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지내는거 같아서 다행입니다.






"무슨 말을 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 P165

누가 한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쩌면 헨리 제임스일 수도, 아닐 수도 있는데, 세상에는 두 종류의 인간이 있다고 했다. 고통받는 사람을 보면서 내게도 저런 일이 일어날 수 있어, 생각하는 사람과 내게는 절대 저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거야, 생각하는 사람. 첫 번째 유형의 사람들 덕분에 우리는 견디며 살고 두 번째 유형의 사람들은 삶을 지옥으로 만든다. - P166

왜 이 정도 감정뿐일까. 예전에 느낀 내 감정은 여전히 아주 생생한데, 사랑, 증오, 두 번 다시는 이라는 약속, 내 삶을 다른 사람의 삶과 이어 붙이는 일은 앞으로 두 번 다시는 없을 거야. - P174

죽음을 앞둔 사람들은 스스로 목숨을 끊을 권리가 있어야 하는 거 아니야? - P183

할일을 하면서 어딜 보나 만족스러운 날을 보내다가 별 까닭도 없이 불현듯 그 기억이 찾아들어 다시 그때로 돌아갈 수밖에 없게 돼. 일에 파묻혀 지내면 거기서 벗어날 수 있다는 건 체득했지만, 그 때문에 며칠이고 우울에 빠져 있던 때도 있었어. - P206

거기 당신은 없는 모든 시간이. 그리고 영원히 존재할, 세상이 한없이. (조이스) 한없이 풍요롭고 한없이 아름다운, 다 괜찮을 거야. - P207

네 잘못이 아니야. 내가 말했다. 물론 내 잘못도 아니었다. 그런데도 왜 그 누구도 아닌 바로 내게 오롯이 잘못이 있는 듯한 기분을 떨칠 수가 없었을까? - P211

인생은 한갓 꿈일 뿐, 생각해보라. 그보다 더 잔인한 관념이 과연 있을수 있나? - P239

이 세상에 태어날 때는 적어도 둘이 있지만, 떠날 때는 오로지 혼자라고 누군가 말한 적이 있다. 죽음은 누구에게나 찾아오지만, 그럼에도 그것은 모든 인간 경험을 통틀어 가장 고독한 경험으로, 우리를 결속하기보다는 떼어놓는다. - P149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eremy 2022-04-30 02: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I don‘t know who it was, but someone,
maybe or maybe not Henry James,
said that there are two kinds of people in the world:
those who upon seeing someone else suffering think,
That could happen to me, and those who think,
That will never happen to me.
The first kind of people help us to endure,
the second kind make life hell.”
― Sigrid Nunez, What Are You Going Through

>>>Humanity & Suffering 에 대한 단상.

새파랑 2022-04-30 07:49   좋아요 1 | URL
헨리 제임스의 작품도 읽어보고 싶어지더라구요. 아직까지 안읽어봤어요😅

Jeremy 2022-04-30 02: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Someone has said,
When you are born into this world there are at least two of you,
but going out you are on your own.
Death happens to every one of us,
yet it remains the most solitary of human experiences,
one that separates rather than unites us.”
― Sigrid Nunez, What Are You Going Through


새파랑 2022-04-30 07:48   좋아요 1 | URL
저도 딱 이 두 문장이 가장 좋던데 jeremy님도 그러신가 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