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칸카 근교 마을의 야회 을유세계문학전집 116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 지음, 이경완 옮김 / 을유문화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분, 이 세상은 얼마나 지루한가요! (p440)



 
일단 그동안 읽어왔던 고골의 작품과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마차>와 <로마>를 제외하면 우크라이나 설화와 민담, 민간신앙을 바탕으로 민속적 색채가 가득한, 마치 옛이야기를 읽는 듯한 기분이다. 여기에 실린 작품집을 읽다보면 고골이 우크라이나 카자크 출신임을 새삼 깨닫게 될 만큼 민족적 정서가 두드러진다. 우리나라의 옛이야기에서도 귀신이나 신령한 동물들이 자주 등장하고 전통적인 권선징악을 다루듯, 이 작품들 역시 악마와 마녀, 마귀 등이 단골로 등장해 위기와 갈등을 조장하고 대부분 권선징악으로 마무리된다. 셰익스피어의 희극처럼 해학적이고 풍자스러운 소동극과 판타지 요소도 있지만, 다소 기괴하고 음울한 이야기들도 있다. 물론 여타 고골의 작품에서 보아왔던 인간의 욕망과 가식과 허위, 나약함과 쓸쓸함, 그리고 염세주의도 볼 수 있다.  








 
시장으로 가는 길에 만나 첫눈에 사랑에 빠진 젊은 두 남녀. 아버지가 교활한 아내에게 휘둘려 딸의 결혼을 반대하자 영악한 꾀를 내어 결혼에 성공한 젊은이처럼 아름다운 이야기가 있는가 하면, 남자가 가난하다는 이유로 여자의 아버지가 결혼에 반대하고 폴란드인과 결혼을 강요하자 절망에 빠진 젊은이는 마귀의 꾐에 넘어가 동생을 살해하고 보물을 얻어 결혼에 성공하지만 1년 후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되는 섬뜩하고 슬픈 이야기도 있다. 그리고 대장장이 화가를 통해 보여지는 진정한 사랑에 대해서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환상적 요소를 갖추고 있는데다 결말까지 해피엔딩으로써 작가의 염세적인 세계관에서도 사랑을 통한 인간 구원이 있음을 말해준다. 그런데 소설의 후반부에서 두 이반의 싸움은 이러한 희극적이고 희망적인 면을 싹 지우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가만 생각해 보면 인간의 욕망과 허위를 걷어내지 않는 한 인간 세상에 희망이 없다는, 비관적 세계관을 말하고 있음이 아닐까 한다.


 
권력자의 전형(부정적인 면에서)을 보여주는 촌장은 처제와 내연 관계이면서 아들의 연인까지 가로채려고 하는데, 아들은 이러한 촌장(아버지)를 골탕먹이며 조롱한다.선의를 실행하고자 하는 마을 청년들에게 욕설과 저주를 퍼붓는 촌장과 내연녀는 젊은이들과 대립 관계를 이루는데, 이처럼 선과 악의 대립 구도는 소설 곳곳에서 보여진다. 또한 <무서운 복수>에서의 마지막 반전은 인간의 한계로 인해 갖게 되는 염세주의를 보여준다. 재미있는 점은 신이 정의를 구현하는 방식이 인간의 복수와 다를 바 없어 우습기도 했다만, 한편으로는 종교가 보여주는 한계 역시 짚어낸 것이 아닌가 싶기도 했다.



이 작품집에서 이전에 읽어왔던 작품들과 분위기가 가장 비슷한 작품은 <마차>다. 인간의 허세를 마차의 발판을 이용해 상징적으로 표현했는데, <코>를 연상하게 하는 작품이었다(그래도 '코'가 더 좋다). 제일 의외였던 작품은 <로마>다. 마치 에세이 혹은 자전적 청춘 소설같은 느낌의 <로마>는 가장 편안하게 읽었다. 한때 로마를 예찬했다는 고골의 심경이 그대로 투영됐다싶을만큼 아름답게 그려냈다. 




도스토옙프스키와 톨스토이를 한창 읽을 때에는 아카데미에 강의까지 들으며 작가를 파고들곤 했는데, 고골의 작품은 제법 읽는다고 읽었지만 작가에 대해서는 수박 겉핥기 수준이다보니 작품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더하여 카자크(슬라브계) 민족을 비롯해 관련한 민족의 역사와 민족성, 그리고 당시 얽혀있었던 타타르, 터키, 폴란드에 대한 배경을 알고 읽으면 옛이야기 이상의 더 큰 재밌를 느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스스로에게 아쉬움이 남는다.  


소설 곳곳에서 나타나는 유대인 혐오, 카톨릭과 정교를 결합시키고 유대인이 가난한 민족을 몰아내고 있으며 우크라이나에는 질서가 없다고 자조하는 다닐로(무서운 복수)를 통해 고골이 가지고 있는 기독교 사상과 문학의 연계에 대해서도 궁금해졌다(종교 서적은 거의 읽지를 않아서).  



작품 사이사이 삶이 지루하다고 말하는 고골이 하고 싶었던 말은, 어쩌면 여왕을 알현하는 자포로지예 사람들이 민족에 대한 차별을 언급할 때 구두를 갖고 싶다는 바쿨라의 천진성에, 결혼하고 가정을 이루며 평온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서민의 소박함에 있지 않을까.




□ 출판사 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