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스티브 잡스가 반한 피카소
이현민 지음 / 새빛 / 2020년 2월
평점 :
품절


 

Why?  & Why not?

영화와 미술의 만남.

영화에 등장한 혹은 관련이 있는 미술 작품을 영화와 함께 읽어주는 책이다.

실린 영화 중에서 두 편-누드모델, 아르테미시아-을 제외하면 모두 관람했고, 미술 작품 또한 간적적으로나마 한번 쯤은 접해봤기에 한편으로는 익숙하게, 한편으로는 새롭게 접했다.

 

저자는 작가와 작품을 단편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당시 시대적 배경 뿐만 아니라 국제 정세를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 흐름과 변화가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짚어가며 논리적으로 서술한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요하네스 베르메르와 아르테미시아, 바스키아.

(아르테미시아는 다른 책에서 우연히 알게 되어 좋아했는데, 영화가 있는 줄은 몰랐다. 조만간 찾아서 보기로).

렘브란트를 좋아하는 지인들이 다수 있는데, 나는 그의 그림은 너무 어두워서 보고 있으면 나까지 동굴 속으로 들어가는 기분이다. 베르메르의 그림은 어두운 듯 하면서도 은은한 밝음이 있고, 집중하는 여성들의 모습도 좋다. 아르테미시아 그림의 확 와닿는 현실적 표현과 (나에게 있어)그 연장선에 있는 바스키아. 바스키아가 절대적 멘토이자 후원자였던 앤디 워홀을 만나지 않았다면 그의 작품을 우리는 만나지 못했을까? 앤디 워홀이 아닌 다른 후원자를 만났으면 어땠을까라는 의미없는 상상을 해 본다(나는 앤디 워홀을 썩 좋아하지 않는다). 

 

책에서는 여성 작가를 다루면서 대표적으로 아르테미시아, 카미유 클로델, 프리다 칼로를 들고 있다. 그들은 예술가로 인정은 고사하고 여성이라는 이유만로 재능을 억압 받고, 그들의 작품을 폄하했다. 이미 지나간 일이고 때를 잘못 만났다고 하기에는 안타까운 부분이 많고, 근대까지도 그 현상은 지속된다. 1970년대 페미니즘의 활동과 더불어 미국 예술계에는 여성 작가의 위상이 점차 높여졌다고 말하는데, 현재는 어떨지는 여전히 의문이 든다. 

저자의 의견에 개인적으로 많이 공감하고 동의했던 부분은 자본주의가 예술에 미치는 영향이다. 이념이 맞서는 세상에서는 정지적 도구로 이용당하고,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세상이 도래함으로써 예술의 창의성과 자유, 공공의 역할은 사라지고, 돈으로써 권력을 움켜쥔 이들에 의해 선전 도구로 전락하거나 예술가 고유의 영역을 침범 당할 뿐만 아니라 생계까지 좌지우지 되고 있다.  

 

과학이든 예술이든 문학이든 순수 분야가 존재해야 할 이유는 분명하다. 그들의 창의성과 자유를 존중하지 않는다면 이제 우리는 순수 학문이나 예술을 만나는 기쁨은 접어두어야 할 것이다. 그들이 개인적인 사고를 통해 공공의 역할을 할 수 있게끔 사회적 제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제 우리는 권위적인 예술문화에서 벗어나 놀이도 미술이 되는 세상에 살고 있다. 일상에서 또는 자연에서 만나는 색, 형태, 소리 등에 상상력을 보태어 예술로 승화할 수 있고, 이러한 경험은 적어도 우리를 정서적 무능의 상태로 몰아가지는 않을 것이다.

 

마음만 먹으면 우리는 어디에서든 미술을 만날 수 있다. 작은 미술관을 비롯해서 지역마다 종종 열리는 원화전, 길거리의 설치 미술, 어린 아이들의 낙서 등 열린 사고만 있다면 가능한 일이다.

무심코 지나치는 조형물에 관심을 보이시라.

잠시나마 그곳이 곧 미술관이다.

 

상상력이란 세상과 사물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바라보게 하는 능력이고,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우리 자신의 의식적인 노력이다.

존 듀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