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의 재발견 - 초등 평가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고영희 외 지음, 허숙 감수.지도 / 맘에드림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며칠 전에 수능개편안 발표로 많이 시끄러웠다. 수능과 정시 확대로 비판을 많이 받았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과도 어긋나서 더 그렇다는 생각이 든다.

 

평가의 재발견에서도 사회의 변화와 그에 따른 요구하는 인재상이 달라졌다고 시작한다. 이에 따른 학교 교육의 방법이나 내용도 달라지기에 평가도 달라져야 한다고 말한다. 한 예로 평등교육도 모든 사람이 똑같은 내용을 똑같은 방식으로 똑같은 수준에서 교육받는 것이 아닌, 각자 자신의 적성과 진로 또는 문제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을 자기의 능력과 개획에 따라 학습해나가는 것이라고 새롭게 정의를 내리고 있다.

 

평가에 있어서도 가치를 평하는 일이라고 한다. , 측정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고 학생만 측정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교수(가르침), 교육목표의 타당성, 교육활동이나 수업 활동의 적절성, 교육의 제반 여건이나 학교 내 인간 관계 등도 포함해야 한다. , 학생이 아닌 교육활동 전반(모든 측면)이 평가의 표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더하여 가치만 부여할 뿐 아니라 처방(대안 또는 지도)도 있어야 한다고 한다.

 

이것을 기반으로 초등학교 통합교과, 국어, 사회, 수학, 과학 교과에 적용한 실제적인 평가의 예시를 제공하고 있다. 각주나 참고문헌을 통해 더 연구하길 원하는 독자를 돕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과정중심 평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등학교 교육 현장의 선생님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라 할 수 있다.

 

평가에 대한 재발견이 몇 년 후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교육과 평가에 있어서 아직 후진성을 극복하지 못한 우리나라 교육의 방향을 바꾸는 물꼬가 되기를 바라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