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손쉽게 마이 팝아트 - 스케치부터 초상화, 소품제작까지 마이 프라이빗 캔버스 시리즈 2
서윤정 지음 / 시대에듀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다양한 책을 만나고 싶었습니다. 이왕이면 직접 내가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책이였으면 했습니다. 그래서 만난 책이 <누구나 손쉽게 마이 팝아트> 였습니다.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이 책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시작은 팝아트가 무엇인지부터 시작합니다. 팝아트? 간단히 정의해서 '대중 미술'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누구나 가깝게 만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픈게 아닌가 싶습니다. 앤디 워홀과 키스 해링은 미술과 관련된 사람이 아니더라도 어디선가 한번쯤 들어보았을 이름입니다. 만화를 즐겨보았다면 로이 리히텐슈타인도 들어보았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팝아트의 대표 아티스트 3인을 소개하며 팝아트를 위한 준비를 합니다.

 

재료는 이미 가정에 있는 것도 있고, 새로 구입해야 할 것들도 보입니다. 어떤 재료는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크게 관계없다고 합니다. 집에 있는 재료를 보니 아크릴 물감과 유성펜, 연필, 지우개, 스케치북, 붓, 물통까지입니다. 새로 구입하려 동네 문구점과 서점을 찾아가보니 쉽게 구하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인터넷과 책에서 소개하는 구입처를 통해 구하는게 빠를듯 합니다.    


 

 

 

 

기초부터 시작합니다. 눈, 코, 입 등 얼굴에 대한 스케치 연습을 통해 인물을 그릴 준비를 합니다. 실전 스케치와 먹지를 활용하는 방법도 알아봅니다. 파트 4부터 6까지 그대로 따라하는 시간입니다. 공통점과 조금씩 다른점을 통해 나만의 팝아트를 만들어갑니다. HB 연필로 옅게 스케치, 유성펜으로 윤곽선, 밝은 색부터 순서대로~

 

캔버스를 당장 구하지 못해서 우선 핸드폰 케이스에 연습하기로 했습니다. 사랑스런 딸네미가 미술과 음악분야에 관심이 많아 함께 하기로 했습니다. 준비물 중 젯소와 무광 마감재가 없어서 아쉽지만 없는 재료는 없는대로 시작했습니다. 케이스에 사포질을 합니다. 그다음 젯소를 바르라고 하는데 이 부분이 매우 아쉬웠습니다. 젯소를 준비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케이스에 옅게 스케치를 한 후 유성펜으로 선을 정리했습니다. 그런데 대문자가 아닌 대소문자를 섞어 넣었습니다. 이 부분도 아쉽지만 나름 차이점이 생겨 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대문자가 눈에 더 잘 띄이기는 하는 것 같습니다.  


 

 

 

 

 

 

채색을 마쳤습니다. 소문자가 여전히 아쉽습니다. 다음에는 꼭 대문자로 넣어야 할 것 같습니다. 채색을 마친 후 선을 다시한번 그리며 구분합니다. 윤곽선을 넣으니 전체적으로 강조되는 기분이 듭니다. 


 

 

 

 

부족한 재료로 시도해보았지만 나름 만족합니다. 딸네미와 함께 시작해서 더 좋은 것 같습니다. 인물 스케치는 조금 더 연습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소품 위주로 다시한번 시작하려합니다.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다는 말씀이 그냥 지나는 말씀이 아니였나 봅니다. 재료만 준비되어 있고, 조금만 여유를 가지고 시도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행복한 시간. 즐거운 시간. 손쉽게 나만의 팝아트를 생산할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