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올의 마가복음 강해
김용옥 지음 / 통나무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체적인 근거 없이 저자의 주관적 감상에 따른 해석으로 여겨질 수 있는 구절들이 다수 있으나, 종교 관련 서적이기에 타인의 믿음에 대한 언급은 적절치 않으므로 생략.

다만, 동시대 특정인의 실명을 거론하며 저주에 가까운 언급을 하는 건(p. 183, 위 열 넷째 줄; p. 289, 아래 아홉째 줄 p. 363, 위 셋째 줄), 저자가 현재 적지 않은 사람들로부터 대 학자요 어른으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부적절해 보인다. 제한된 시공간 속 청중들에게 강연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맥락을 강조한다는 면에서 그리 발언할 수도 있겠으나, 활자로 인쇄되는 출판물에 영구히 남기는 건 너무 가벼운 처사로 여겨진다. 예수는 십자가에 못 박히는 순간에도 아버지시여 저 사람들을 용서하여 주시옵소서, 그들은 자기가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p. 362, 위 셋째 줄) 하지 않았던가. 증오가 증오를 낳고 저주가 저주를 낳기에 원수마저도 용서하라 하지 않았던가. 저자는 현재 우리 사회의 갈등(남남간, 남북간)이 모두 해소되고 화합이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기도하고 있지 않은가.

삼독이 내게서 멀리 있지 않다. 다른 사람들이 모두 나와 같기를 바라는 게 바로 탐이고, 나와 다르다고 비난하는 게 바로 진이며, 그러고 있는 내 모습을 보지 못하는 게 바로 치다. 예수가 부르짖고 저자가 강조하는 인간들의 메타노이아(회심) 실현이 어려운 것은, 사람들 마음의 완악함 때문인데(p. 219), 완악함을 유지하게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마 사람들이 나는 안다고 확신하고 과거의 생각을 바꾸려 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예수는 고향에서 기적을 행하지 못하고 존중받지 못했으며(p. 329), 끝내 회심의 기적을 이루지 못한 제자들 모두로부터 배반을 당하게 되었을 것이다(p. 583). 메타노이아는 어느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게 아니고 지금 여기에서(매 순간 영원히!) 끝없이 이루어져야 하기에, 위대한 스승들은 우리에게 언제나 깨어있어야 한다()고 경계하는 게 아닌가 싶다(p. 339, 위 아홉째 줄). 정상에 도달했다고 방심하지 말라!

 

오 탈자:

p. 82, 위 첫째 줄: ‘되기 때문이다다음에 하지만 편집비평은이라는 문장이 추가되어야 함. 양식비평에 관한 설명 중에 아무런 언급 없이 편집비평에 관한 설명이 계속되기에 맥락이 혼란스럽다.

p. 265, 위 열째 줄: ‘양반의 자식 ---> ‘양반의 자식

p. 280, 위 세째 줄: ‘단지 씨뿌림에서’ ---> ‘씨뿌림에서’. 저자의 구어체식 글쓰기 습관때문에 바로 다음 문장에 씌여야할 단어가 참아지지 못하고 또 한번 미리 발화 되었다.

p. 315, 아래 네째 줄: ‘떠밀려 가듯이 떠밀려 가는’ ---> ‘떠밀려 가듯이 가는

p. 384, 아래 첫째 줄: ‘에미미’ ---> ‘에이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각의 역사
진중권 / 창비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 418 아래에서 넷째 줄: ”잘 정돈된 원근법적 공간은 기하학적 추상의 산물일 뿐, 실제로 우리의 육안에 비친 세계는 세잔의 그림처럼 혼란스러운 것이다.

위의 밑줄 친(편의상) 문장은 실제로 우리의 육안에 비친 세계는 혼란스럽고(A)’, ‘세잔의 그림(p. 417, ’부엌의 테이블‘)이 혼란스럽다(B)’는 뜻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내게는 세잔의 그림이 별로 혼란스럽게 보이지 않으며, 평소에 내 눈에 비친 세계 역시 시각적으로는 전연 혼란스럽게 보이지 않는다.

A: 저자가 문제의 문장을 작성하는 전체 맥락에서, ‘세상의 모습은 단지 시각적 모습을 의미할 뿐 정의와 도덕 등의 의미 측면을 염두에 두고 있지 않으리라 믿기에, 명제 A는 이해할 수가 없다. 우리 시 지각 체계는 망막에 거꾸로 맺히는 평면적 영상일지라도, 두뇌의 환상적인 작업에 의해 똑바로 선 입체적인 영상으로 보이게 하여 우리의 혼란스러움을 해소시킨다는 건 상식이기에 말이다.

B: 세잔의 그림 속에 있는 여러 가지 사물들이 동시에 한 시점에서 관찰되는 형태가 아니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관찰되는 형태로 그려졌기에, 화가의 시선과 원근법이나 광선들까지를 고려하며 보는데 익숙한 전문가의 안목에는 혼란스럽게 보일 수 있으리라 짐작은 된다. 하지만 나 같은 사람은, 그림 속에 있는 과일이나 화병과 바구니들이 평소에 익숙한 형태를 지니고 있어서인지 전연 혼란스럽지가 않다. 우리는 사진기 필름에 찍히는 영상처럼 세상을 보지 않고 의미의 틀을 통해서 보기 때문에, 한 폭의 그림 속에 있는 다양한 사물들이 사진 속 영상처럼 일치하지 않아도 이미지가 주는 의미만 맞으면 그냥 자연스럽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게 바로 메를로퐁티가 말한 체험된 원근법의 의미일 것이며, 이점이 바로 후설이 판단중지를 언급한(p.413) 이유일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 같은 생활세계 속의 일상 인들은 그저 습관적으로 보던 대로 보기 때문에 세상의 실상(진리)을 놓치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라면, 그림의 캡션에서(p. 417) ‘시각의 진정한 주체는 정신이 아니라 신체다는 문장은 어쩌면 세잔의 관점을 놓친 것일 수도 있다(메를로퐁티 역시!). 정신없이 신체만으로 어찌 시각이 얻어지겠는가? 그저 정신에 대한 육체의 우월을 주장하는 전도된 또 하나의 정신 우월주의에 불과할 뿐.

저자가 언급한 후설의 에포케 관점과 연관되는 맥락에서라면, 세잔의 그림이 우리에게 던지는 본질적인 의미는 어쩌면 정신에 대한 신체의 우월성이 아니라, ‘사물(세상)에 대한 참모습(진리)은 단 하나의 관점에서 얻어질 수 없고, 다양한 관점을 종합해야만 한다는 점이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해 본다. 한쪽 면만을 고려해서 얻어진 견해는 괄호 쳐두라고! 저자의 표현대로 고정된 정신의 눈으로 고정된 세상을 보지 말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육안으로 끊임없이 생성되는 생생한 세상을 보라고(p. 432: ‘지금 여기 나 이 상황에 있다)!

 

오 탈자:

p. 18, 위에서 다섯째 줄: ‘medium theory 등 고대 감각론의

---> ‘medium theory 등 고대 감각론의’. ‘생략해야

p. 464, 위에서 다섯째 줄: ‘내가 속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들 수도 있을 겁니다

---> ‘내가 속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겁니다’. ‘생각이추가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체에 이르는 길 1 - 우주의 법칙으로 인도하는 완벽한 안내서
로저 펜로즈 지음, 박병철 옮김 / 승산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낚였다! ‘실체’, ‘’, 그리고 우주의 법칙운운하는 화려한 추천사에. 혹시라도 우주의 진리 한 조각이라도 엿볼 수 있지 않을까 하여. 인문학적 내용은 전무하고 그저 전문 수학 개념 개론서. ‘황제의 새 마음에도 속았었는데.

귀싸대기를 맞아도 저자는 아무렇지 않겠지? 소립자와 기하곡면 들만이 유일한 실체일 테니 통증과 조롱을 어찌 느끼기나 하겠는가! 이성과 개념은 단지 도구에 불과할 뿐이거늘, 황제가 아무리 화려해 보여도 그가 깔고 앉은 것은 결국 자기 엉덩이라 하지 않던가. 밥 잘 먹고 똥 잘 싸는 내 몸의 이 생생한 리얼리티를 외면하고 우주의 리얼리티를 운운 하다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ok 2021-12-19 19: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 소개와 목차를 보면 인문학과 전혀 거리가 멀던데요 ;;

Stevenson 2022-09-26 20: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분류가 수학 물리학인데 당연히 기하내용이 있죠....
 
이성. 진리. 역사 현대사상의 모험 9
힐러리 퍼트넘 지음, 김효명 옮김 / 민음사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 7, 형이상학적 실재론이라 할 수 있는 진리모사설과 전체적 상대주의라 할 수 있는 주관주의적 진리설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아마 번역과정에서 누락 되었을 듯한 실수로 인해) 일부 문장이 누락 되어, 두 이론에 관한 설명이 섞이는 바람에 내용이 뒤죽박죽 엉망이 되었다. 아래에서 셋째 줄 이 부류에 속하는 철학자들은다음에 아마도 절대주의적이고 객관주의적인 입장을 지지한다. 반면에 다른 부류에 속하는 철학자들이 있는데, 이들은정도의 문장이 추가되어야 내용이 분명해진다. 3쇄가 나올 동안(16년 동안)이나 이런 내용이 정정되지 않고 있었다는 게 놀랍고 씁쓸하다. 정말철학 전공자들은 애매모호한 담론을 그리도 즐기는 걸까? 스스로도 모호함 속에서 허우적대면서도 결코 질식하지 않는 대단한 정신력!

저자는 앞의 두 가지 이론들에 대해 대부분 기본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해석을 전제로 비판을 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새로운 이론이라는 내재적 실재론은 알맹이가 없다. 마치 풍차를 향해 돌진하는 돈키호테가 연상되는 건 아마 내가 지독히 오독한 탓일 게다.

2016년까지 생존하였으니 기계학습이나 인공지능에 관한 최신 이론들을 참조했다면 튜링기계에 대한 부정적 견해도 좀 더 달라졌을 법한데.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수 2023-08-08 22: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러 군데 아쉬운 점이 있지만 여기서 지적하신 7쪽의 문장은 오역이나 누락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 문장을 다시 풀자면 ‘이 부류에 속하는 철학자들은 [자신들이 믿는] 진리 모사설에 [맞설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진리의 객관성을 부인하고 일체의 사고 방식과 일체의 관점이 모두 주관적이라는 주장에 복종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입니다. 이것만이 대안은 아니라는 것이지요. 얼핏 보면 이 부류의 철학자들이 진리의 객관성을 부인한다고 읽을 수 있는데 전체 문장을 따져보면 그 뜻은 아니네요.
 
다른 것이 아닌 것 - 존재 및 인식의 원리 나남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203
니콜라우스 쿠사누스 지음, 조규홍 옮김 / 나남출판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것이 아닌 것’은 주어이자 술어이기에, 이미 선결문제요구오류(petitio principii)를 범하고 있다. 믿음이라는 동굴 속에서 벽을 보고 앉아 괴기스런 그림자를 숭배하며 주문만을 외우고 있는 딱한 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