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동경대전 1~2 - 전2권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권 영소편 17-1, p. 301, ‘옥안첫 문장: 물수탈승미리용勿水脫乘美利龍에서 의미 있는 글자는 수승용水乘龍일 뿐이고, “문문범호나무수問門犯虎那無樹에서 의미 있는 글자는 문호수門虎樹일 뿐이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7자나 3자나) 의미가 성립하지 않는다

 

 이 시는 전형적인 선시다. 첫째 연 花扉自開春風來, 竹離輝踈秋月去는 육안에 보이는 현상기연을 묘사한 구절이고, 둘째 연 影沈綠水衣無濕, 佳人語不和는 심안에 보이는 실상불연을 묘사한 구절이며, 문제의 셋째 연 勿水脫乘美利龍, 問門犯虎那無樹는 불연기연을 묘사한 구절이지 싶다(일반적인 시가 아닌 선시를 해석한다는 게 조심스럽다).

 저자는 이 구절이 의미가 성립하지 않는다 하나, 이 구절은 선어록에서 있는 그대로 명명백백하다는 의미로 등장하는 다양한 관용구(; ’삼칠은 이십일‘, 3X7=21; ’뜰앞의 잣나무‘) 같은 언명이라 여겨진다. 선어는 원래 짱구‘(저자가 자주 쓰는 표현)를 굴리면 절대 이해 되지가 않는다!

  저자가 의미 없다고 여기는 글자들(, , 미르美利, , , 나무那無)은 모두 우리말 발음을 이두식으로 표기한 한자들이다. ”물수, 탈승, 미르! 문문, 범호, 나무수!“ 고상한 이론을 머릿속에서 모두 지우고 단순히 읊어보면, 이것은 서당에 처음 간 아이들이 첫날 배워 신나게 외우는 하늘천 따지 검을현 누르황그 자체다. 수운은 서당 훈장을 한 사실이 있다.

 저자는 미르을 나타내는 우리말인 걸 미처 알아채지 못한 것 같다. ”물수, 탈승, 미르용! 문문, 범호, 나무수!“ 명명백백 그대로다. 저자가 매사를 지나치게 심각하게 여기기 때문에 놓친 실수이지 싶다. 수운은 발음에 쓰일 한자로 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이 기연‘ ’불연을 넘어 불연기연을 묘사한 거라고 여겨지는 이유는 바로, 사심 없이 순수한 아이들의 눈에 비치는 세상은, 아무것도 가릴 게 없이 있는 그대로 명명백백한 山是山 水是水“(‘하늘은 검고 땅은 누런’) 그 자체일 것이기 때문이다. 물에 비친 옷 그림자가 물속에 있는 건 엄연한 현상으로서 기연이고, 그런데도 물에 젖지 않는 건 이해되지 않는 불연이지만(우리는 대부분 이걸 놓친다!), 모든 현상은 지금 여기 엄연히 동시에 존재하기에 불연기연이다.

 둘째 연 첫 구절은 야보도천의 싯구 竹影掃階塵不動, 月穿潭低水無痕을 연상시키는 구절이고, 두 번째 구절은 선시에서 다양하게 변주되는 싯구다. 첫째 연에서 셋째 연으로 이어지는 과정은, 그대로 기연에서 불연을 거쳐 기연불연에 이르는 과정으로서, 수운의 치밀함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