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7
정용준 지음 / 현대문학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령> - 정용준 ⭐️

.

장편소설 <내가 말하고 있잖아>와 단편소설집 <선릉산책>으로 내 마음 속 ‘믿고 보는 작가님’ 리스트에 올려두었던 정용준 작가님이었는데, <유령>을 읽으면서 나의 선택에 더더욱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이전에 읽은 두 작품과는 분위기가 많이 달랐지만, 책을 읽는 동안 정용준 작가님이 쓰시는 문장들과 서사에 푹 빠져있던 것은 변함이 없었다. 아직 읽지 않은 정용준 작가님의 책들을 더더욱 읽고 싶어지는 순간이다.

.

<유령>은 무고한 사람들 여럿을 살해한 극악무도한 범죄를 저질러 사형선고를 받은 죄수 474와 그에게 호기심을 느끼는 담당 교도관 윤에 대한 이야기다. 윤의 시점으로 전개되긴 하지만 주로 다뤄지고 있는 것은 474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에, ‘악’에 대한 근원적인 통찰을 담은 서사라 할 수 있겠다. 그래서인지 호불호가 많이 갈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래도 ‘악’에 대해 서사를 부여한다는 것은 필연적으로 독자들에게 불편함을 불러일으킬 것이기 때문이다. 마치 정유정 작가님의 <완전한 행복>이 떠오른다. 

.

그러나 악에 서사를 부여하는 것이 과연 잘못된 것일까? 어떠한 ‘악’에 대해 이야기가 쓰인다는 것은 ‘악’할 수밖에 없던 이유랄지 배경 등을 ‘이해’하고자 하기 위함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제대로 된 ‘비판’을 하고자 하기 위함은 아닐까? 많은 이들이 말하는 것이 있다. ‘비판’과 ‘비난’을 구별해야 한다는 것. 어떠한 대상에 대해 제대로 알고 난 뒤에 말하고자 하는 바를 논리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아무것도 알지 못한 채 그저 억지로 까내리기 위해 쏟아붓는 모진 언행은 그저 ‘비난’하는 것에 불과하다. 

.

다시 이야기로 돌아와서, 우리는 ‘악’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평범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라면 연쇄살인, 강도 등의 참혹한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의 심리나 사연 등을 알지 못할 것이고 이해하기도 힘들 것이다. 그런 우리들이 범죄자들을 ‘비판’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심리 등을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악’에 부여되는 서사는 ‘악’을 정당화하기 위함이 아니라, ‘악’에 무지하지 않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

‘악’을 행하는 데에는 아무런 이유가 없기 때문에 그것에 대해 생각하는 것조차 아무 의미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유령> 속에서 474번에 대해 아무런 생각 말고 그저 사형을 집행하기만 하면 된다는 식으로 말하는 교도관들로써 표상된다. 그런 교도관들에게 주인공 윤은 이런 의문을 제기한다. 

🗣 그런데 이상하네요. 사형 당하러 들어온 사람을 사형 시키는 것이…… 뭐, 그 방법밖에 없겠지만 무력하군요. 아이러니하게도 우리 모두가 합심하여 살인을 저지른 죄인의 요구를 들어주고 있는 것 같아요. (93p)

.

‘악’을 불가해한 영역의 것으로 규정하는 것은 어쩌면 ‘악’을 받아들이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유령>을 읽는 동안 계속됐다. 물론 세상에는 아주 다양하고 많은 ‘악’이 있고 그것들을 마주한다면 필히 거북하고 불쾌한 거부감이 들 터이지만, 우리는 그것에 외면해서는 안된다. <유령>을 다 읽고 나서도 ‘474’에 대한 동정이나 연민의 감정은 들지 않았다. 하지만 근거 없는 혐오의 감정도 없었다. 단지 혼란스럽고 복잡했을 뿐이었다. 그런 마음이, 짙은 여운이 오랫동안 남은 책이었기 때문에, 내게는 너무도 좋았던 <유령>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