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푸른숲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 애런데일은 임신 중에 혹은 출생 직후에 자폐를 치료할 수 있는 세상에서 그 혜택을 받지 못하고 태어난 마지막 세대다. 같은 세대의 자폐인들은 자신들이 조금만 더 늦게 태어났다면 '정상'인으로 살 수 있었을 것라고 생각한다. 소설은 자폐인 루의 시선에서 서술하는데, 그가 바라보는 정상인들의 모습은 다양하다. 그의 시선을 하나하나 좇다보면 독자는 어느새 그들에게서 그동안 의식하지 못했던 자신의 일부분을 볼 수 있다.  



포넘 박사는 탁월한 지적 수준을 갖고 있는 루(자폐인)가 읽을 줄 안다(문해력)는 사실을 모르고, 그가 하는 말은 무의미하고 기계적이며 뜻도 모른 채 중얼거리는 입내라고 생각한다. 그녀는 루의 정신과 주치의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생각을 알고 싶어 하지 않는다. 루에게는 '생각'이 없다고 여기니까. 진 크렌쇼는 자신에게 의문을 제기하는 직원을 부정적인 직원들로 치부하고, 직원의 사고와 불행에 공감하지 못하며, 타인의 인생을 제물삼아 제 욕망만 채우는 사람이다. 많은 사람들은 자폐인에게 사랑도 성생활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돈은 마저리가 자신을 싫어하는 것도, 펜싱에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도, 심지어 일이 잘 풀리지 않는 것도, 모두 루와 같은 자폐인 때문이라고 분노하며 테러를 감행한다. 사람은 처한  위치나 신분에 따라 다르게 불려진다. 그러나 '정상'인들의 눈에 자폐인은 그 사람이 무슨 일을 하든, 어떤 위치에 있든 그냥 자폐인이다. 이들의 모습은 소수자에 대한 지원을 역차별이라고 주장하는 현재의 사람들과 같다.  



그렇다면 루의 편에서 그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톰과 루시아와 마저리, 회사에서 자폐인의 입장을 대변해주기 위해 노력하는 올드린은 어떨까? 루는 크렌쇼와 돈에 대한 그들의 분노가 어디를 향하는지에 대해 궁금해한다. 정말 온전히 이타심에 입각해 불의와 폭력을 저지른 사람들에 대한 분노인지를. 물론 그들에 대한 선의를 의심할 필요는 없다. 그들이 루에게 애정이 있음은 분명하다. 어차피 사람은 누구나 타인의 감정에 완벽하게 이입하기 힘들기도 하고. 어쩌면 루가 정상인이 되고 싶어하는 이유 중 하나가 그것일지 모르겠다. 타인의 감정에 대한 이입과 관용적 이치. 그렇지만 우리가 제3자를 향한 가해자에 대한 분노가 이타심인지를 들여다 볼 필요는 있다. 과연 그 분노가 피해자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잠재적 피해자 혹은 간접적 피해자인 자신을 위한 것인지.  
 



작가는 의도적으로 '정상'인이라는 용어와 루의 자문을 통해 독자에게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 대해 끊임없이 묻는다. 등장인물 들에 의해 자폐인을 비하하는 내용을 따라가보니 이는 특정 대상이 아닌 살아 있는 모든 인간이 직면한 고민들이다. 다람쥐 쳇바퀴 돌듯 반복된 생활의 연속, 소통과 공감과 이해와 상대에 대한 측은지심의 부재, 실패의 두려움에 의한 도피, 이성에 대한 호기심과 연애, 선택의 기로  등 우리 모두가 삶의 과정에서 겪는 문제이자 굴곡이다.  



루는 자신이, 내가 나로서 존재하기를 바라듯, 돈이 비록 범죄자라고 하더라도 두뇌에 칩을 넣어 사회 복귀 훈련을 받은대로 살기를 원하지 않는다. 돈이 공식적인 장애인은 아니지만, 그가 더 장애를 갖고 있다는 말이 맞을 것이다. '정상화 수술'은 자폐인들이 연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루는 돈의 테러 사건을 겪으면서 타인과의 관계 맺기에 있어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이 있음을 깨닫고, 처음으로 자신의 집에 직장 동료를 초대한다. 그리고 회사와의 협상 과정을 통해 자신들의 세계에서 스스로 나오기 시작한다. 이제 그들은 스스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한다. 이렇게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묻고 성장하는 과정 역시 인간이라면 누구나 평생에 걸쳐 있는 것이 아닐까.



캐머런은 크렌쇼가 강요하는 수술을 받겠다고 말한다. 편견어린 시선과 정기적인 정신과 치료, 누구에게나 어느 정도 있는 자기자극적 행동이 자폐인에게만 있는 것처럼 인식되어 있는 고정관념, 익숙해서 서로를 잘 이해하지만 공감력이 부족한 자폐인 사회, 안정성 증명서 없이도 결혼하고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정상인으로 살고 싶어서. 그것이 비록 나의 본질과 다른 사람이 된다 하더라도. '정상화 수술'로 다른 사람이 된다고 하더라도 자폐증은 자신의 일부라는 루의 말에서 과연 장애의 정체성에 대해 물을 수 밖에 없다.



수술의 결정은 결국 본인의 몫이다. 다만 '정상'인이든 아니든 어디에도 완벽한 행복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회에서 '정상'의 기준은 늘 다수의 기준이었으며 자폐인의 약점이듯 말하는 공감 능력은, '정상'인들 안에서도 제대로 작동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크렌쇼 씨를 보라!)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또한 작가의 말처럼 우리의 삶은 생각만큼 예측 가능하지 않은, 변수의 연속이지 않은가. 이 소설의 매력은 우리가 착각하기 쉬운 심리적 함정을 잘 간파하고 있다. 내가 어느 함정의 구덩이에 빠져있는지 각성하는 것도 읽는 묘미가 될 터다.  




♤ 출판사 지원도서, 지극히 사적인 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