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다. 내가 에세이를 읽는 이유가 고스란히 담긴 책.


첫 책은 눈 감은 상태에서 쓰여야 한다고 믿는다(‘감은 눈‘이 아니라 ‘눈 감은 상태인 게 중요하다). 내 두 번째 시집 ‘시인의 말‘에 이런 문장이 나온다. "꽃은 자신이 왜 피는지 모른다./모르고 핀다." 첫 책은 모르고 핀 꽃이다. 처음이란 가속력의 바퀴를 달거나 ‘무지‘라는 날개를 달고 태어나기 때문이다. 무지에 속력이 붙으면? 모른 채로 훨훨 모르는 곳에 당도하게 된다. 몇 해는 지나봐야 도착한 곳이 어딘지 알 수 있다. - P39

사랑이 그런 거야. 그렇지 않으면 사랑이 아니지. 옅은 사랑은 사랑이 아니야. - P45

원작에는 그 그림에 대한 어떠한 정보를 통해서도 느낄 수 없는 침묵과 고요함이 있다고 존 버거가 말했던가. 침묵과 고요함은 ‘진짜‘가 갖고 태어나는 위엄이다. - P52

번아웃은 ‘나 아닌 상태‘로 무언가를 이루려 오랫동안 애쓸 때 일어난다. 누군가 내게 노력을 요구할 때 거부감이 드는 건 외부에서 요구하는 노력이 나를 상하게 할 위험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살면서 노력하지 않은 건 아니다. 무언가를 잘하기 위해, 사랑을 받기 위해, 얻고 넘고 오르기 위해 노력했다. 스스로 원해서 하는 노력은 나에게 성취감 을 주고(물론 좌절감도 주지만) 삶의 의욕을 갖게 한다. 반면 남에게 보이기 위한 노력, 남들을 따라서 하는 노력은 나를 지운다. 이러한 노력은 인생을 무겁게 만든다. 의무감으로 살게 하고 삶을 버텨야 할 시간으로 느끼게 한다. - P59

나는 ‘나‘를 잃고 싶지 않았다. - P59

지금 행복하지 않은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행복할 가능성은 없다. 행복은 체험이다. 많이 겪어본 사람이 더 자주, 쉽게 겪을 수 있다. 유년에 저금해둔 행복을 한꺼번에 찾아 즐겁게 누리는 어른을 본 적이 없다. - P61

떠난다는 것은 결국 자기자신에게로, 자기 자신의 현실 속으로 되돌아오기 위한 것이다. 끝과 시작처럼 떠난다는 것과 되돌아온다는 것은 하나이다. 자기 자신으로부터 떠남으로써 자기 자신에게로 되돌아오는 것이다. - P63

가장 좋은 건 언제나 우연히 왔다. - P85

어른은 스스로 가르치고 스스로 배워야 한다. 공부하는 어른은 혼자다. 혼자 다짐하고, 혼자 반복하며, 혼자 나아가야 한다. 홀로 도는 팽이처럼 고독하게 곤두서야 한다. 이때 타자는 ‘가르침을 주지 않는 선생님‘이 되기도 한다. 공부하(려)는 어른은 낡지 않는다. 몸은 늙어도 눈은 빛난다. - P97

안 된다는 말을 듣고 자란 아이들은 어른이 되어 뭘 시작하는 데 두려움을 갖는다. 그는 ‘망설이는 인간‘이 된다. 새로 일을 시작할 때마다 늘 망설인다. - P101

모든 게 무너져도 남아 있는 것. - P113

"어떤 침묵은 외면이겠지만, 어떤 침묵은 그 어떤 위로보다도 따뜻하다" - P200

타인의 슬픔을 다 알 순 없겠지만 내 슬픔의 방 한쪽에 그의 슬픔을 간직 하고 있다. 다 자라지 못한 그의 아이를 간직하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내내 눈물을 흘린 까닭은 내 안에 그의 방이 있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 P20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3-06-22 21: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옅은 사랑은 잠깐 지나가는 사랑일까요?
깊어야 진짜 사랑일까요?

새파랑 2023-06-27 06:18   좋아요 0 | URL
저 문장이 <빌러비드>에 나온 문장이라고 한거 같은데, 저는 깊어야 진짜 사랑이라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