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쓰고 있네" 는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유행하는 표현인데 상당히 비아냥대는 느낌이 있습니다.예를 들어 두 사람이 말다툼을 하다가 상대방이 하는 말이 기가 차서 말이 안나온다는 표현을 할 때 이렇게 말합니다.왜 이렇게 소설을 비하하는 표현이 널리 퍼졌는지 고개를 갸웃할 때가 많습니다.또 요즘엔 인터넷에 오른 기사가 알맹이도 없고 논리도 없는 수준 이하일 때에도 "이걸 기사라고 썼냐...소설을 쓰는구만..."하는 댓글도 많이 올라옵니다.소설가 처지에서는 참으로 억울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황석영 씨가 이런 세태에 대해서 이렇게 말한 적이 있습니다."도대체 왜 이런 말이 나오는지 모르겠다.단순노동도 십년 이십년 하면 달인이라고 해서 그 노고를 인정해 주고 있다.내가 소설을 오십년 째 쓰고 있는데 소설을 이렇게 우습게 본다는 말이야....이래가지고 우리나라의 문화가 발전하겠느냐." 황 씨는 소설가이기 때문에 소설을 무시하고 만만히 보는 세태가 더 섭섭했겠지요.그런데 소설을 즐겨 읽는 독자 처지에서 생각해 봐도 이런 식으로 소설을 폄하하는 분위기는 그다지 맘에 들지 않습니다.
"야! 너는 한가하게 소설 나부랑이나 읽고 있냐?" 소설을 읽고 있는 친구에게 무심코 이런 말을 던지는 사람이 있습니다.우리나라는 무엇이든지 위아래 따지는 관행이 뿌리 깊어서 소설도 문학에 해당하는 작품이 있고 그냥 소설 나부랑이에나 속하는 작품이 있는 것 같습니다.잘은 모르지만 도스토예프스키를 읽으면 뭔가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으로 인정해 줍니다.또 한국인이 쓴 소설 중에서도 예를 들어 박경리나 최명희가 쓴 소설을 읽으면 그런대로 괜찮은 평가를 해줍니다.하지만 그외의 대중적인 작가들이 쓴 소설이나, 특히 장르소설을 읽으면 소설나부랑이나 읽는 사람이라고 깎아내립니다.
소설에 대해서 낮추어 보는 말 중에 "소설 읽듯 수월하게 읽는다"는 표현이 있습니다.소설은 별로 집중하지 않고 읽어도 된다는 선입견에서 나온 말이지요.그런데 이런 말을 해대는 사람은 정말 소설을 제대로 읽어보기나 한 사람일까요.제대로 소설을 읽으려면 상당한 집중력이 필요합니다.우리나라에서 많이 무시받고 있는 분야인 추리물은 집중 안 하고 읽으면 줄거리 파악도 힘든 경우도 많습니다.또 소설을 제대로 감상하려면 그 소설의 시대적 배경이나 지리적 배경을 잘 알아야 합니다.이는 상당한 배경지식을 필요로 하지요.
어떤 영화 제목이 '잘 알지도 못하면서'였습니다.소설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이러니 저러니 무시하고 만만히 보는 세태가 우스꽝스럽습니다.이는 문학의 죽음이니 뭐니 하는 거창한 담론을 떠나 인류의 지적 작업에 대한 무시와 폄하입니다.소설 읽는다는 것은 아무나 물 한 잔 마시듯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어찌보면 인간에 대한 통찰력 있는 호기심이 있어야 소설에 관심을 가지고 읽을 수 있는 게 아닐까요.물론 호기심에도 수준차가 있습니다.옆집 부부는 왜 아이가 없지? 남자가 비실비실하게 생겼던데 혹시 성불구자인가? 아니면 여자가 불감증인지? 따위의 천박한 호기심만 있는 사람은 당연히 소설에 관심도 없고, 그래서 "소설쓰고 있네..." 라든가 "야...이런 일을 소설 읽듯이 해서는 안된다구" 하는 말을 아무렇게나 내뱉게 됩니다.
그런 인간들에게 "너희들이 소설 읽는 맛을 알아? 잘 알지도 못하면서!" 하고 쏘아붙이고 싶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