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죠? 사는 게 점점 재밌어져요! - 책을 통해 넓힌 시야로 불어오는 블리스의 바람
김옥란 지음 / 미다스북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글 쓰는 것을 좋아한다. 좀 더 나로 표현하자면 글 쓰는 것이라기보다는 생각 쓰기를 좋아한다고 하는 편이 어울릴 것이다. 그래서 글을 쓰다 보면 매우 짧다. a4 한 장을 채우지 못하고 생각이 마무리되기 쉽다. 그러면서도 내 생각을 남기고 싶다. 그 순간순간의 생각들이 나를 수정하고 나를 정리하고 나를 이해 시키기 때문이다.

 

작가 그녀가 그러했다. 자신을 말하고 자신을 생각하고 자신을 살아갔다.

그녀는 자신을 확장한다. 신속하게 우릴 줄도 안다. 농축되어 있는 자신의 능력을 데미안의 알을 깨듯 혁명적으로 자신을 우려낸다. 녹차의 뭉그런 시간이었으나 그 시간은 함축되어 과격히 나타난다.

힘이다.

나이 힘, 살아 온 힘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자신을 우려내기다.

그녀는 살아가기 위해 자신을 어떻게 우려내고 있는지 그 과정이 힘겨웠으나 즐거운 것이라 말한다.


누구나 단조로운 일상을 산다.

그 단조로운 일상을 다양하게 우려먹을 줄 알아야 무지무지 재미지게 사는 법이다.

누구나 일상은 단조롭다. 자고 일어나 살고 또 자고 일어나 살고 그러나 그 살고에 얼룩말을 부여하고 앵무새의 색조를 입히고 맹수의 달리기를 넣고 광활한 자연의 무궁함을 부여하며 산다면 사는 것이 꽤나 신선하고 명랑하다.

그녀가 그렇게 산다.

나는 오늘 겨우 그녀의 책읽기 하나로 살았지만 그 책 읽기속에서 수없이 많은 생각과 사념思念으로 우주를 돌았고 작가를 만나고 공간을 넘었다.

나 자신을 우린다는 것은 나의 아이덴티티를 제멋으로 하고 나의 취향을 즐기고 나의 욕구를 끄집어 내면 되는 것이다. 우리는 밈으로 억압된 자아를 꺼내 그녀의 나이 먹기처럼 맛나게 나 자신을 우려내 살면 된다.

아주 작은 것부터 나를 우려보자.

그저 다르게 보고 다르게 생각하고 다르게 깨닫는 것이다. 그러면 사는 것이 매우 재미질 것이다. 그래서 그녀는 자신의 집이라는 공간의 파초를 우리고 자신의 일터의 책들을 우리고 자신의 그림을 우리고 자신의 자신을 우리며 산다.

그녀가 사는 것이 근사했다. 힘들텐데 근사했고 아플텐데 근사했다.

나 또한 그 까닭에 리트무스의 사탕(케이트 디카밀로의 작품 내 친구 윈딕시에서)처럼 고통은 간결하게 행복은 다채롭게 우릴 준비를 해야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yj631109 2024-06-30 14: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잔다르크님 리뷰가 마음을 울립니다.우려내기

최선인논술 2024-06-30 14: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나이를 먹는 것에 너무도 감상적인 의미를 두고 싶지 않은 마음이라~~
책을 읽다보니~ 힘이 나더라고요^^
 

"어서 오세요. 왕비님 노랑어리 옷을 입으세요. 모과차를 맛있게 끓여 왕과 함께 오르시지요.‘
여기는 카페입니다. 가을입니다.‘
‘창경궁으로 산보나 갈까?
‘왕비를 부르시오.‘
‘아니지, 새로들인 어여쁜 후궁을 부르시오.‘
나는 가장 예쁜 후궁이 되어 고운 한복을 입고 왕과 나란히 걸었다. 겨울에 쓸쓸함을 담고 있는 창경궁 샛길에 하얀 눈이 소복소복 쌓였다. 누구와나란히 가야 할까? 나와 간다. 내 속 사람을 데리고 간다. 침묵하는 내 안의 속 사람에게 겨울바람을 쏘여주러 나는 궁궐에 간다.

ㅡ 우리는 ‘내 안의 내 속 사람‘을 기꺼이 찾아 대면해야 한다. 내가 어떤 모습인지 바라보고 그모습을 인정하고 보듬기도 하지만 피그말리온이 되어 나란 갈라테이아를 조각하고 수정해 나가야 한다.
‘내 안에 내가 누구인지‘ 찾는 숨바꼭질은 나이를 점점 먹어가는 우리의 시간 속에서 선명한 과제라는 것을 받아들이는 순간 바로 내가 술래였다는 것을 알게 된다.ㅡ - P1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화는 다윈의 갈라파고스섬에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니다. 우리집 거실에서도 진화된다. 아이들에게 책을 읽히고 싶다면 우선 부모가 먼저 책을읽으면 된다. 이론과 실천이 간단하다. 그것이 환경이고 진화다. 책 환경은백 번을 이야기해도 부족하다. 무조건 서점에(도서관도 자주 가고, 책을구입하고, 거실에 쟁여두는 환경만 갖추어 가족들은 책을 읽는 DNA를이어갈 것이다. - P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음 말이 나오지 않았다. 어쩐지 외숙부로부터 답장이 없었다.
나는 그동안 외숙부께는 전달도 되지 않은 서찰의 답장을 기다리고있었던 것이다.
"어명을 어기는 것 그게 바로 역모지요. 세자가 죄인에게 보낸 역모 서찰이라. 으하하하!"
‘그냥 외숙부를 구하겠다는 뜻만 전하는 서찰이었는데? 그걸 역모로 엮겠다고?"
영상이라면 충분히 그럴 사람이었다. 온몸에 소름이 오소소 돌아났다. 웃음을 그친 영상이 사병들을 손짓으로 불렀다.
"귀한 인질이다. 광으로 모셔라. 인질이 사라지면 네놈들이 죽을것이다."
영상이 건물 안으로 사라졌다. 나와 신검은 한쪽 구석에 따로 있는 건물로 끌려갔다. 문이 닫히자 서로의 얼굴도 보이지 않는 어둠이 몰려왔다.
철커덕!
자물쇠 잠기는 소리에 심장도 덜컥 내려앉았다. 꽁꽁 묶여 있어무술에 능한 신검도 꼼짝 못 했다. -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켓?"
"응, 로켓이 처음에 지구의 중력을 벗어날 때는 힘이 많이필요하니까, 커다란 액체 연료 탱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하지만 대기권을 돌파하려면, 그 무거운 연료 탱크를 떼어 내고 혼자의 힘으로 날아야 하거든. 사람도 마찬가지야. 누구나어느 순간부터는 자기 힘으로 날아야 하는 거야."
카론의 말이 맞았다.
에이다는 얼마든지 혼자의 힘으로 설 수 있는 사람이었다.
방탕한 아버지와 엄격한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할머니와유모의 손에서 자랐지만, 에이다는 어머니의 수학적 재능과성실함에 아버지의 상상력을 발판 삼아, 세상에 없던 것을 만들어 내는 사람이 되었다. - P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