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나의 선택 1 - 3부 마스터스 오브 로마 3
콜린 매컬로 지음, 강선재 외 옮김 / 교유서가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1부 로마의 일인자, 2부 풀잎관의 내용을 연대기 순으로 정리해 실었다. 3부는 술라의 두 번째 로마 진군 직전부터 시작한다.    


3부부터는 슬슬 세대 교체가 시작되고 있다. 종신(법적으로는 불특정 기간이라고 하지만) 독재관에 올라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는 술라를 중심으로 젊은 폼페이우스와 카이사르가 본격적으로 무대에 등장한다.  









독재관에 오른 술라의 행보는 가히 신적인 존재에 맞먹었다. 대중 앞에서 자신의 의견에 반론한 이를 곧바로 처형하고 공개된 공권박탈자는 아무나 죽여도 상관없으며, 공권박탈자 가족에게 연좌제를, 공권박탈자를 돕는 사람은 동급으로 처형당했다. 그야말로 술라의 독재관 시대가 막을 열었고, 로마가 술라의 장난감이 된 것이다.



폼페이우스는 술라에게 중요한 것은 오직 '존엄' 뿐이라고 말한다. 유일하게 죽음을 넘어선 승리, 사람의 물리적 존재의 멸실에 대한 승리가 존엄이라고 정의한다면 폼페이우스의 생각이 옳을지도 모른다. 결국 술라는 자신이 목적으로 하는, 누구도 예상할 수 없는 절대적 승리를 위해 싸우고 있었고, 마침내 긴 기다림 끝에 쟁취했다. 그런데 과연 그의 행위는 '존엄'할까.



전우이자 스승이었던 마리우스와 대척하고, 조카와 다름없는(실제로 한때 처조카였던) 마리우스 2세의 목을 자르고, 누이같은 율리아에게 아물 수 없는 상처를 주었다. 아들을 잃었고, 몸도 정신도 망가지고 황폐해졌다. 폼페니우스의 말대로라면 죽어서야 남겨질 존엄을 얻는 대가는 가혹하다.  



스스로를 '마그누스'라고 칭할 만큼 자신만만한 폼페이우스는 조직을 구성하고 계획하며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실행하면서도 사소한 부분도 놓치지 않는 재능과 함께 날카로운 명민함으로 현실을 냉철하게 판단하는 감각까지 타고났다. 그는 자신의 몽상을 서두르지 않고 하나하나 실제의 삶에서 성취해나가는 사람이다. 여기에다 몸을 굽힐 줄 아는 현명함까지 갖추어 술라의 휘하에서 조금씩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3부 1권에서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사건이 아닌 '인물'이었다. 술라, 폼페이우스, 카이사르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개인적으로 눈에 들어온 인물은 마리우스 2세와 아우렐리아였다.  


마리우스 2세. 어린시절부터 절대 권력자의 외아들로 태어나 부족함 없이, 그래서 자만심은 있으나 무엇이 되고자하는 욕망은 없었던 사람. '마리우스'라는 이름에 얹혀 스스로를 아버지와 동일시했던 오만과 착각의 대가는 처절했다. 아버지를 존경했고 순종했으나, 아버지로부터 배워야할 것들을 간과한 것이 잘못일 것이다. 마리우스 2세가 아버지로 물려받은 것은 금전적 풍요와 자존심 뿐이었고, 정작 마리우스에게 배워야할 것을 흡수한 사람은 마리우스가 그토록 경계했던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였다.


율리아의 자상함과 다정함은 없지만 필요할 때마다 아들의 장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아우렐리아. 카이사르 역시 자신의 어머니가 어떤 능력을 갖춘 사람인지 충분히 인지했기에 고비의 순간마다 어머니의 충고를 받아들였을 것이다. 아우렐리아가 술라를 사랑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그녀는 지켜야할 것들을 지켜냈다. 술라와 아우렐리아의 회한에 가까운 감상이 우정인지 사랑인지 알 길은 없으나, 분명한 건 두 사람은 서로 닮았다.



​술라가 전쟁을 비롯한 여러 상황에 당면했을 때 그가 생각하는 것은 '사람'이다. 무언가를 판단하고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아군이든 적이든 혹은 불시에 적이 될 수 있는 동지든 사람을 먼저 읽는 모습은 그가 그저 마리우스를 잇는 전쟁 천재이기만한 건 아니라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인간의 욕망은 참으로 잔인하다. 율리아를 생각해서라도 자결한 마리우스 2세의 머리를, 굳이 창 끝에 꽂기까지 해야 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