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80
하인리히 뵐 지음, 김연수 옮김 / 민음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 : 혹은 폭력은 어떻게 발생하고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 

 

1974년 2월 20일 수요일 저녁, 여성 카니발 전날 밤, 어느 도시에서 스물일곱 살의 젊은 여성 카트리나 블룸은 엘제 볼터스하임이 주최하는 파티에 참석한다. 그 파티에서 자신을 탈영병이라고 고백한 루트비히 괴텐을 만나 첫눈에 사랑에 빠지고 그의 도주를 돕는다. 그러나 경찰은 그의 말과는 다르게 괴텐이 절도와 강도 용의자임을 카트리나에게 알리며 그녀를 참고인 자격으로 연행한다. 

 

하룻밤 사이에 카트리나는 경찰이 추적 중인 강도의 연인이며 그의 도주를 도왔을 뿐만 아니라 공범이 아니냐는 의혹까지 받는다. 괴텐의 사건을 쫓던  <차이퉁> 신문기자 베르너 퇴트게스는 사실과는 전혀 다른 자극적인 기사로 이슈몰이를 하고 그로인해 카트리나의 주변인물까지 고통당함은 물론 그녀의 어머니는 쇼크로 사망하기에 이른다. 더이상 견디기 힘든 카트리나는 결국 퇴트게스를 총으로 살해한다. 

 

 

■ ■ ■ ■

 

소설의 부제 <폭력은 어떻게 발생하고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를 보면 짐작할 수 있듯이 이 소설에서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명백히 드러난다. 작가가 지적하고 싶었던 폭력은 어떤 폭력을 말하는 것일까? 

 

카트리나 블룸은 어떤 사람인가? 

어린시절과 결혼생활은 불운했지만, 친절하고 차분하며 계획성 있게 맡은 일을 처리하는 데에 책임감 있다. 필요 이상의 금전적 호의는 거절할 줄 알며 여건이 되는대로 일거리를 찾아서 자립하는 정직하고 성실한 사람이다. 또한 다정함과 치근덕거림을 구분할만큼 자신의 감정에 예민하고 상대를 선택하는데 있어 외적인 조건에 상관하지 않으며 주관이 뚜렷하다.

 

이토록 자신의 생활에 있어 반듯한 그녀를 언론은 어떻게 탈바꿈시켰을까? 

 

먼저 괴텐과 그녀가 2월20일 처음 만난 것이 아니라는 추측을 확신하듯 보도한다. 괴텐과 카트리나가 파티장에서 파트너를 바꾸지 않고 춤을 추었던 사실, 그들의 눈빛과 몸짓 등을 지켜본 이들을 인터뷰하면서 '~ 같았다' 혹은 '공산주의 냄새를 맡았다'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인터뷰이의 말을 사실처럼 기사화한다. 

 

카트리나가 가정부라는 신분으로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그녀의 노동의 과정과 전문성, 성실함은 삭제시킨 채 강도질에 동조하고 엄청난 부를 축적한 것인양, 그리고 과거에 그녀와 관계있는 사람들의 단편적인 정보를 전부인 듯 오도한다. 이제 진실 여부와는 상관없이 그녀는 오랜 친분이 있는 몇 사람을 제외하면 고립된 상태다.

 

또한 언론은 카트리나와 그녀의 가족, 주변인들까지 사찰에 가까운 신상털기에 나서 사건의 본질과는 아무 상관없는 마녀사냥으로 확대시켜 개인의 인생을 파멸로 몰아간다. 암수술 이후 안정을 취해아 하는 카트리나의 어머니를 찾아가 의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인터뷰를 강행해 사망까지 이르게 하고(심지어 그 죽음도 딸의 행실에 대한 충격이 원인이라고 기사화한다), 그녀의 고용주였던 블로르나 부부를 좌익 공산주의 빨갱이로 몰아붙여 사회적 지위와 생계를 위협하고, 파티 호스트였던 엘제 볼터스하임의 부모까지 들춰낸다. 도대체 이들이 이 사건과 무슨 관계가 있다는 말인가! 

 

이 사건에서 악질적인 두 인물이 등장하는데, 카트리나를 희롱했던 슈트로입레더와 <차이퉁> 신문기자 퇴트게스이다.

슈트로입레더는 자신이 카트리나에게 억지로 떠안긴 반지와 열쇠로 그녀가 궁지에 몰렸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입지 때문에 진실을 밝히지 않는다. 퇴트게스는 허구와 사실을 교묘하게 섞어 기사를 이슈화 한다. 그가 그토록 쓰레기 기사를 쓰는 이유가 무엇인지는 소설에 언급되지는 않는다. 데스크의 지시였는지, 개인의 출세욕 때문이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저널리스트로서 가져야할 기본 소양이나 양심, 소명감 따위는 그야말로 쓰레기통에 처박아 놓은 사람이라고 밖에는 달리 할 말이 없다. 

 

그렇다면 카트리나는 왜 슈트로입레더에 대해서 사실대로 진술하지 않았을까?

 

그녀가 슈트로입레더 같은 사람을, 그러니까 부유할 뿐만 아니라 정계나 재계, 학계에서 거절할 수 없을 정도의 매력 때문에 영화배우만큼 유명한 사람을 거부한다고 하면, 누가 그녀의 말을 믿어 주겠는가? 그리고 그녀 같은 가정부가 영화배우 같은 사람을 거절한다고 하면, 그것도 윤리적인 이유에서가 아니라 취향을 이유로 거절한다면, 누가 그녀의 말을 믿겠는가?

p112

여론은 한낱 가정부에 불과한 자신보다 명망있는 유명인의 말을 더 신뢰할 게 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중의 머릿속에 '설마 신문이 거짓말을 하겠어?'라는 무의식의 지배를 무시할 수 없다. 지금이야 1인 미디어 시대가 도래했고, 국민의 의식도 높아져 예전보다는 여론몰이에 덜 휘둘리기는 하지만, 1970년대에 신문의 역할은 절대적이지 않았을까 싶다. 

 

무엇보다 <차이퉁>이 가장 대표하는 신문이라는 것이 카타리나를 더 두렵게 했을 것이다. 소설에서 언급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모두 차이퉁을 통해서 듣게 된 것이네', '내가 아는 사람은 하나같이 차이퉁을 읽거든요'처럼 <차이퉁>에 실린 기사는 경찰이 수사한 내용보다 더 진실이라는, 보이지 않는 공식에 저항할 힘을 잃었을테다. 그리고 소설 초반에 살인 사건 이후 카니발 고위급 위원이 한 말과 다른 기자 쇤너의 죽음은 씁쓸함을 남긴다. 물론 카니발을 통해 지역 경제를 걱정하는 그의 입장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이후 언론 플레이로 결국 살인자가 되어버린 카트리나와 더불어 삶이 나락으로 떨어진 그의 지인들을 생각하면 '즐기고 노는 데' '신뢰'가 필요하다는 말은 신뢰의 무게가 어디에 있어야하는지, 경중이 바뀐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제 작가가 지적하고자 하는 폭력이 무엇인지를 독자는 안다.

언어와 글의 폭력.

문명인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교양이 폭력이 되는 순간 인생 전체가 어떻게 곤두박질 치게 되는지, 시대의 저널리즘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어떠한 사태가 일어날지 여실히 보여준다. 요즘 시쳇말로 '기레기 기자'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단순히 기자의 자질 문제일 뿐일까? 기자가 진실을 왜곡하지 않은 기사를 쓴다고 해도 데스크와 언론사를 스폰하는 기업 혹은 권력의 영향은 지대하다. 결국 한 사람의 기자가 양심을 지킨다고 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다. 결국 저널리스트들이 본연의 태도를 잃지 않아야 함은 물론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여론의 눈도 절실한 시대가 되었다. 작가가 희망하듯 모쪼록 신뢰가 살아 있는, 죽지 않은 저널리즘을 기대한다.

  

 

그 모든 것이 거짓말이라는 걸 사람들이 어떻게 알 수 있겠어요.

카트리나 블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