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 만나는 페이퍼 커팅 아트
아사히로 가요 지음, 조민정 옮김 / 니들북 / 2016년 2월
평점 :
품절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19/pimg_7786271031386056.jpg)
<처음 만나는 페이퍼 커팅 아트> 제목 그대로 처음 만났습니다. 어렸을 떄 '커팅 아트' 까지는 아니여도 가위로 오리거나 칼로 도려내 나만의 작품을 만들어 보기도 했습니다. 이제 조금은 더 전문적(?)인 취미를 가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동물과 식물, 동화 속 주인공, 기념일 행사를 위한 다양한 완성 작품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완성된 다양한 도안이 준비되어 있는지 천천히 살펴봅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19/pimg_7786271031386057.jpg)
도안은 별 하나부터 별 다섯까지 난이도가 있습니다. 작품에 따라 중요 point도 알려주고 있습니다. 손재주가 없거나 커팅 아트가 처음이라면 별이 작은 것부터하면 안전(?)할 것 같습니다. 아래는 별 셋 '귀걸이 거치대' 입니다. 딱 보아도 손이 많이 가기는 합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19/pimg_7786271031386059.jpg)
4장에서는 페이퍼 커팅의 기본을 배워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도구는 '디자인 커터'라고 생각을 합니다. 디자인 커터 대용품으로 문구용 커터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문구용 커터를 사용해보니 디자인 커터를 꼭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종이 종류와 도안 옮기는 방법에 대해서도 배워봅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19/pimg_7786271031386061.jpg)
'처음에 알아두면 유용한 디자인 커터 사용법'은 초등학교 때 배웠을지도 모릅니다. 디자인 커터 쥐는 법부터 오리는 순서나 오리는 요령에 대해 알려줍니다. 도안을 준비해서 직접 다루기 전에 연습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연습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도안과 도화지 고정하기, 곡선과 끝부분 오리기 등등...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19/pimg_7786271031386062.jpg)
1~3장까지 완성된 도안에서 색을 어떻게 입혔는지 궁금했는데 4장에서 알려줍니다. 전통색지를 사용해서 도안 뒷면에 붙이는 방법^^ 난이도가 높은 도안을 어떻게하면 깔끔하게 만드는지 꼼꼼히 들려줍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19/pimg_7786271031386063.jpg)
난이도 별 셋 카네이션 입니다. 가족이 도안을 복사하여 테이프로 붙이지 않았습니다. 커팅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앞에서는 말씀드렸지만 디자인 커터가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문구용 커터의 한계를 느낀다고 합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19/pimg_7786271031386064.jpg)
분홍색지에 복사하여 커팅을 했더니 좀 더 이뻐보입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19/pimg_7786271031386066.jpg)
커팅된 카네이션을 활용해 카드로 만들어 보았다고 합니다. 디자인 커터가 없어 너무 힘들어 오늘 함께 가까운 문구점을 찾아갔으나 없었습니다. 더 멋지고 이쁜 도안을 활용하여 만들고 싶은게 많기에 꼭 디자인 커터를 구입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인터넷서점을 살펴보니 커터와 고무 매트를 포함한 제품도 있던데^^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19/pimg_7786271031386067.jpg)
'달밤의 토끼'와 모빌을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아니 모빌에 '달밤의 토끼'를 같이 걸어도 너무 멋질 것 같습니다. 이번에 가족과 함께 페이퍼 커팅 아트를 하면서 느낀 점이 있습니다. 아니 새로운 무언가를 할떄면 늘 그런 것을 느낍니다. 먹는 것이든 만드는 것이든 그것이 간단하거나 복잡해도 재료와 같은 준비물이 먼저 가추어져 있어야 편하게 혹은 조금은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아이가 있으면 더 좋고, 아이가 없어도 즐거운 취미로 자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19/pimg_778627103138606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