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만든 사람들 - 나라를 위한 선비들의 맞대결
이성무 지음 / 청아출판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00년 역사의 숨결을 지닌 조선.
그 조선을 만들어내고 이끌어 온 우리의 조상님들 이야기.

어느 시대나 라이벌은 존재하는 법이다.
피겨 여왕이라 불리우는 김연아에게는 아사다 마오가 있듯이, 조선을 위해 일생을 바치신 선비들에게도 그들만의 라이벌들이 존재해왔다. 때로는 한편으로 손을 잡기도 하고 그러다 휙 돌아서 서로를 죽이기도 했던 조선시대 라이벌들. 이번에 나를 끌어당긴 책은 나라를 위해 맞대결을 마구 펼친 그들의 삶과 정치적인 이야기가 듬뿍 담긴  <조선을 만든 사람들>이다.

가장 관심을 가지고 읽었던 부분은 역시나 태종의 이야기이다.
내가 처음으로 역사에 관심을 가지게 된것도 <용의 눈물>이라는 사극을 보고나서부터이다.
그 전에는 역사란 지루하기 짝이 없는 시시한 것이라는 생각이였는데,
<용의 눈물>을 보면서 사극을 보는 재미와 함께, 그 사극과 실제 역사를 비교하는 재미까지 생겨서 나는 조선이 생기게 된 그 때를 가장 좋아한다. 또한 강력한 왕권정치를 구현하고자 했던 태종이 한글을 창조해내신 세종대왕보다 더 좋은 것은 역시 나쁜 남자에게 끌리는 여자의 심리때문?ㅋㅋㅋ

<조선을 만든 사람들>에서는 태종과 정도전의 맞수에 대해 이야기 한다.
태종이 그저 왕자였을때, 그러니까 정안군이던 시절 초기에는 두사람이 한뜻으로 조선을 설립하였다. 그러나 재상 중심의 정치를 꿈꾸던 정도전과 왕권 중심의 정치를 꿈꾸던 정안군이 서로를 겨냥하여 칼을 갈면서 1차 왕자의 난이 벌어지고, 또 그 왕위를 놓고 형제끼리의 싸움으로 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고 만다.
하지만, 이런 과정을 통해 태종은 좀 더 강력해지고 카리스마가 철철 넘치며 현실적이며 냉정한 정치를 펼쳐낸다.

그들의 이야기가 짧게 느껴졌던것은 아마도 내가 이토록 태종을 좋아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태종을 두고 정도전이야기를 안할 수 없듯이 그들은 그렇게 뗄레야 뗄수 없는 사이이기 때문이다.

그외에도 주자학의 선두자인 퇴계이황과 남명 조식의 이야기도 꽤나 흥미롭다.
사실 남명 조식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성리학자이자 대북세력의 이념이 된 인물임을 알게되었다. 

저자의 말대로 사람은 생각이 다 다른다. 그러기 때문에 역사에 대한 평가도 그 인물에 대한 관점이나 생각도 다 제각각이기 마련이다. <조선을 만든 사람들>은 그 주관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그저 그들의 라이벌들과 어떠한 정치적 이해관계를 가졌었는지,
또한 그들이 나라를 위해 어떠한 일을 한것인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저자의 생각이나 관점이 주입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것 또한 이책의 매력 중의 하나가 아닐까 싶다.
역사서를 읽다보면 가끔 저자의 생각이 마치 사실인듯 비추어져 역사에대해 잘못 이해하는 경우도 많은데, <조선을 만든 사람들>은 사실중심으로 씌여졌기에 그런일은 없지 않을까 싶다.

어쨌거나 내가 좋아하는 조선의 선비들을 마음껏 만날 수 있어 즐거운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충신
마르크 함싱크 지음, 이수영 옮김 / 문이당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보다는 책 여기저기에 씌인 글귀들에 현혹되어 읽게 되어버린 <충신>
영조 때의 가장 충격적인 사건 이였던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전혀 다른 시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도 매우 유혹적으로 끌렸다. 우리의 모든 역사서는 다 영조가 자신의 아들을 오해로 인해 
뒤주 속에 가두고 굶겨 죽였다고 씌여있는데 반해 <충신>은 사도세자의 죽음이
의도적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이 책은 소설 책임을 잊지 말도록!!!

책을 읽다보니 어딘가 어색한듯한 느낌이 계속 들기 시작했다.
문장의 흐름이나 내용의 연결에서 나타나는 뭔가 좀 어색함?
그러다 도대체 작가가 누구야 ? 하는 생각에 표지를 보니 헉~!!! 외국인이였다.

마르크 함싱크.
벨기에로 입양을 간 한국인으로 살 뻔했던 외국인이 쓴 우리의 역사이야기이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어딘가 좀 어설프고 긴장감이 떨어지며 내용연결에 외국적 추리소설의 느낌이 강한듯 느껴졌다.
한국의 역사를 제대로 알기나 할까 싶은 사람이 몇백년전의 조선 역사를 놓고 글을 썼다는데 대해서도 어느정도 질투? 반감? 같은 것도 생겼던 게 아닐까 싶다.
우리의 역사인만큼 우리가 먼저 선수(?)를 쳐서 다양한 시각으로 역사를 풀어봤을수도 있었을 텐데 .......하고 말이다.

<충신>에 나오는 사도세자는 그동안 보여졌던 모습과는 다르게,
저주에 걸려서 맛이 제대로 간. 
제대로 미친 세자로 그려지고 있다. 또 세자를 그렇게 만든 배후로는 원순왕후와 화완옹주가 지목되고 있는데, 이 두사람이 정치적인 입장에서 사도세자를 굉장히 미워했고,
또 훗날 사도세자의 아들인 정조 암살도 여러번 시도했음은 이미 알려져 있기에 설득력을 갖추는데는 아무런 방해가 없었다. 다만, 영조말 삼정승이 자살했다는 것이 사실인지,
아니면 작가가 만들어낸 이야기인지는 알 수가 없다. 만약 그 사건의 배후가 진실되다면 지금 우리 역사계가 이렇게 조용히 앉아 구경만 하고 있지는 않겠지 싶어 소설로 간주하고 그냥 후루룩 삼켜버려본다.

어찌되었든, 250년 전 조선의 경악할만한 사건에 대해
외국인의 시선으로 보고 쓴 <충신>은 우리도 우리의 역사에 관심 좀 갖자. 외국인도 이정도인데..라는 부끄러움을 한 가득 안겨준 나름 괜찮은 책이였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술은 속삭인다 미야베 월드 (현대물)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미 여사의 책은 언제나 그렇듯이 처음과 중간까지는 마구 흥미를 유발하다가
꼭 끝에가서 허무함을 드러내서 날 참 실망시킨다.
<모방범>도 그러더니만 말이다.

<마술은 속삭인다>는 미미여사의 책을 처음 읽은 친구의 추천으로 만나게 된 책이다.
이미 <모방법>으로 미미여사에게 조금 실망을 한 상태였기 때문에 
설마 이번에도 ~ 하는 마음으로 읽었다. 
역시나 끝에가서 멍 때려주셨다. 참으로 감사하다. 다시는 미미여사를 만날일을 없게해줘서.

미미여사의 글은 호불호가 확실하다. 언제나. 그 중간이라는게 없는것 같다.
열광하는 사람은 미친듯이 그리고 실망하면서 내던지는 나같은 인간

분명 추리소설가로서의 재능은 넘쳐난다. 
하지만, 결말에 대한 맺음력이 많이 부족하지 않나 싶다.
처음부터 손에서 놓을 수 없게끔 잘 써내려가다가 왜 꼭 끝자락에 가서는 그 손을 탁!
내려놓게 만들어 놓는건지 도무지 모르겠다.

하지만, 결말이 좀 허무하고 멍때릴뿐,
그 추리 소재나 추리과정은 나름 신선한 편이라고 생각한다.
너무 복잡하지도 않으면서 약간의 허를 찌르는. 
이번에는 최면술을 이용하였는데, 실제 최면술로도 그런 범죄가 일어나게 할 수 있는 것일까?
그럼 복수를 꿈꾸는 자들에게 얼마나 유용할까? 라는 생각이 들면서 나를 깜짝놀라게 한부분만 봐도 말이다.

좀 더 퍼펙트하고 타이트한 결말을 원츄하는 나같은 애들을 위해서
조금만 결말에 신경써 주세요 ~ 미미여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뢰인은 죽었다 탐정 하무라 아키라 시리즈 2
와카타케 나나미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단편집인줄 미쳐 몰랐었다. 
읽다보니 이야기가 짧막하게 끝나면서 결말이 나지 않는 허무함이 밀려오기에,
후다닥 뒷장을 대충대충 넘겨보니 단편집이였던 것이다.
그래도 그 끝은 처음과 다시 이어지는 웃긴 단편추리소설인 <의뢰인은 죽었다> 이다.

뭐 책 띠지에는 "당신이 잃어버린 스릴, 당장 이 책에 의뢰하세요!" 하는데,
헐...이 책을 읽고 스릴감이 밀려오는 이들도 있긴 있구나...싶어 헛웃음이 나왔다.
난 정말 재미없게 두루루 ~ 읽었기에.......

뭐 허를 찌르는 결말에 앞부분을 다시 읽어야 했다는 독자평도 있지만,
역시 나에게는 무리이다. 무슨 허를 찌르는.....붸

참.....서평쓰기 진짜 힘드네....이런 생각에 한숨을 푹푹 쉬게 만들어준 책이기에
나한테서 좋은 말은 아마도 안나올것이다.
다만, 마지막 문장에서 생각을 하게끔 하기에 별은 3개를 준것뿐.

그래도 확실한 결론이 등장하는 추리소설이 난 좋다.
내용도 처음부터 끝까지 팍팍 이어지면서 나도 같이 추리를 해나가는 그런 추리소설 말이다.
예를 들어 <고백> 같은......,<속죄>도 나왔다던데..아..읽고 싶다.

삼천포로 빠졌지만,
호불호가 확실히 갈리는 책임에는 분명하다.
나도 친구가 재미있다고 해서 읽게 된것이기에.

아무튼 적어도 나에게는 딱히 할 말도 생각나게 하지 않은 그냥 그런 추리 단편집이였을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정천 가족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24
모리미 토미히코 지음, 권일영 옮김 / 작가정신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유정천 가족>은 너구리 가족 이야기라고 보면 될것이다.
바보너구리 사형제가 위대한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보여주는데,
마치 인간들의 세상과 같아 작가가 인간의 바보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은건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인간과 너구리 그리고 텐구가 일본 교토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설정하에 
<유정천 가족>의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다다스 숲에 사는 너구리 명문 시모가모 가의 대장이자 가장인 소이치로는 금요구락부 남자들에 의해 송년회 전통인 너구리 냄비 요리로 인생사 종을 치게된다. 그리고 남겨진 너구리는 만사태평 낙천가인 마누라 너구리와 바보의 피를 나눠가진 아들 사형제뿐. 가족이라고 있는 소이치로의 동생은 이미 악마 너구리의 영혼을 가지고 인생사 스스로 말아먹고, 그의 아들들인 금각과 은각 역시 아버지를 따라 자기들 너구리 인생을 잘 말아먹는다. 다만  절대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금각과 은각의 여동생 가이세이만이 제정신 차리고 살아가고 있을뿐이다. 


이들 너구리들의 모습들은 마치 선거전의 국회의원 후보들이나, 자신의 성공과 야망을 위해 가족이고 뭐고, 다 밟고 올라서려는 인간의 내면의 모습과 가족을 생각하는 애틋함이 함께 곁들여 있어 너구리들의 세상이 아닌 우리네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착각에 빠지게 만든다.

"재미있는 건 좋은 거야" 라며 책의 첫 페이지를 여는 순간부터 
너구리들도 함께 살아가는 교토로 마인드를 제정비하고 유정천가족들에게 빠져들면 모든것은 만사 땡!!!

이렇게 재미있는 상상을 해내는 저자의 능력도 대단하지만,
이게 이제 겨우 너구리 이야기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2부도 기대가 크다.
총 3부작이라 들었는데, 바보스럽지만 특별하다는 야사부로의 활약과 귀여운 막내 털복숭이 야시로의 화려한 성장이 무척이나 기대가 된다. 또한 묘령의 너구리. ㅋㅋ 가이세이.
야지로를 개구리로 살아가게 만들어준  짝사랑의 상대 가이세이의 모습도 얼른 보여줬음 좋겠다.

앞으로의 이야기에 온 마음이 쏠리게 되버리는 <유정천 가족>의 다음이야기  

언제쯤이면 만날 수 있는걸까?
그리고 혹시 작년에 내가 도쿄에서 만났던 일본인들........
사실은 다 너구리들이 변신한 거 아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