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와 당신들 베어타운 3부작 2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은 한 마을이 무너지는 걸 본적이 있는가. 우리 마을이 그랬다. 그것 말고는 다른 할 일이 생각나지 않을 만큼 서로를 증오하는 분위기로 몰아가는 게 때로는 얼마나 간단한지 모른다.

본문 중에서


지난 봄, 성폭행 사건의 진실이 밝혀질 때만 하더라도, 다시 일상으로 돌아올 줄 알았다. 하지만 한 가족은 붕괴되기 시작했고, 아이스하키 팀은 해체 직전이고, 마을의 균열은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하키를 정치적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지역구 의원 리샤르드 테오, 하키는 그저 하키일 뿐 빙상 위에서는 그 어떤 간섭도 있을 수 없다는 신임 코치 사켈, 늘 그래왔듯 하키 그 이상의 하키를 통해 아이들이 성장하기를 바라는 전임 코치 수네, 하키가 인생의 전부이고 하키팀을 살리기 위해 마뜩치 않은 정치인과 손을 잡아야하는 단장 페테르, 남편과 아이를 위해 항상 자신이 원하는 바를 내려놓았지만 점점 힘에 부치는 미라, 가족과 형제를 위해 언제라도 달려나갈 준비가 되어 있는 티무와 그 일당.


성폭행 사건을 고발하고 진실을 밝혔지만 증거가 없어 케빈을 법적으로 처벌하지 못했다. 그래서 마야는 '걸레'로, '공주님'으로 불린다. 마야 곁에는 아나가 버티고 있다. 자매와 다름없는 둘 사이에도 틈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아나. 왜 그랬을까. 순간의 실수였다. 그로인해 자매이자 친구를 잃었다. 자책감과 상실감에 죽고 싶을 때 충동조절장애가 있는 비다르와 만났다. 그로부터 위로 받고, 그로 인해 용기를 낼 수 있었다. 비다르. 형제와 친구들의 도움으로 충돌을 조절해 나가고 있었다. 그러나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목전에 두고 그럴 수 없었다.


벤이. 책장을 넘길 때 마다 그의 죽음을 확인하게 될까봐 조마조마했다. 세 누나의 사랑이, 용기를 몸으로 보여주고 있는 마야의 모습이, 어수룩하지만 그를 믿는 동료들이 그를 살게 했을까.


비다르의 죽음이 나를 울게 했다면, 마야의 배웅과 쪽지를 받은 벤야민의 모습에 안도감이 든다.


"나는 피해자가 아니예요. 생존자예요."

(...) 그들의 걸음은 느리고 어쩌면 천천히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지 몰라도 그들은 살금살금 그 복도로 들어서지 않는다. 폭풍처럼 진격한다.

p523



아이스하키가 전부인 동네에서 하키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일까? 사람들은 그런 사람이 있기나 한지 알고 있을까? 하지만 그들도 이제는 조금씩 알아간다. 하키를 하지 않는 인생도 존재한다는 것을. 하키를 잘하지 못해도, 하키가 아니여도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을.


'마야와 아나' 대 세상 전부

'베어타운' 대 나머지 전부

'우리' 대 당신들


하지만 언제라도 그들은 '우리와 당신들'이 될 것이다.


베어타운 하늘에 눈부신 태양은 변함없이 떠오를 것이다. 사람들은 언제나처럼 하키 경기장에서는 미친듯이 소리를 지를테고, 자신의 이익에 맞춰 서로 으르렁댈 것이다. 그러다가 누군가 아프고 위험에 처하면 팔을 걷어 부치고 달려갈 것이며, 함께 지붕을 고치고 같이 먹을 샐러드를 만들 것이다. 그게 베어타운이다.


나는 다시 궁금해진다.

마야와 아나, 벤야민의 미래가.


일부 독자들은 '베어타운'이 작가의 이전 작품과는 분위기가 달라졌다고 한다. 하지만 내가 읽기에는 '베어타운'도, 이번 작품도 다르지 않다. 무심한 듯, 별거 아니라는 듯 쑥스럽게 내미는 손의 온기같은 따스함은 결을 같이 한다.

작가는 극한 상황에서도 손을 놓지 않는다.

그래서, 좋다!




[책 속 문장]



31.

레오는 사람들은 항상 복잡한 진실보다 단순한 거짓을 선택하게 되어있다는 사일을 깨달았다. 거짓에는 비교를 불허하는 장점이 있다. 진실은 벗어날 수 없는 반면 거짓은 쉽게 믿을 수만 있으면 된다.



50.

그 바보들은 베어스타운 아이스하키단이 없어진 이유가 케빈 때문이 아니라 '그 추문' 때문이라고 할 것이다. 그들이 보기에 케빈이 누군가를 성폭행했다는 사실이 아니라 마야가 성폭행을 당했다는 사실이다. 그녀가 없었다면 그런 일도 없었을 것이다.(...) 사람들은 이해 여름에 폭력 사태가 베어타운을 강타했다고 얘기하겠지만 그건 거짓이 될 것이다. 폭력의 조짐은 그전부터 있었다. 사람들은 서로에게 좌우되는 삶을 살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사실상 서로 용서가 되지 않는다.


125.

산다는 건 우라지고 우라지고 또 우라지게 힘든 거라 가끔은 거의 감당하기 힘들 정도다. 아무리 원래 그런 거라지만 말이다.


184.

경기는 간단할지 몰라도 사람들은 절대 간단하지가 않다.


207.

그날 밤 침대에 누운 여자는 세 명이다. 세 명뿐이다.

(좋의 엄마, 좋은 아내, 좋은 직원 뿐, 미라 자신은 없다.)


256.

꼭 존경을 받지 않아도 돼. 그건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중요한 일이 아니야.


310.

남자들은 평생 어둠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생각, 그건 그들의 인생에 아무 문제도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남자들이 어둠을 무서워하는 이유는 귀신과 괴물 때문이지만 여자들이 어둠을 무서워하는 이유는 남자들 때문이다.


373.

불안. 그것은 우리를 소유하지만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414.

다들 이건 한 사람에게 벌어진 일이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그건 거짓말이 될 것이다. 우리는 "이런 일은 어느 누구의 잘못도 아니"라고 하겠지만 그럴 리 없다. 속으로는 우리도 진실을 알고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의 잘못이라는 것을. 우리의 잘못이라는 것을.


521.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을 둘러싼 문제가 복잡해지는 이유도 우리가 대부분 좋은 사람인 동시에 나쁜 사람일 수 있기 때문이다.


565.

"나를 위한답시고 싸울 필요 없어! 나를 위한답시고 뭘 하려고 들 필요도 없어! 그냥 나를 믿어주기만 하면 돼. 나를 어디 데려다놓으려고 하지 말고 나 혼자 갈 수 있게 뒤에서 도와줘!"




(...)

우리를 위해 뭔가를 하고 싶다면

나를 위해 무기를 내려놓고

나를 위해 지옥의 구멍을 닫고

내 친구가 되어 줘,

나를 위해 좋은 남자가 되어줘.


(...)

언제쯤 나를 위한답시고 일을 망치는 걸 그만둘래?

네가 날 위해서 뭘 할 수 있는지 알고 싶어?

일단 내 말을 듣기부터 해.

Hear Me (마야의 자작곡)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아주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