하는 모습은 살고자하는 그의 처절함이 잘 나타난다. 세베리누스 신부는 우연에 스스로를 맡기고 일정 없이 그 자신을 온전히 놔둬보라고 조언하는데, 소설의 마지막에 이르러서야 이 조언에 의미를 알 수 있다. 



소설에서 가장 흥미로운 지점이라 할 수 있는 발트하임과의 만남. 죽어가는 것이 에로틱한 행위라는 발트하임의 말에 터마시를 떠올리는 미하이는 그것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묻는다. 발트하임은 죽어가는 것은 성적 쾌락과 같은 것이며, 따라서 이때 죽음을 욕망하는 자들은 치명적인 사랑을 갈망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근대 이후에 원초적인 본능과 죽음의 욕망을 억누르는 것이 '문명인'으로서의 기본 소양으로 정착해 사람들은 욕구를 억누르게 되었다 설명인데,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이론적일 뿐 발트하임은 누구에게도 자살을 권유할 생각이 없다. 그러나 발트하임과의 만남으로 미하이는 에버에 대한 집착과 터마시를 향한 열망이 더 강해진다. 어디에서도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는 미하이는 터마시와 같은 죽음을 맞기를 바랐고, 자신이 죽어가는 순간 에버가 지켜봐주기를 바랐다. 터마시에게 해주었던 것처럼.


ㅡ 


겉으로 보기에 미하이는 자신의 욕구에 충실한 사람이다. 먹고 싶을 때 먹고, 유부녀든 비혼녀든 가리지 않고 사랑하고 싶은 대상이 나타나면 주저하지 않으며, 죽고자 할 때 죽으려 한다. 그의 행동에 미래에 대한 계획이나 타인에 대한 도덕적 배려와 의무는 찾아볼 수 없다. 어른이 되기를 포기하고 이러한 삶을 선택한 그가 자신의 삶에 있어 목적하는 바는 무엇일까?  


어쩌면 미하이에게 있어서 터마시와 에버는 도달할 수 없는 이상향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잡힐 듯 잡히지 않은 영혼의 목소리 같다고 해야할까. 미하이가 죽기로 작정한 날, 반니니 앞에서 부끄러웠던 이유는 자신의 죽음에 그 어떤 숭고함도 없는 것뿐만 아니라 터마시처럼 죽음 자체를 욕망하는 것도 아닌, 그저 도피에 불과하기 때문이었을 터다. 


밤새도록 환영에 시달리며 죽음의 사자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은 노동자였을 뿐이다. 죽음의 시간을 삶의 시간으로 바꾼 미하이는 그제서야 자신이 실제로 죽고 싶어하는지,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볼 의지를 갖는다.



이 소설에서 눈에 띄는 점은 미하이와 에르지를 비롯해 주요 등장인물들이 상대에게 직접 질문을 하고 답을 구하기보다는 혼자만의 생각으로 지레짐작하고 저울질을 하며 제나름의 잣대로 사람이나 상황을 판단한다는 것이다. 스스로 만들어낸 불안과 두려움 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그들의 모습에서 경쟁에 쫓기며 낙오와 생계의 불안으로 하루하루를 견디는 우리의 모습을 찾기란 어렵지 않다. 


삶에, 살아가는 데에 꼭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있을까? 죽음을 예정한 시각을 불과 서너 시간을 앞두고 이웃의 소소한 초대가 그날을 살 이유가 된다. 작가는 죽음을 이야기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살아가라고 말한다. 그러니 우리, 살아봅시다.


382.
폐허 속의 들쥐처럼 그 또한 살아남을 것이다. 어떠한 일이 있어도 살아남을 것. 인간은 살아 있어야 항상 뭔가가, 여전히 뭔가가가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사족
이 소설에서 사랑에도 예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에르지뿐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