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익환 평전 - 문익환 탄생 100주년 기념 특별판 문익환 평전
김형수 지음 / 다산책방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책이 있는지도 몰랐다. 온라인 독서토론의 책이 아니었다면 사지도 않았을 것이고, 앞으로도 한참 몰랐을 도서이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배우 문성근의 아버지, 영화 1987에서 이한열 열사 추도식(?)에서 열사들의 이름을 부르며 애통해하는 모습이 먼저 떠오르는 사람이 문익환 목사였다.

 

처음에는 문학가인 이 책의 저자의 문체가 너무 화려하고 문익환 목사에 대한 찬양이 지나친 것 같아, 문익환이라는 분을 잘 만나고 알아가기가 힘들었다.

 

그러나, 제가 산 시대(1987년 이후)에 일이나 사건들 속에서 문익환 목사님도 계시다는 것을 떠올렸다. 겹치는 경험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니, 어떤 사람들이 통일 할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처럼 저에게도 조금 더 친숙해졌다. 그래서, 며칠 만에 수백여 쪽을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에서 나타나는 이 분의 삶 전체에 흐르는 슬픔의 뿌리를 따라가다 보면 북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의 찬란함과 달리 성장하면서 청년기 이후에 겪은 일제 강점기, 6.25전쟁, 군사독재가 원인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는 구약의 예언자들처럼 살았다고 나오는데, 맨 뒤에 연표를 보니 예례미아 선지자에 대한 연구와 묵상이 많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보아 눈물의 선지자인 예레미아에 특히 동화되신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예레미아도 이스라엘(히브리) 민족이 말씀에 순종하지 않아 전쟁으로 나라가 망하고 이스라엘 민족이 포로로 끌려가는 것을 경험하며 애통해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문익환 목사님은 모세처럼 늦은 나이(?)59세 때인 19763.1 구국선언으로 역사의 중심부에 등장한다. 어찌보면 대기만성이지만, 온전히 준비된 후 등장하게 된 인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한 가지 신기한 것은 남자들보다도 여자들이 더 지혜롭고 용감하다는 것이다. 문익환 목사님의 사모님이신 박용길 여사를 비롯한 많은 여성들의 재판이나 옥바라지 투쟁이 그 예이다.

 

김형수 작가의 눈으로 문익환 목사님을 보니, 말씀이 바탕이 된 꿈을 가지고 민족주의적인 기독교인의 삶을 산 분이며, 작가의 말처럼 고구려 유목민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일까? 말년에는 통일 운동에 온 삶을 쏟으신다. 그래서, 작가는 전반적으로 목사님에 대한 찬사가 넘쳐나도록 쓴 것 같다.

 

그러나, 700쪽이라는 많은 분량임에도 이 분을 온전히 알았다 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목사님도 자신을 높이기보다 자신을 낮추고 비우신 경우가 많기에 더 그렇다. 작가도 문익환 목사님이 목자보다는 양들처럼 사셨다고 하지 않는가? 신앙이 있었지만, 다른 종교를 가진 이들이나 작은 자들에게 배타적이지 않았기에 장례식 때 수많은 사람들의 행렬이 상여를 따랐으리라. , 요한복음에도 예수님의 삶과 아야기를 다 기록하려면 하늘과 바닷물을 다 써도 기록할 수 없다고 하지 않는가? 이 책의 작가도 온전히 쓰지 못하고 남겨 둔 자료도 많다고 하지 않는가?

 

이렇게 급하게 서평을 쓰는 이유도 다 정리하고 쓰려면 못 쓸 것 같기 때문이다. 나중에 또 기록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수정하거나 추가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