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르웨이의 숲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10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억관 옮김 / 민음사 / 2013년 9월
평점 :
야설이라고 매도하기에는 아름다운 구석이 있다. 멋진 작품이라고 추앙하기에는 군더더기가 너무 많다. 그 시대에는 어떤 의미였는지 모르지만 불필요하게 불필요해서 아쉽다. 그래도 이야기를 끌어가는 맛이 있으니까 ☆3
기괴한 사건들과 인물들 간의 난잡한 이야기를 그 속에 뭔가가 있다는 듯이 풀어놓는다. 지금 이 책에 남는 여운은 마치 뭔가 있다는 듯이 이야기를 끌어가는 전개 혹은 배열 때문일 듯 하다. 그럴듯해보이지만 전혀 그럴듯하지 않다. 읽으면서 오그라들거나 그냥 넘겨버리고 싶은 구간들이 꽤 많다. 주구장창 등장하는 책, 작가, 가수, 곡 이름은 허세 그 이상의 의미가 없어 보인다. 일본 특유의 여성비하가 눈에 너무 거슬렸다. 미시적인 부분은 일본 야설이나 야겜, 야동과 흡사하다. 술 마시는 장면이나 각종 대화, 섹스 장면은 그 나이 또래 그 인격 수준의 사람을 묘사하기 위해서인지는 몰라도 지나치게 허세가 심하다. 여자 투정 들어주는 것이 큰 내용을 차지한다. 도무지 알 수 없는 이유로 자살들을 하니 그 충격이 더욱 크다는 것은 이해한다 쳐도 밑도 끝도 없이 뜬금없다보니 어리둥절하다. 나오코의 언니는 왜 죽고 기즈키는 왜 죽고 히쓰미는 왜 죽는가. 왜 레이코는 안 죽고 나가사와는 안 죽고 특공대는 안 죽는가.
감각을 자극하는 묘사는 볼만 했다. 아미 요양원의 묘사는 일정 부분 즐거웠다. 매우 이성적이고 공정하면서도 인간의 감성적 한계를 덤덤하게 받아들이는 듯한 `꽤 완벽한` 와타나베의 시점은 매력적이다.
누구나 공상해봤음직한, 그런 의미에서 가벼운 이야기였다. 그러나 막상 그 내부를 채워놓고 때로 빨려들어가게 끔 쓰는 것이 또 내공이 아닐까.
다른 리뷰들을 보니 당시에 유행하던 문체와 다르게 진솔한? 담담한? 문체가 매력적이고 신선했다고 한다. 적어도 내가 느끼기에도 진솔하고 담담하다. 그 점이 거의 유일하게 마음에 든다. 그러나 그 문체가 요즘에도 신선한 것일까. 매력면에서도 어떤 탁월함을 갖추었는가. 이 두 질문에 대해 그렇다라고 답하기 어렵다.
[줄거리 - spoiler 주의]
하는 것도 없고 그냥 평범한 정도의 와타나베에게 종잡을 수 없는 이유로 자살한 친구 기즈키가 있었다. 대학 진학 후 기즈키의 여자친구 나오코를 만나게 된다. 나오코는 정신병에 가까운 심각한 불안을 갖고 있는데 소꿉친구로 시작한 평생지기 남자친구와 부족할 것 없던 친언니의 두 갑작스러운 자살이 큰 영향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와타나베는 그 여자애를 좋아하게 되고, 복잡하고 말도 안되는 관계라는 걸 인지하면서도 나오코와 동침을 한다. 모종의 불안감으로 기즈키와는 물리적으로 동침할 수 없었던 나오코는 와타나베와 관계를 맺은 후 자취를 감춘다.
산 속 깊은 곳에서 요양을 취하는 것으로 확인한 후 와타나베는 나오코를 찾아간다. 이상적인 자연환경에서 속세와 단절한 채 건강한 삶으로 회복하는 나오코와 룸메이트 아줌마 레이코를 만나며 짧고 근사한 시간을 보낸다.
그러나 도쿄로 돌아온 후 하룻밤 밤상대를 찾아 술집과 모텔 사이를 건들거린다. 물리적으로 외로운 것을 참지 못하겠다며 하룻밤 상대를 찾아 술집과 모텔을 전전한다.
그 사이 갑자기 와타나베가 좋다며 등장한 미도리가 있다. 미도리는 자라는 내내 간병을 하며 마지막으로 아버지를 뇌종양에 잃는다. 남자친구가 있지만 와타나베와 지내는 것이 좋다며 초대한다. 미도리와는 동침을 하지 않는다.
나오코와 한번 더 만나고 돌아오면서 나오코에 대한 사랑이 깊어진다. 미도리와는 애매한 관계를 지속하지만 미도리의 끈질긴 구애로 와타나베의 마음이 흔들린다. 그리고 나오코의 정신병은 심각해진다. 레이코에게 미도리 얘기를 털어놓은 그 순간, 나오코가 자살을 한다.
나오코 자살 후 와타나베는 한달 간 방황한다. 이윽고 나오코의 옷을 입고 자신을 찾아온 레이코와 동침한다. 레이코를 배웅하고, 미도리에게 메달린다.
*나오코는 왜 자살을 했을까? 아미 요양원으로 돌아올 때 이미 밧줄을 가지고 왔다. 병이 악화되는 것을 더이상 견디기 힘들었을까? 와타나베가 미도리에게 진지한 감정을 갖게 됐다는 걸 레이코에게 들었고, 악화된 감정상태에서 충격을 감당하지 못해서?
*굳이 그런 성교 장면들이 필요했을까?
*나비 머리핀이나 특정 술 등은 의미가 있는 것들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