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고등학생을 위한 청소년 글쓰기
김세연 지음 / 푸른영토 / 2014년 10월
평점 :

<중.고등학생을 위한 청소년 글쓰기>는 아이에게 권하고자 선택했습니다. 아이의 글쓰기를 핑계 삼아 읽고 싶은 책이였습니다. 그래서 읽었습니다. 책 읽기를 좋아하는 큰아이를 위해 먼저 읽었습니다. 책읽기는 좋아하지만 글쓰기를 좋아하지 않는 아이에게 왜? 글쓰기를 해야하는지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누군가와 얘기를 하고 싶지만 마땅히 앞에 두고 얘기할 상대가 없었는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블로그를 시작했던 것 같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부족하지만 책을 읽고 글쓰기를 하는게 즐거웠습니다. 글쓰기에 목말라 했던 것 같습니다. 여전히 부족하기에 아이를 핑계로 나에게 맞는 눈높이 글쓰기 책 <중.고등학생을 위한 청소년 글쓰기>를 만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여섯 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힘 있고 올바른 문장을 쓰는 법에 대해 만나봅니다. 자기소개서와 논술 글쓰기의 핵심을 아홉가지로 정리하여 들려줍니다. 좋은 글은 '이해하기 쉽고, 힘 있고, 논리적'이어야 한다고 합니다. 눈으로는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머리로도 이해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막상 글로 문장을 만들려고하면 뜻대로 되지 않습니다. 그러기에 무엇이든 직접 해보아야 한다는 것도 알려주고 있습니다.
좋은 글. 글쓰기도 우리의 인생과 닮았다는 표현이 너무나 좋습니다. 글쓰기에서도 '지나침은 모자란만 못하다' 라는 말씀이 맞는 것 같습니다. 접속어에 대한 남발도 인생의 전환과도 비슷하게 보여집니다. 적절한 전환과 너무 잦은 전환에 대한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어려운 인생을 살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글쓰기도 어렵게 쓸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어려운 것을 쉽게 쓰는 사람? 어려운 인생도 쉽게 풀어나갈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같지 않아도 쉽게 풀어나가는 것은 인생이든 글쓰기든 맞는 것 같습니다.
논리에 대한 정리를 드려줍니다.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누구나 알고 있는 쉬운 이야기입니다. 그렇지만 그것을 글로 쓰는 것은 습관이 되어있지 않으면 어렵습니다. 연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생각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 연결고리를 찾아 생각을 묶어주고 나눠주면 될 것 같습니다. 그 연습과 습관이 논리적인 글쓰기, 좋은 글 쓰기의 시작이 될 것 입니다.
정리하면, 논리는 단순하다. 논리란 '우리가 무엇인가를 보고 그 이유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거기에는 단하나의 규칙이 있을 뿐이다. '결과가 있으면 원인도 있다' 그 원인을 설명하지 못하면 논리적인 사람이 될 수 없다. - p. 173 |
책을 읽는 다는 것. 글을 읽고, 문장을 읽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 제대로 읽으려면 비판적인 시선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그것이 글쓰기의 시작점에 있다는 것도 보여줍니다. 글쓰기의 아홉 가지 핵심을 만나면서 다음에는 나도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아직 내 것으로 만들지 못해서인지 쉽지 않습니다. 더 넓은 시선으로 세상을 관찰하듯 한 권의 책도 다양하게 만나봐야 할 것 같습니다.
<청소년 글쓰기>는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청소년이나 나와 같은 사람들에게 큰 힘이 될 것 같습니다. 이미 힘이 되고 있다는 것을 느낍니다. 다만 그 힘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연습과 시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