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수업 - 불교철학자가 들려주는 인도 20년 내면 여행
신상환 지음 / 휴(休)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행이나 답사를 다닐 때 근처에 성당이나 사찰이 있으면 가능한 들러보려고 한다(물론 답사 일정에 성당이나 사찰이 있는 경우도 많다). 불교는 나에게 익숙한 종교가 아니다. 등산과 답사가 계기가 된 사찰 방문은 종교와 무관한 안온함을 주기는 하지만 불교에 대해서 아는 바는 상식 수준을 넘지 못한다.   


제목이 <인도 수업> 이지만, 절반 정도의 분량이 티벳과 불교 이야기다. '불교 수업'에 더 가까운 책이 아닐까 싶은데, 그럼에도 제목이 <인도 수업>인 까닭은 인도에서 이야기가 시작되고, 저자가 어디에서 무슨 얘기를 해도 결론은 인도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를 짓기 때문인 듯하다. 인도에서 20년 수학한 저자가 인도, 티벳, 투르크 여행기를 불교와 접목시켜 서술한다.  








 
인더스강은 기원전 3세기 인도 정복 전쟁을 펼쳤던 알렉산더 대왕이 그리스어로 '인도스'라고 불렀고, 페르시아인들은 '힌두스'라고 불렀다. 이러한 과정을 겪으며 오늘날 인더스강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인도인들을 부르는 '힌두'가 생겨났다고 하네. 인도에는 국어 즉 national language가 없다. 이는 인도의 역사.인종.지형 등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애초부터 '나라말'을 생각하기에는 그 규모가 컸고 그곳에 사는 사람들이 너무 다양했던 것. 이처럼 인도의 언어와 어원, 역사, 문화의 유래와 현재 인도인들의 삶 등을 여행자가 아닌 현지인의 입장에서 이야기한다. 




티벳은 궁금하지만 검색으로 아는 게 전부인 곳이다. 먼저 새롭게 안 사실, 티벳학이라고 하는 것은 티벳의 문화.역사 등을 공부하는 것이고, 티벳 불교는 이 기운데 불교를 전문으로 다루는 것이고, 티벳 밀교는 티벳의 현밀쌍수의 전통 가운데 밀교를 강조하며 수행하는 것 등을 가리킨다(티벳 불교와 밀교는 다르다). 그럼 여기서 현밀쌍수는 무엇인가? 이런 식으로 아는 건 없고 궁금증은 못 참아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자료를 찾느라 읽는 시간만큼이나 검색하고 다른 책을 들추는 데 시간이 들었지만, 그 과정도 꽤 재미있었다. 


대승 불교가 대중들에게 널리 퍼지게 된 배경이 '시장의 요구' 때문이었다고. 티벳의 불교 전래는 불교적 세계관을 그 문화적 원형으로 삼고 출발했다. 당시 주나라에서는 사후 문제를 언급하면 은나라의 귀신 숭배 사상과 겹쳐 소위 이단으로 낙인이 찍히게 되었는데, 중국에 전래한 불교가 커다란 마찰 없이 도교의 개념을 빌어 중국 문화와 융합될 수 있었던 것은 '사후 문제의 결여'라는 빈자리를 채워줄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에는 그만한 이유가 다 있다더니!) 


인도-티벳 불교의 전통을 이해하는 핵심은 '세간의 진리'와 '수승한 의미의 진리' 이다. 일체 부자성에 근거를 둔 언설로 표현 불가능한 연기 실상의 세계와 언설로 된 희론의 세계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일체 부자성=연기=공성' 이라는 항상 움직이는 세계를 언어.개념.정의 등으로 고정하는 언설의 세계로 전환하는 순간, 오류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거 이해하는 데 시간 좀 걸렸다) 


중국 불교가 소의경전(Root text Buddhism)이라면, 티벳 불교는 주석불교(Foot note  Buddhism)이다. 그러나 기도와 신행, 대승의 근간인 자비심과 공성을 강조하는 것은 공통분모다.  


티벳 불교에서의 밀교는 생활 그 자체를 뜻한다. 신행의 근간이 되는 진언과 염송은 밀교의 전통인데 대승 불교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니 티벳 불교=밀교로 취급할 필요는 없다. 밀교는 스승과 제자 간의 법의 전승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제례 의식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중국이나 티벳의 밀교는 공통점을 지녔으나 티벳 불교는 '티벳 불교'의 특징을 지닌다. 이외에도 티벳 불교와 비티벳 불교의 차이, 티벳 불교가 세계로 퍼져나갈 수 있었던 이유, 그리고 티벳의 간략한 역사 등 티벳(불교)에 대한 궁금증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었다 


'자유 티벳'을 향한 불교의 불살생 언칙에 따른 비폭력 투쟁을 계속하는 티벳 불교와 만가지 단점에도 불구하고 유일무이에 가까운 한국의 호국 불교의 위대함은, 방식은 다르지만 맥락은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2장 티벳 이야기]를 읽고는 나름 진심 뿌듯했다는.  



[4부 투르크 이야기]는 그야말로 여행 에세이 느낌이 물씬 나는 부분인데, 읽다보니 몇 년 전에 읽은 유홍준 교수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중국편 중 '실크로드의 오아시스 도시' 가 생각났다. 중복되는 내용이 많지는 않지만 그때 기억을 되짚어 가며 읽는 것도 꽤 괜찮은 읽기였다. 파미르 고원 , 톈산 산맥, 키르기스스탄의 오시, 카자흐스탄의 북아랄해, 투르케스탄의 아흐멧 야사위의 대영묘, 사마르칸트 등 두 달에 걸친 중앙아시아 여행기. 이렇게 긴 여행 일정이 가능하다니 그저 부러울 따름이다.  


비록 일부나마 내가 이 책이 아니면 어디서 불교 경전을 쉽게 만날 수 있을까 싶다. 나에게는 불법을 따라가는 생소한 여행기였지만, 내 나름의 의미가 있었다. 불교를 철학적으로 접근해 보고 싶다는 생각도 든다(종교학으로는 엄두가 안나고). 




​♤ 출판사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