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 아로새겨진 은행나무세계문학 에세 7
다와다 요코 지음, 정수윤 옮김 / 은행나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은 기후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일본이 물에 잠겨 사라진 가상의 상황을 설정해 놓고 있다. 덴마크 오덴세에서 시작된 두 사람의 우연한 만남은 트리어, 오슬로까지 이어지고 그 과정에서 또 다른 언어와 만남이 더해진다. 





 



유럽에서 유학 중 나고 자란 나라가 소멸해버려 하루 아침에 난민 신세로 전락한 Hiruko, 산업 재해로 살던 고향이 폐허가 된 텐조, 남성 신체를 가진 트랜스젠더 아카슈, 인생의 지도에서 뚜렷한 길이 보이지 않아 무기력해진 노라, 말을 잃고 부유하듯 불안정한 삶을 살아가는 Susanoo. 기후온난화, 기후난민, 극지방 원주민, 불법체류자 등 물리적 혹은 정서적으로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한 현대의 디아스포라와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이야기다. 


이 소설에는 언어에 대한 이야기가 다각도로 펼쳐진다. 
Hiruko의 언어 판스카는 스칸디나비아 일대를 아우르지만 얼마든지 변주가 가능하고 이질적인 기운을 담고 있다. 저자는 판스카가 Hiruko를 북유럽 사회에 완전히 동화시켜 드러나지 않게 만들어버릴 언어가 아니라고 썼다. 우리는 이주민을 수용할 때 '동화'를 염두에 둔다. 왜 '존중'이 아닌 동화에 초점을 맞춰야할까. 강압적인 동화는 다른 형태의 폭력이다. '판스카를 쓰는 한, Hiruko는 어디까지나 자유롭고, 자기 마음대로 존재할 수 있다.(p328)'. 한 단어에 여러 뜻이 담겨 있어 때와 상황에 맞게 쓸 수 있어 소통에 큰 무리가 없는 소통의 창발성이 필요한 시대가 점점 다가오는 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크누트는 네이티브와 비네이티브 중 어느 쪽이 더 픙부한 어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갖는다. 이는  Hiruko가 말한 '언어의 실'과는 다른 관점이다. 내 생각을 보태자면 언어는 언어 그 자체 외에도 함께 공유하는 역사, 정서, 문화, 시대성을 내포한다. 그런 측면에서  Hiruko가 말한 '언어의 실', 그리고 '모어를 말하는 사람이 모국인은 아니다'가 어떤 의미인지 짐작할 수 있다.  


근래에 '통화공포증'이라는 말을 알게됐다. 모든 의사소통을 문자화하고 있다보니 대화를 하는 것 자체를 거부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모티콘이나 부호들로 감정을 나타낼 수 있지만, 음성에서 전해져 오는 뉘앙스나 세밀한 감정을 전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아무리 아름다운 어휘라도 사용하지 않으면 사어가 될 수 밖에 없다. 음성 언어가 사라진 세상. 상상만으로도 참 별로다.  


Susanoo의 아버지는 로봇이 하는 말은 말이 아니라 수식이라고 했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모어든 모어가 아니든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인간의 말을 하고 있는가의 여부가 아닐까.   


마침내 말을 시작한 Susanoo.
이들의 여행은 오슬로에서 끝나지 않는다. 


합연기연合緣奇緣.
어쩌면 이 여행과 여행을 함께한 그들을 일컫는 것이겠다. 




283.
"너는 말하지 않는다. 너는 입을 다물고 있다. 너는 아무 말도 하지 않기로 한 것일까. 강요할 마음은 없어. 비난할 생각도 없고. 어째서 인간은 말을 해야 하느냐고 거꾸로 나에게 묻는다면, 대답하기 어려울지도 몰라. 하지만 너의 그 침묵은, 그대로 두면 죽음으로 이어질 것만 같아. 말하지 않는 사람들이 몇만 명이나 사는 섬을 상상해봐. 먹을 것도 있고, 입을 옷도 있어. 게임도 있고, 포르노 비디오도 있어. 하지만 사람들은 언어를 잃고, 흐슬부슬 죽어가는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