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하고 식물집사 - 늘 긴가민가한 식물 생활자들을 위한 친절한 가이드
대릴 쳉 지음, 강경이 옮김 / 휴(休)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나의 최대 관심사이자 고민은 '해충 박멸'이다. 지난번 분갈이도 화분의 크기를 바꿔주기 위함은 두 번째이고, 가장 큰 이유는 뿌리파리(정확한 이름도 책을 보고 알았다) 때문이었다. 그런데 흙을 교체하고 화분을 바꿔도 뿌리파리가 여전해서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면 대부분의 시간을 식물과 관련한 책들 앞에서 서성거리는 지경이었다. 1차적인 목적은 지금 당장 나에게 생긴 문제를 해결하기위함이었지만, 책을 읽다보니 식물 뿐만 아니라 사람에 대한 생각도 같이 하게 되었다.   
 







책을 펼친지 몇 장 되지 않았는데, 저자의 글이 눈에 쏙 들어온다. 온갖 노력을 쏟아부어도 식물의 외모는 불완전하기 마련이고, 화원에서 데려온 식물도 일단 머무는 집에 적응하고 나면 겉모습이 달라진다는 것. 처음 식물을 데리고 오면 내가 기대했던 모습과는 사뭇 다르게 자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옆으로 넓게 퍼져 고만고만하게 자랄 줄 알았던 제라늄이나 풍성하게 잎을 만들어내기를 기대했던 몬스테라는 꺽다리가 되어가고 있다. 이것이 내가 무언가를 잘못한 것인지 혹은 나에게 온 식물이 건강하지 못했나싶은 생각이 들었던 적도 있었는데, 이 글을 읽다보니 식물도 최적의 환경인 화원에서 벗어나 여러 면(빛, 토양, 통풍, 화분 등)으로 달라진 환경에 적응의 시간이 필요했겠구나, 그들 나름의 고군분투였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식물에게도 생애 주기가 있다는 사실! 동물이든 식물이든 삶과 죽음, 성장과 노쇠의 과정을 거친다. 저자는 식물의 필요를 살피고 자라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식물의 적응기를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식물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반려 식물에게도 주관적 수명이 있음을 받아들여야 하며, 그리하여 식물에게 제공하는 환경을 이해하면서 자연이 추구하는 길을 함께 가보라고 얘기한다. 무작정 누군가의 조언을 따르기보다, 직접 식물을 관찰하고 식물의 필요를 판단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새삼 깨닫는다. 



책의 절반은 식물을 키우는 데에 있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실용서 역할을, 나머지 절만은 그동안 저자가 써 온 반려 식물 일기가 수록되어 있다. 개인적으로 저자의 '반려 식물을 위한 일기'가 인상적이었는데, 그는 각각의 식물마다 생존을 위한 돌봄 전략, 성장을 위한 돌봄 전략, 토양 관리, 주관적 수명, 이렇게 네 가지 카페고리로 분류해 일기를 쓰고 있었다. 그것도 일기마다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추후 같은 식물을 들여 키우거나 혹은 문제가 생겼을 때 되짚어 볼 수 있어 무척 유용하겠더라는. 이렇게 쓸 엄두는 나지 않으나 상당히 도움이 될듯하여 흉내라도 내봐야겠다는 생각은 든다(쓸거리만 자꾸 늘어나는구나 😆). 



저자가 사용한 어휘들을 보면 식물도 사람의 일생과 다르지 않다. 생애주기, 거시적 돌봄, 주관적 수명 등. 생명의 한살이가 이렇게 다르지 않은데, 유독 인간만 순리를 힘겹게 어기며 살고 있다는 생각이 스쳐갔다. 비료는 식물의 성장을 돕지만, 성장시키는 것은 빛이라는 문구에 식물 뿐만 아니라 사람의 성장에 대해서도 잠시 생각해 본다. 인간이 성장하는 데 있어서 보조적 역할과 직접적 역할은 무엇일까. 식물과 인간이 다른 점이라면 인간은 내재적으로 무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일텐데, 저마다 인생의 빛과 수분과 토양과 비료는 무엇일지 몇몇의 사람과 잡다한 생각이 흘러갔다. 



실용서 읽으면서 생각이 달나라 별나라까지 뻗쳤다.
아무튼 이 글을 다 쓰고 나면 벵골고무나무 뿌리내려주러 나가야겠다. 




♤ 출판사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