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남녀 - 그림과 영화의 달콤쌉싸름한 만남 12
이혜정.한기일 지음 / 생각정원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와 그림 중 어느 분야가 일반인들에게 가까울까요? 나에게 묻는다면 나는 '영화'라고 바로 답을 했을 것입니다. 언제부터인가 그림에 관한 책을 눈여겨보았습니다.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그림이나 조형물도 관심있게 보기 시작했습니다. 그럼에도 내게는 여전히 영화가 그림보다는 더 가깝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지금은 조금씩 아주 조금씩이지만 균형의 추는 중심을 잡아가고 있다고 봅니다.   

 

<명화남녀>의 그녀와 그가 들려주는 미술은 대중적인 매체 영화를 통해 미술을 친근하게 다가서게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누가 뭐라고해도 상큼발랄달콤한 시간이였습니다. 이렇게 재미나게 그림과 영화를 들려줄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숨은 그림 찾기같은 이야기는 영화에서 그림을 찾게 만듭니다. 그림에서는 영화에서 다루어진 이야기로 자연스럽게 만남의 시간이 주어집니다. 이 모두가 행복한 공간 속에 나를 옮겨다 놓은 것 같았습니다. 두 사람은 영화와 그림을 서로에게 들려주고 독자와 공유합니다. 그림을 볼 때 화가를 알면 그림에 감정이입 잘 된다고도 들려줍니다. 꼭 그림만이 아니라는 것은 알지만... 공감. 공감. 공감.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씀.

 

멀게 느껴졌던 그림이 좀 더 친근하게 다가온 느낌입니다. 책뿐만 아니라 그림을 더 가까이에서 보고 싶고, 즐겁게 읽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책에서 그림과 함께 소개한 영화도 다시 찾아 보고 싶습니다. 영화 안에 숨은 그림같은 명화를 찾아보고 싶습니다. 

 

여섯 개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파트가 끝나면 영화관과 미술관에 대한 궁금증에 대해 들려줍니다. '영화관 옆 미술관'에서는 그림과 미술관에 대한 이야기를 '미술관 옆 영화관'에서는 영화와 영화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알송달송한 이야기와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영화관과 미술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들려줍니다. 미술관과 영화관을 찾으면 이런 정보에 대해 정말 그런가? 알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명화남녀>의 이야기는 살아있는 것 같습니다. 무디고 무딘 나의 감성에 똑똑 노크 소리가 들리니 말입니다. 그 문을 활짝열어 그림 한 번 제대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소개된 영화를 다시한번 살펴봐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