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박상우가 신간을 냈는데 소설이 아니라 소설가  지망생을 위한 책이라더군요.작가에 대한 환상이 있는 것 같아서 책을 냈다고 합니다.쉽게 말해서  등단하기도 어렵지만 그 후에도 어렵다는 것이지요.전업작가의 길은 힘들어서  생계를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는   작가들이 많다는 겁니다.아무래도  작가들 중에 나은 부류가 대학 교수나 초중고 교사직을 하면서 글을 쓰는 경우지요.그렇지 않은 경우는 특히 노년에 어려운 생활을 많이 하나 봅니다. 

  최근에 소설가 천승세의 근황이 신문에 나왔습니다.바닷가를   배경으로 한 소설로는 호남출신 중에 장흥에 한승원이 있고 목포에 천승세가 있지요.직접 체험을 바탕으로 갯가 냄새 물씬 풍기는 소설을 쓰기로 유명한 천승세...그런 그도 칠십고개에 들어섰는데 생활이 많이 어렵다고 합니다.고향인 목포에서 살고 있는데 최근 계단에서 넘어져 앞니가 빠졌는데 치과 갈 돈이 없을 정도라고 하니까요.그나마 정부에서 보조금이 나오지만 한 달 80만원 정도라고 합니다.천승세가 무명작가도 아니고 문학상도 타고 한때는 꽤 이름도 있었는데도 이 정도니...다른 사람은 더 말할 나위가 없지요.미군기지를 다룬 소설 '분지'로 사상탄압까지 받았던  남정현도 생활이 어렵다고 합니다.전업작가들의 상당수가 노년에 이런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전업작가들 중에서도 이청준이나 이문구 등은 문단권력이라고 할 만한 것을 누리다가 간 작가라고 봐야지요.동인문학상 심사위원을 했으니까요.박완서도 문단에선 거의 왕언니이고 조선일보에 기고도 하니까 형편이 낫습니다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어렵게 사나 봅니다.지금의 젊은 작가들 상당수도 나중에는 그런 길을 답습할 것 같구요. 

  을유문화사에서 30년 전에 '한국출세작가집'이란 걸  냈습니다.유명작가의 초창기 작품집인데 당연히 천승세 작품도 있습니다.출세작가라는 제목자체도 지금 생각하면 좀 우습지만 그 당시 출세작가들도 이제는 잊혀졌거나 잊혀지지는 않았더라도 생활이 어려운 사람이 많은가 봅니다.누구나 작가를 지망하는 젊은이라면 자신의 책이 잘 팔려서 돈과 명예를 거머쥐는 꿈을 갖고 있겠지만 현실은 녹록치가 않지요.저번 주 일요일 도전 골든벨 시간에 천승세의 희곡 '만선'이 문제로 나왔습니다.고교생들의  국어시간에도 다루는 작가가 지금은 그렇게 어렵게 살다니...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어선에 고기를 가득 싣고 항구에 들어오는 만선...풍요의 상징이지요.하지만 풍요와는 거리가 먼 생활을 하면서 병원가기도 어려운 생활을 하는 작가와 묘한 대조를 이루더군요. 

 아마 이름도 없이 사라져간 작가 지망생들은 더 많을 것입니다.그 출세작가집의 작가들 이름을 훑어 보면서 지금은 이 사람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 하는 부질없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쟈 2009-07-12 14: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면에 작가 지망생들은 또 유례없이 많아진 듯해서 좀 아이러니컬합니다...

노이에자이트 2009-07-12 20:05   좋아요 0 | URL
아...그러던가요...하기야 문예창작과 학생들도 많으니까요...

펠릭스 2009-08-07 23:25   좋아요 0 | URL
최근에 박상우의 '작가'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좋은(?) 작가들이 많이 나왔음 합니다. 물론 뛰어난(?) 번역자들도 많이 배출되어 양질의 텍스트를 공유하고 싶읍니다. 또한 저를 비록하여 책을 가까이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면 해요, 눈만뜨면 경치 좋고 맛있는 곳만 찾는 분위기에서요...육체적인 건강에 관심은 더 고조되는데, 책을 통한 정신건강을 유지하는지 궁금합니다.

노이에자이트 2009-08-07 23:26   좋아요 0 | URL
박상우는 산문도 좋더라구요.담담하고 차분하지요.나이가 50이라고 해서 좀 놀랐지요.
책을 통해서 우리들이 정신건강을 유지하게 되면 좋은 작가들도 돈걱정을 좀 덜게 되겠지요.

노이에자이트 2009-07-12 2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예인들과 비슷한 것 같아요.몇몇 잘나가는 사람 빼고는 노후대책이 어렵지요.
김원일 씨는 작품을 요즘도 내던데요.동생도 꾸준히 작품활동하고 있구요.
도스토예프스키는 그래도 이름을 떨쳐서 장례식이 성대했다고 합니다.발자크도 돈많은 여인이 뒤를 대주었다고 하지요.

카스피 2009-07-12 2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가분들의 생활이 어려우신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ㅜ.ㅜ
대한민국 국민중 10의 7인가(혹은 이 반대인가 좀 가물가물 하네요) 일년동안 책 한권 안 읽는다고 하고 읽는 사람들중 많은 이들이 참고서나 경제관련 서적만을 읽으니 일반 문학 작품이 팔릴리 없으니까요.게다가 근자에 팔리는 문학 작품들이 주로 인터넷문학이나 환타지(국내작가들)들이니 전업 작가들이 힘들수 밖에 없지요.

노이에자이트 2009-07-16 22:08   좋아요 0 | URL
글을 쓰려면 다른 직업을 가지는 게 좋지요.그래서 한승원 씨도 교사를 그만두고 전업작가를 한다고 하자 가족들이 말렸다는 게 이해가 갑니다.

쟈니 2009-07-16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는 소설을 안읽는데, 소설가들에게 좀 미안하네요... 하지만, 다른 종류의 책은 가능한 사서 읽으려 하니 괜찮겠죠. ^^

노이에자이트 2009-07-16 22:39   좋아요 0 | URL
예.많이 읽으셔서 마음의 양식을 드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