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쇼핑백에 들어 있는 것
이종산 지음 / 은행나무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단편 일곱 작품이 실린 소설집이다. 
여성의 가족, 직장, 관계에 있어서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는 긴장과 공포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소설에서의 오컬트 요소와 공간에서 오는 음산함은 독자가 섬뜩함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나는 표제작 <빈 쇼핑백에 들어 있는 것>과 실린 작품 증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커튼 아래 발>, 그리고 <언니>가 인상적이었다. 


술 취한 남자가 휘두른 빈 쇼핑백에 젊은 남자가 사망했다. 쇼핑백 안에는 과연 아무것도 없었을까? 현장 목격자인 진아가 빈 쇼핑백에 맞아서 죽은 남자를 잊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상이 없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피가 철철 흐르는 모습으로 기억하는 이유는 그녀 역시 남편이 휘두르는 보이지 않는 빈 쇼핑백에 맞고 있기 때문이 아닐런지. 그 빈 쇼핑백 안의 내용물은 휘두르는 사람에 따라, 혹은 피해자에 따라 달라질 터다. 분노, 증오, 외로움, 상실, 고통, 절망 등 대상을 가지리 않는, 보이지 않는 폭력에 우리는 얼마나 두드려 맞고 사는지.  


가족의 갑작스런 죽음에 대한 충격과 고통, 상실감도 클텐데, 범인이 자기를 스토킹했던 사람이라는 사실은 살아 남은 자에게 죄책감까지 지운다. 스토커를 두고 '특별히' 해를 끼치지 않는 이상 어떤 조처도 취해줄 수 없다는 경찰의 말, 얼마나 특별한 해를 끼쳐야 사건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을까. 언제쯤이면 소를 잃기 전에 외양간을 살펴보려나. 


어린시절부터 강박증이 있는 엄마의 부당한 편애 피해자인 딸은 마흔 살이 되도록 상상할 수 없는 언어폭력을 당한다. 마흔 살 딸이 운신도 자유롭지 못한 일흔 살 엄마한테 가정폭력을 당한다면 누가 믿기나 할까? 중년의 딸은 엄마를 위해 자기가 얼마나 큰 것을 포기했는지 몰라주는 것에 대해 서러워 새벽까지 울지만, 엄마가 그녀에게 포기하라고 요구한 적은 없다. 엄마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그녀는 누구의 강요도 없이 결국 엄마를 선택했다. 왜일까?  


노년에 접어든 남자에게 자신은 당신과 다르게 살 거라고 호기롭게 말했지만, 비정규 계약직을 전전하는 현재의 삶에 미래는 막막하기만 하다. 죽어서도 밥벌이 터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우리네 인생이여.  


ㅡ 


혐오와 질투, 동경, 편견, 콤플렉스 등 욕망을 흔드는 감정들. 그리고 여기에서 오는 스스로에 대한 불편함과 자괴감 등 작가는 독자가 남성 뿐만 아니라 여성 안에서 일어나는 여성 혐오에 대해서 깊게 고민해볼 필요성을 갖게 한다. 


귀속말로 들리는 낯선 목소리, 철창 같은 거울, 커튼 밑으로 보이는 두 개의 발, 그림자처럼 따라 다니는 DM. 이들은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 구속과 억압에서 자유롭지 못한 현대인들과 일상에 스미듯 부유하는 공포를 상징한다. 


​언제까지 욕망을 스스로 거세하고, 세상이 요구하는 좀더 나은 인간이 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자기의 무능함을 탓하며 스스로를 학대해야하는 걸까. 또한 가정과 직장 내 혹은 여타의 관계에서 조여오는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은 없는 걸까. 폭력과 학대를 가할 자격은 누구에게도 없다. 또한 '맞을 만한' 사람은 더더욱 없다. 우리를 불안과 공포로 밀어 넣는 일은 누군가 던진 아주 사소한 한 마디에서 시작될 수 있음을 잊지 않기를.  


책을 덮고 나니 처음 조이스 캐럴 오츠의 소설을 읽었을 때가 기억났다.
오랜만에 대놓고 추천!




♤ 출판사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